好學의 神學/[신학]바울의 生涯와 神學 42

바울의 영감인식론과 피스티스의 함의

바울의 영감인식론과 피스티스의 함의 유승원 1. 들어가는 말 종교적 의미로서의 ‘피스티스’(pi,stij)에 대한 강조는 분명히 신약의 특성이다. 유대에 기원한 당시의 어떤 종파나 운동도 믿음을 요구하는 일을 신약성서만큼 그 핵심으로 삼은 경우는 없었다. 그래서 ‘피스티스’는 신약성서가 주창..

현대적 의미에서의 바울이해

현대적 의미에서의 바울이해 A. 바울 해석사의 변천 바울연구가 이동해 온, 특별히 지난 100여년 동안에 있었던 주요 노정을 더듬어 보는 것은 바울 신학만으로 들어가는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예를 들어 튜빙겐 학파의 헤겔주의적 바울, 자유주의 신학의 자유주의적 바울, 종교사학파의 신비주의..

바울서신에 나타난 “파루시아(παρουσία)” 사상

바울서신에 나타난 “파루시아(παρουσία)” 사상 목 차 서론 파루시아에 관한 배경 1. 구약에 나타난 파루시아 사상 2. 외경 및 위경에 나타난 파루시아 사상 바울서신을 제외한 신약성서에서의 파루시아 1. 공관복음에서의 파루시아 2. 요한복음에서의 파루시아 3. 일반서신에서의 파루시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