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8주 동양명언 제68주 동양명언 :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삶의 자세를 생각합니다.. ◈ [금주 명언] - 一苦一樂으로 相磨練하여, 練極而成福者는 其福이 始久矣니라. ◆ [독음] - 일고일락 상마련, 연극이성복자 기복 시구의. ▶ [출전] - 『채근담(菜根譚)』 <전집(前集) 74장> ◈ [해석] - 괴로움과 즐거움을 함께 맛보..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09.10.03
우수한 고사성어2 上和下睦하고 夫唱婦隨라 상화하목 부창부수 출전 : 千字文(천자문) 웃사람이 화목하면 아랫사람은 공경하고 남편이 말을 하면 아내는 거기에 순종한다.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출전 : 論語(논어) 배우고 때때로 그것을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非禮勿視하고 非禮勿聽하..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09.09.22
우수한 고사성어 花看半開하고, 酒飮微醉이니라. 화간반개 주음미취 출전 : 菜根譚 (채근담) [훈음] 花 : 꽃 (화) | 看 : 볼 (간) | 半 : 반 (반) | 開 : 열 (개) | 酒 : 술 (주) | 飮 : 마실 (음) | 微 : 작을 (미) | 醉 : 취할 (취) 꽃은 반절만 피었을 때 감상하고, 술은 약간 취하게 마시는게 좋다. [꽃을 감상하려면 반쯤 피었을때가 ..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09.09.22
조명시리(朝名市利) 장욕취지, 빈선여지(將欲取之, 必先與之) 미봉(彌縫) 조명시리(朝名市利) 장욕취지, 빈선여지(將欲取之, 必先與之) 미봉(彌縫) 조명시리(朝名市利) -무슨 일이든 적당한 장소에서 행하라 朝:아침 조정 조. 名:이름 이름날 명. 市:저자 시. 利:이로울 리. [유사어] 적시적지(適時適地). [참조] 일거양득(一擧兩得). [출전]《戰國策》〈秦策〉 명성은 조정에서 ..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09.09.22
삼인성호(三人成虎) 백발삼천장(白髮三千丈) 양두구육(羊頭狗肉) 삼인성호(三人成虎) 백발삼천장(白髮三千丈) 양두구육(羊頭狗肉) 삼인성호(三人成虎) 三 석 삼. 人 사람 인. 成 이룰 성. 虎 범 호. [준말] 시호(市虎). [동의어] 시유호(市有虎), 시호삼전(市虎三傳), 삼인언이성호(三人言而成虎). [유사어] 증삼살인(曾參殺人), 십작목무부전 [출전] 韓非子 內儲設 / 戰國..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09.09.22
구상유취(口尙乳臭) 구밀복검(口蜜腹劍) 교언영색(巧言令色) 구상유취(口尙乳臭) 구밀복검(口蜜腹劍) 교언영색(巧言令色) 교언영색(巧言令色) -발라 맞추는 말과 알랑거리는 태도 巧:교묘할 교, 言:말씀 언, 令:명령할 하여금 령, 色:빛 색 [반의어] 강의목눌(剛毅木訥), 성심성의(誠心誠意). [참조] 눌언민행(訥言敏行). [출전]《論語》〈學而篇〉 발라 맞추는 말과 ..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09.09.22
노마지지(老馬之智) 노마지지(老馬之智) 老늙을 로 馬말 마 之갈 지 智슬기 지혜 지 늙은 말의 지혜란 뜻으로 아무리 하찮은 것일지라도 저마다 장기나 장점을 지니고 있음으로 이르는 말 춘추시대, 오패의 한 사람이었던 제나라 환공(재위B.C. 685∼643) 때의 일이다. 어느 해 봄, 환공은 명재상 관중(? ∼ B.C 645)과 대부 습붕..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09.09.22
논어 위정편(爲政篇) 논어 위정편(爲政篇) <子曰…>七十而從心所欲하여 不踰矩라.(爲政) <자왈…> 칠십이종심소욕하여 불유구라. (위정) 일흔 살에는 무엇이나 내가 하고 싶은 대로해도, 법도에 어긋나는 일이 없었다. 공자의 말이다. 나는 일흔 살이 되어서는 자신이 하고 싶은 대로 행동해도 결코 궤.. 好學의 漢字文學/[사서오경]四書五經 2009.09.22
고사성어 (사람.인생) 고사성어 (사람) 인물에 대한 비평을 일컫는 말 : 월단평(月旦評) 인사(人事)에 있어 가장 중요한 일은 처음부터 직목(直木) 과 같은 인물을 쓰는일 : 곡목구곡목(曲木求曲木) 인생은 순식간에 슬쩍 지나가고 만다 : 인생여구과극(人生如駒過隙) 인생은 아침 이슬과 같이 덧없다는 말 : 인생조로(人生朝..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09.09.22
군자에게는 아홉 가지의 생각이 있다 군자에게는 아홉 가지의 생각이 있다 1. 사물을 보라. 무엇이든 가리지 말고 보라. 다만 곁눈질을 하지 말것이며 흩눈질을 하지 말 것이다. 똑바로 보고 어둡게 보지를 말라. 오로지 밝게 보라. 그러면 사랑이 보일 것이다. 그러므로 사물을 "볼때는 밝음을 생각하라(視思明)." 군자는 그렇.. 好學의 漢字文學/[사서오경]四書五經 2009.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