헤르만 헷세의 데미안 제 8 장 종말의 발단 1. 헤르만 헷세의 데미안 제 8 장 종말의 발단 1. 여름 학기 동안에도 H시에 머무르고 싶다는 나의 뜻은 관철되었다. 집 안에 있는 대신 우리는 거의 언제나 시냇가에 있는 정원에 나와 있었다. 씨름에 완전히 진 일본인은 가버렸고 톨스토이 신봉자도 오지 않게 되었다. 데미안은 말이 한 필 있었는데, 매.. 好學의 文學/[세계文學名作] 2010.11.12
행복론 제 25장 7. [終] Seneca De vita beata 행복론 제 25장 7. 내가 바라는 것은 내 재산이 나에게 무거운 짐이 되거나 또 남에게 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소유하게 되는 상태다. 즉 심한 궁핍도 당하지 않고, 또 궁핍에서 너무 멀리 있지도 않는 것이 적당하다고 본다. 이런 종류의 재산과 온유한 마음을 갖고 있으면 우리는 남의 침.. 好學의 文學/[행복론]Seneca 2010.11.12
행복론 제 25장 6. Seneca De vita beata 행복론 제 25장 6. 그러나 백만장자가 유희의 기분으로나마 가난뱅이의 경험을 실제로 해보면, 이윽고 참된 가난이 무엇인가를 어렴풋이 알게 된다. 그리고 역경에 빠지고 싶은 마음에서 그 역경을 감당해 나갈 준비를 하면 하나의 덕을 쌓는 셈이 된다. 고난에 대해 미리 생각해두면 그.. 好學의 文學/[행복론]Seneca 2010.11.12
행복론 제 25장 5. Seneca De vita beata 행복론 제 25장 5. 자기 이외에는 전혀 의지하지 않고, 그 의지하는 것도 담담한 마음으로 거부하거나 버릴 수 있는 사람이라면 얼마나 행복하겠는가. 나는 다만 생활에 필요한 극히 적은 분량만을 자기 소유로 하여 살아가는 사람은 가난뱅이라고 말하지 않지만, 만일 그 양의 적음에 .. 好學의 文學/[행복론]Seneca 2010.11.12
행복론 제 25장 4. Seneca De vita beata 행복론 제 25장 4. 가장 고약한 죽음을 보고 싶으면 백만장자와 가난 자의 얼굴을 비교해 보라. 그러면 가난한 자의 이마에는 주름살이 적고 마음도 한결 평안함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가난한 사람은 어려운 일을 당하여도 구름처럼 걱정이 사라져버리지만, 이와 반대로 백만장자가 웃는.. 好學의 文學/[행복론]Seneca 2010.11.10
행복론 제 25장 3. Seneca De vita beata 행복론 제 25장 3. 사치로 고생한다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위장을 충족시키기보다는 위장을 억압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식욕에 응하는 것이 아니라 식욕을 자극하고 도발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 이것은 그럴싸하지 않다, 이것은 너무 평범해 보인다. 이것은 보기 흉하다” 등등의 말.. 好學의 文學/[행복론]Seneca 2010.11.10
행복론 제 25장 2. Seneca De vita beata 행복론 제 25장 2. 사람들은 돈을 손에 넣기 위해서라면 추방도 기꺼이 당하며, 또 아내나 자식을 독살하는 경우도 있다. 우리는 가진 재산이 없어 가난하다는 말을 흔히 듣는데, 이것은 진정 옳은 말일까? 그 위태로운 재산 대신에 유유자적하는 심정으로 살아가는 사람은 전지에서도 .. 好學의 文學/[행복론]Seneca 2010.11.10
Madame Bovary - 구스타프 플로베르Gustave Flaubert(1821~1880) 1. Madame Bovary - 구스타프 플로베르Gustave Flaubert(1821~1880) 1. 해설 "보바리 부인"은 플로베르가 1852년부터 1856년 사이에 쓴 작품으로 "시골 풍속"이라는 부제로 출판되었었다. "보바리 부인"이 출판된 이후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켜 플로베르와 출판사의 편집자는 법정에 서게 되었다. 사실 이 작품의 초판은 .. 好學의 文學/[世界文學感想] 2010.11.05
행복론 제 25장 1. Seneca De vita beata 행복론 제 25장 1. 자기의 욕구를 자기 자신에세서 찾는 사람은 가난해질 수 없으며, 이것이 곧 행복을 얻는 가장 손쉬운 길이다. 자연의 요구에는 언제나 한도가 있어 이 한도를 넘어서면 그 요구는 뜬구름과 같이 것이 되며, 또한 불필요한 것이 된다. 식탁에 놓인 접시에 산해진미를 .. 好學의 文學/[행복론]Seneca 2010.11.05
행복론 제 24장 5. Seneca De vita beata 행복론 제 24장 5. 고통 중에서 가장 심한 것은 신경통이지만, 이것은 곧 마비되거나 무감각 상태에 이르러 고통에서 벗어나게 된다. 고통이 극심할 경우에는 역사에 기록된 인내와 용기의 실례를 머리 속에 그려보며, 고통에 대한 상념을 도덕적인 명상으로 옮기는 것이 좋다. 결석증이.. 好學의 文學/[행복론]Seneca 2010.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