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우수한 고사성어2

好學 2009. 9. 22. 08:50

 

上和下睦하고 夫唱婦隨라
상화하목   부창부수

출전 : 千字文(천자문)

 
웃사람이 화목하면 아랫사람은 공경하고
남편이 말을 하면 아내는 거기에 순종한다.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출전 : 論語(논어) 

배우고 때때로 그것을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非禮勿視하고 非禮勿聽하라
비례물시   비례물청

출전 : 論語(논어)

예가 아니거든 보지 말고 예가 아니거든 듣지 말라.

 

 

 

敏而好學이요 不恥下問하라
민이호학  불치하문

출전 : 論語(논어)

부지런히 배우기를 좋아하고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해서는 안된다

 

 

 

 

言忠信하고 行篤敬이라.

언충신   행독경

말은 성실하고 진실해야 하며,

행실은 독실하고 신중해야 한다.

 

 

 

忠言은 逆於耳而利於行이라

충언 역어이이리어행

출전 : 孔子家語(공자가어)

충언(충고하는 말)은 귀에는 거슬리지만 행동에는 이롭다.

 

 

 

知足不辱이요 知止不殆니라
지족불욕  지지불태

출전 : 老子(노자)

만족할 줄 알면 욕을 당하지 않고

그칠 줄 알면 위태로움에 빠지지 않는다

 

 

 

寧爲鷄口언정 無爲牛後라
영위계구  무위우후
출전 : 史記(사기)

차라리 닭의 주둥이가 될지언정 소꼬리는 되지 마라

 

 

 

富貴不歸故鄕이면 如衣錦衣行이라
(부귀불귀고향)   (여의금의행)

출전 : 漢書(한서)

부귀해지고도 고향에 돌아가지 않는다면

비단옷을 입고 밤에 돌아 다니는 것과 같다.

 

 

 

君子는 以文會友하고 以友輔仁이니라
군자 이문회우   이우보인
출전 : 論語(논어)

군자를 글로써 벗을 모으고 그 벗으로써 仁을 돕니다. 

 

 

 

月滿則缺하고 物盛則衰니라
월만즉결   물성즉쇠

출전 : 史記(사기)

달은 차면 기울어지고 만물은 성하면 쇠한다.

 

 

 

君子는 喩於義하고 小人은 喩於利니라

군자    유어의     소인    유어리

출전 : 論語(논어)

군자는 의에 밝고 소인은 이익에 밝다.

 

 

 

父母在어시든 不遠遊하며 遊必有方이니라

부모재      불원유      유필유방

출전 : 論語(논어)

부모가 살아계시거든 멀리 떠나지 말아야 하며,

부득이 떠날 경우에는 반드시 가는 곳을 밝혀야 하느니라.

 

 

 

己所不欲을 勿施於人하라
기소불욕   물시어인
출전 : 論語(논어)

자기가 하고 싶지 않은 것을 남에게 베풀지 말라.

 

 

 

福生於淸儉하고 德生於卑退라
복생어청검     덕생어비퇴
출전 : 韓非子(한비자)

복은 청렴하고 검소한 데에서 생겨나고,

덕은 자신을 낮추고 양보하는 데서 생긴다.

 

 

 

不患人之不己知요 患不知人也라
불환인지불기지   환부지인야
출전 : 論語(논어)

남들이 자기를 알아주지 않는 것을 걱정하지 말고

남을 알지 못함을 근심할 것이니라.

 

 

 

不信乎朋友면 不獲乎上矣리라
불신호붕우   불획호상의
출전 : 論語(논어) 

벗에게 믿음이 없으면 윗사람에게도 신임을 얻지 못한다.

 

 

 

自非生知者면 必資學問而知之니라
자비생지자   필자학문이지지
출전 : 童蒙先習(동몽선습)


나면서부터 아는자가 아니거든 반드시 학문에 힘입어서 알아야 한다.

 

 

 

  言不中理면 不如不言이니라.
언불중리   불여불언
출전 : 明心寶鑑 (명심보감)

말이 도리에 맞지 않을 때는 아니함만 못하다.

 

 

 

知足可樂이요, 務貪則憂이니라.
지족가락      무탐즉우
출전 : 明心寶鑑 (명심보감)

[훈음]
知 : 알 (지) | 足 : 만족할 (족) | 可 : 가히 (가) | 樂 : 즐거울 (락), 풍류 (악), 좋아할 (요) | 務 : 힘쓸 (무) | 貪 : 탐할 (탐) | 則 : 곧 (즉)

| 憂 : 근심 (우)

만족할 줄 알면 즐겁게 살고, 탐욕에 힘쓰면 근심스럽게 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