好學의 文學/[신앙고백]Tolstoy 28

[스크랩] 제 2 장 하나님을 섬김  THE SERVICE OF GOD  

제 2 장 하나님을 섬김  THE SERVICE OF GOD   Therefore man should work not for the flesh, but for the spirit. 그러므로 사람은 육을 위해서 일하지 말고 영을 위해서 일하여야 한다 “WHICH ART IN HEAVEN” “하늘에 계신”   예수가 어느 토요일 그의 제자들과 함께 들판을 가로질러 가고 있었다. 제자들은 배..

[스크랩] 제 1 장 THE SON OF GOD 하나님의 아들  

제 1 장 THE SON OF GOD 하나님의 아들   하나님의 아들인 사람은 육 안에서 약하나 영 안에서 자유롭다 우리 아버지’ 예수 그리스도의 출생은 이러했다:   그의 어머니 마리아는 요셉과 약혼했다. 하지만 그들이 남편과 아내로서 살아가기 전에 마리아는 잉태하였음이 드러났다. 요셉은 하지만 좋은 사..

[스크랩] 제 6 장. 전쟁에 대한 오늘날의 사람들 자세 2 [終]

제 6 장. 전쟁에 대한 오늘날의 사람들 자세 2 This practical notion has been put forth by Maxime du Camp, and his article concludes with it. The propositions of M. du Camp are as follows: 1. A diplomatic congress to be held every year. 2. No war to be declared till two months after the inci­dent which provoked it. (The difficulty here would be to decide precisely what incident..

[스크랩] 제 6 장. 전쟁에 대한 오늘날의 사람들 자세 1

6. 전쟁에 대한 오늘날의 사람들 자세 1 People do not Try to Remove the Contradiction between Life and Con­science by a Change of Life, but their Cultivated Leaders Exert Every Effort to Obscure the Demands of Conscience, and Justify their Life; in this Way they Degrade Society below Paganism to a State of Prime­val Barbarism-Undefined Attitude of Modern Leaders of Thought t..

[스크랩] 제 5 장 우리의 삶과 우리의 기독교적 양심의 모순 2

제 5 장 우리의 삶과 우리의 기독교적 양심의 모순 2 경제적인 모순에 대한 것은 그만 이야기 하기로 하자. 정치적 모순은 훨씬 더 두드러진다. 무엇보다 먼저 모든사람들은 국가의 법률에 복종하는 습관으로 키워져 왔다. 현대의 모든 존재는 법률로써 정의된다. 사람은 법률에 따라서 결혼하며 이혼 ..

[스크랩] 제 5 장 우리의 삶과 우리의 기독교적 양심의 모순 1

제 5 장 우리의 삶과 우리의 기독교적 양심의 모순 1 사람들은 자신들의 삶을 바꾸지 않고서 기독교를 받아들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이교적 개념의 삶은 인류의 현재 발전 단계에 일치하지 않는다, 그리고 기독교적인 개념만이 그것과 일치할 수 있다-기독교적 개념의 삶은 아직 사람들에게 이해되지 ..

[스크랩] 제 4 장 학자들에 의해서 오해되는 기독교 2

제 4 장 학자들에 의해서 오해되는 기독교 2 이상의 필수 조건들을 포기하는 것은 완성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이상 자체를 끝장내는 것이다. 사람들에게 힘을 가지고 있는 그 이상은 누군가에 의해서 고안된 이상이 아니라 각자의 사람들이 자신의 영혼에 지니고 다니는 이상이다. 오직 이..

[스크랩] 제 4 장 학자들에 의해서 오해되는 기독교 1

제 4 장 학자들에 의해서 오해되는 기독교 1 CHRISTIANITY MISUNDERSTOOD BY MEN OF SCIENCE. -종교들 일반에 관한 학자들의 태도- 종교는 무엇인가, 그리고 인류의 삶에서 그것의 중요성은 무엇인가-기독교, 삶에 대한 신적인 개념의 표현-과학자들에 의한 기독교의 오해, 그들은 기독교를 그 외적인 표상들로서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