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한자] 本 錢(밑 본, 돈 전) [생활한자] 本 錢(밑 본, 돈 전) ‘우리는 장사가 잘되어 일 년 만에 본전을 뽑았다’의 ‘본전’은? ①本錢 ②本殿 ③本傳 ④本餞. ‘本錢’을 찾아보자. 本자는 ‘나무 목’(木)과 ‘一’이 합쳐진 것이다. 여기에서 ‘一’은 ‘하나’를 뜻하는 것이 글자가 아니라, 나무 뿌리의 위치를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2.09.20
[생활한자] 時 針(때 시, 바늘 침) [생활한자] 時 針(때 시, 바늘 침) ‘이야기를 하다 보니 어느덧 시침이 한 시를 넘어가고 있었다’의 ‘시침’은? ①侍寢 ②屍枕 ③施鍼 ④時針. ‘時針’이란? 時자가 원래는 ‘해 일’(日)과 ‘발자국 지’(止)가 조합된 것이었다. 후에 추가된 寺(관청 사)가 발음요소임은 詩(시 시)와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2.09.20
[생활한자] 郵 送(역참 우, 보낼 송) [생활한자] 郵 送(역참 우, 보낼 송) ‘오실 것 없습니다. 저희 회사에서 댁으로 우송해 드리겠습니다’의 ‘우송’은? ①牛送 ②隅送 ③郵送 ④郵悚. ‘郵送’은? 郵자는 ‘역참’(post station), 즉 문서나 편지를 전달하는 인마(人馬)를 번갈아 내보내기 위하여 적당한 거리를 두고 설치한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2.09.20
[생활한자] 遺 骨(남을 유, 뼈 골) [생활한자] 遺 骨(남을 유, 뼈 골) ‘선친의 유골을 외국 땅에 안치한 것이 못내 안타까웠다’의 ‘유골’은? ①幽骨 ②遺骨 ③有骨 ④儒骨. ‘遺骨’이란? 遺자의 본래 의미는 길을 가다[?]가 귀(貴)한 물건을 ‘잃어버리다’(lose)는 것이었으니 ‘길갈 착’(?)과 ‘귀할 귀’(貴) 둘 다가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2.09.20
[생활한자] 適 切(알맞을 적, 자를 절) [생활한자] 適 切(알맞을 적, 자를 절) ‘이럴 때에 웃는 것은 적절치 않다’의 ‘적절’은? ①適切 ②適節 ③適絶 ④適折. ‘適切’에 대해 명확하게 알아보자. 適자는 ‘가다’(go)는 뜻이니 ‘길갈 착’(?)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그 나머지가 발음요소임은 摘(딸 적)과 敵(원수 적)도 마찬..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2.09.20
[생활한자] 外 遊(밖 외, 놀 유) [생활한자] 外 遊(밖 외, 놀 유) ‘국회의원들이 다른 나라의 제도를 시찰하기 위해 외유를 떠났다’의 ‘외유’는? ①外乳 ②外誘 ③外留 ④外遊. ‘外遊’란? 外자는 ‘저녁 석’(夕)과 ‘점 복’(卜)이 합쳐진 것으로 ‘저녁 점’이 본뜻이다. 저녁에 친 점은 잘 어긋나기 때문인지,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2.09.18
[생활한자] 不 遇(아닐 불, 만날 우) [생활한자] 不 遇(아닐 불, 만날 우) ‘불우 노인/불우 작가/불우 이웃 돕기/불우 소년 소녀 가장’의 ‘불우’는? ①不佑 ②不虞 ③不遇 ④不右. ‘不遇’란? 不자의 자형 풀이에 대해서는 여러 설들이 많은데 모두 확실한 증거가 없다. 획수가 매우 적으니 그냥 외워 버리는 것이 상책이..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2.09.18
[생활한자] 逃 亡(달아날 도, 망할 망) [생활한자] 逃 亡(달아날 도, 망할 망) ‘벽에 낙서하던 아이들은 선생님을 보자 모두 도망쳤다’의 ‘도망’은? ①逃忙 ②逃亡 ③逃忘 ④逃芒. ‘逃亡’이란? 逃자는 ‘달아나다’(run away)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길갈 착’(? = ? = ?+止 = ‘길’+‘발자국’ = ‘길가다’)이 의..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2.09.18
[생활한자] 要 覽(요긴할 요, 볼 람) [생활한자] 要 覽(요긴할 요, 볼 람) ‘2006학년도 대학 요람을 참고 바랍니다’의 ‘요람’은? ①要覽 ②搖籃 ③要藍 ④搖攬. ‘要覽’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자. 要자는 서 있는 여자(女)의 허리춤에 ‘두 손이 얹어 있는 것’(??·덮을 아)이 변화된 것으로, ‘허리’(the waist)가 본뜻이다.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2.09.18
[생활한자] 達 辯(통달할 달, 말잘할 변) [생활한자] 達 辯(통달할 달, 말잘할 변) ‘그는 달변이지만, 실언을 너무 많이 하는 게 탈이다’의 ‘달변’은? ①達辨 ②達辦 ③達瓣 ④達辯. ‘達辯’이란? 達자는 ‘가다’(go)가 본뜻이니 ‘길갈 착’(?=?)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발음요소인 그 나머지는 幸(행) 아니라, ‘큰 대’(大)와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2.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