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은 藥이다 물은 藥이다 1.신장에 부담을 덜어준다. 노인과 유아는 탈수상태에 대한 예비능력이 없으므로 체내에 수분이 다량 상실되면 바로 장이 상하게 되므로 탈수 상태가 초래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2.혈액의 끈기를 없앤다. 혈액의 끈기를 묽게하여 동맥경화, 심근경색,뇌졸중을 막아준다... 好學의 健康/(한약,양약) 2012.09.02
거풍습약 [사진] ◎ 거풍습약 [사진] 경락과 근육 및 골격사이에 풍습이 침범하여 나타나는 병증으로 사지마비동통, 관절의 염증, 굴신이 잘 안되고 땡기면서 심하면 반신 또는 전신을 움직이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하는 약물이다. 원인을 가려서 풍습과 담을 제거하고 혈액 순환을 개선시켜 경락의 순환.. 好學의 健康/(한약,양약) 2012.08.24
해표약 [사진] ◎ 해표약 [사진] 폐부(肺部)에 침입한 병원균을 제거하여 피부 표면의 표증(表證)을 치료하는 약물로 땀을 내는 효능이 있다. 이에 속하는 표증으로는 오한, 발열, 두통, 전신통이 있으며 땀이 나지 않을 때가 많고 때로는 땀이 나기도 한다. 맥박은 부(浮)하게 나타난다. 이와 같은 작용 .. 好學의 健康/(한약,양약) 2012.08.24
열을 내리는 약 [사진] 2 ◎ 열을 내리는 약 [사진] 2 @목단피(모란의 뿌리 껍질)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모란의 뿌리 껍질이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차다. -혈열로 인한 코피, 토혈에 쓴다. 부인의 생리 전 전신통과 발열을 치료하고 땀이 안 나면서 뼛골이 쑤시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간울(肝鬱).. 好學의 健康/(한약,양약) 2012.08.24
열을 내리는 약 [사진] 1 ◎ 열을 내리는 약 [사진] 1 열나면 이런 약들을 열렬히 찾아 드세요. 인체 내부의 열을 내리는 작용이 있는 약초이다. 약의 성질이 차고 대체로 쓴맛을 가진 것이 많으며 인체의 열을 끄는 것, 피를 식히는 것, 독을 풀어 주는 것 등의 종류가 있다. 성질이 차므로 잘못 사용하면 소화 기능.. 好學의 健康/(한약,양약) 2012.08.24
이기약 [사진] ◎ 이기약 [사진] 기가 막힐 때 기막히게 잘 듣는 약들이다. 우리 몸의 막힌 기운을 풀어주고 순환을 잘 할 수 있도록 하는 약들이다. 대체로 맵고 따뜻하며 특유의 향기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향부자 -사초과의 여러해살이 풀인 향부자의 뿌리줄기 -맛은 맵고 약간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好學의 健康/(한약,양약) 2012.08.24
보익약 [사진] 2 ◎ 보익약 [사진] 2 @영지 -불로초과의 영지의 지상부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신체 허약에 정기를 증강시키고 폐허로 인한 오래된 해수, 천식에 좋다. 잠을 못 자고 꿈이 많으면서 가슴이 뛰는 증상과 건망증에도 활용한다. 고혈압, 고지혈증, 관상동맥경화증, 간 기능 활성화에 효력.. 好學의 健康/(한약,양약) 2012.08.24
보익약 [사진] 1 보익약 [사진] 1 밥이 보약이 안될 땐 이 약들을 같이 드셔보세요. 원기가 부족해서 일어나는 일체의 병증을 치료하는 약물이다. 기의 허약, 양기(陽氣)의 허약, 음기(陰氣)의 허약 및 혈의 부족 현상을 치료하는 약초들이다. @인삼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 인삼의 뿌리이다. 잎, 줄기, .. 好學의 健康/(한약,양약) 2012.08.24
본초의 기본적 이론 ◎ 본초의 기본적 이론 어떤 약이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고 그 약이 몸 속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그 약이 가진 기(氣)와 맛(味), 그리고 귀경(歸經)을 이해하면 된다. 이렇게 기와 맛, 귀경으로 한약의 성질과 효능을 설명하는 방식을 '기미론(氣味論)'이라고 한다. *약의 .. 好學의 健康/(한약,양약) 2012.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