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고 都賈 도고 都賈 조선 후기에 전개된 독점상업 행위 혹은 그 기관과 조직. 도고(都庫)와 혼용되기도 한다. 원래 도고(都庫)는 대동법 실시 이후 공납품 조달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공납품을 사서 예치해두는 창고를 뜻했고, 도고(都賈)는 상인들의 도매기관이었다. 그런데 뒤에 공물주인이나 ..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2.09.10
공부 貢賦 공부 貢賦 국가에서 각 지방의 특산물을 농민들이 현물로 내게 한 조세의 일종. 고려 이전에는 공부제의 분화가 없이 당나라의 세법을 모방한 조(租)·용(庸)·조(調)의 구별을 찾아볼 수 있을 뿐이며, 고려시대에도 공부의 일정한 제도적 확립을 보지 못해 공부의 규정은 수시로 변동되..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2.09.10
당백전 當百錢 당백전 當百錢 조선 말기 흥선대원군 집권기 때 중앙정부의 급증하는 재정을 충당하기 위하여 주조·발행된 고액 화폐. 1866년(고종 3) 11월부터 6개월 동안 1,600만 냥이 주조·유통되었다. 세도정권하의 삼정문란(三政紊亂)으로 재정궁핍이 심하였고, 흥선대원군의 집권 뒤 왕권강화책의 ..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2.09.10
수학사 數學史 수학사 數學史 history of mathematics 수학의 발전에 대해 고대문명의 뿌리까지 추적하는 연구. 기호(記號)와 기본적인 계산과정에서부터 오늘날의 추상적 형식주의까지 복잡한 경로로 발전한 수학적 방법의 체계화는 놀랄 만한 이야기인데, 2개의 주요분야, 즉 대수학(代數學)과 기하학(幾何..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2.09.10
전황 錢荒 전황 錢荒 조선 후기 상품화폐경제의 발전에 따라 나타난 동전(銅錢) 유통량의 부족을 일컫는 말. 전황의 원인 조선 후기에 나타나는 전황의 원인은 3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정부의 동전발행억제 정책과 동전원료난이었다. 1678년(숙종 4)부터 동전이 법화로서의 제반기능을 발휘하면서 ..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2.09.10
서운관 書雲觀 서운관 書雲觀 고려말부터 조선초까지 천문(天文)·역수(曆數)·측후(測候)·각루(刻漏) 등의 일을 맡아보던 관청. 천변지이(天變地異)를 관측하여 기록하고, 역서를 편찬하며, 절기와 날씨를 측정하고 시간을 관장하던 곳이었다. 서운관은 1308년 고려 충선왕이 즉위하면서 처음 설치되..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2.09.10
자격루 自擊漏 자격루 自擊漏 조선 제4대 임금인 세종 때 장영실(蔣英實)이 만든 자동시보장치가 된 물시계. 자격루, 국보 제229호, 수수통 높이 199cm, 덕수궁 소장자동적으로 시간을 알려주는 물시계는 당시 사람들의 가장 오래된 바람이었다. 세종은 자동시보 물시계를 제작하기 위해 동래현의 관노였..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2.09.10
측우기 測雨器 측우기 測雨器 우량(雨量)을 측정하던 기기(機器). 관상감측우대, 보물 제843호 금영측우기(조선), 보물 제561호, 국립중앙기상대 소장 창덕궁 측우대, 보물 제844호예로부터의 잦은 홍수와 가뭄으로 인한 피해 및 벼농사를 중심으로 한 농업생산구조는 일찍부터 강우현상에 주목하고 우량..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2.09.10
물 시계 물 시계 ── 時計 물을 이용해 시간을 측정하는 장치. 자격루, 국보 제229호, 수수통 높이 199cm, 덕수궁 소장 누각(漏刻)·누호(漏壺)·각루(刻漏)·경루(更漏)라고도 한다. 가장 오래된 우리의 기록은 〈삼국사기〉 권38 직관지(職官志)에 나타나 있다. 718년(신라 성덕왕 17)에 물시계를 담..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2.09.10
[대한민국 제1호] 북한 도발 [대한민국 제1호] 북한 도발 49년 송악산 공격, 육탄10용사 고지탈환 1949년 5월 3일 새벽 개성 송악산 일대. 38도선 남측 292고지에 진지를 구축하던 아군의 진지가 적의 기습적인 공격을 받았다. 북한군 3개 중대가 송악산 능선을 타고 침투, 불법 공격을 가해왔다. 38도선 일대에서 벌어진 최초의 '공식적..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1.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