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호빙하(暴虎馮河) 포호빙하(暴虎馮河) ; 맨 손으로 범을 잡고 배없이 강을 건넌다. 아무 준비도 없이 무모하게 쓸 데 없는 용기만 내는 사람을 말함.暴:사나울 폭(관용)·포. 虎:범 호. 馮:탈 빙. 河:물 하 [동의어] 포호빙하지용(暴虎馮河之勇) [참조] 전전긍긍(戰戰兢兢). [출전] ≪論語≫ 〈述而篇〉맨손으로 범에게 덤비..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1.23
파죽지세(破竹之勢) 파죽지세(破竹之勢) ; 대나무를 쪼개는 기세라는 뜻. 곧 ① 맹렬한 기세. ② 세력이 강대하여 적대하는 자가 없음의 비유. ③ 무인지경을 가듯 아무런 저항도 받지 않고 진군함의 비유. 《出典》'晉書' 杜預傳 위(魏)나라의 권신(權臣) 사마염(司馬炎)은 원제(元帝)를 폐한 뒤 스스로 제위(帝位)에 올라 ..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1.23
퇴고(推敲) 퇴고(推敲) ; 글을 지을 때 여러 번 다듬고 고치는 일 당(唐)나라 시인(詩人) 가도(賈島)가 말 위에서 <승퇴월하문(僧推月下門)>의 싯귀가 떠올라 한유(韓愈)에게 물어 <퇴(推);밀다>를 <고(敲);두드리다>로 고친 데에서 유래. 推:밀 퇴·옮을 추. 敲:두드릴 고 [출전]《唐詩紀事》〈卷四十 題..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1.23
토사구팽(兎死狗烹) 토사구팽(兎死狗烹) ; '교토사 주구팽(狡兎死走狗烹)'의 준말로, 토끼가 죽고 나면 토끼를 잡던 사냥개도 필요가 없게 되어 삶아 먹히게 된다는 뜻. 즉, '필요한 때는 쓰고 필요할 때는 버리는 야박한 세정(世情)'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出典》'史記' 淮陰侯列傳 十八史略 초패왕(楚覇王) 항우(項羽)를..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1.23
태산북두(泰山北斗) 태산북두(泰山北斗) ; ① 태산과 북두성. ② 세상 사람으로부터 가장 존경을 받는 사람. 《出典》'唐書' 韓愈傳贊 唐나라 때 4대 시인(四大詩人)의 한 사람으로서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중 굴지의 명문장가로 꼽혔던 한유(韓愈 : 字는 退之)는 768년 지금의 하남성(河南省)에서 태어났다. 그는 9대 황제..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1.23
타산지석(他山之石) 타산지석(他山之石) ; 다른 산에서 난 나쁜 돌도 자기의 구슬을 가는데에 소용이 된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하찮은 언행일지라도 자기의 지덕을 연마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는 말이다. 《出典》'詩經' 小雅篇 이 말은《詩經》'小雅'의 <학의 움음(鶴鳴)>에 실려 있다. 학이 높은 언덕에서 울거늘, ..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1.23
明心寶鑑 第16篇 安義篇 明心寶鑑 第16篇 安義篇 (안의편) 현명한 이는 가족을 사랑하고 어리석은 이는 가족을 멀리 한다. <1> 顔氏家訓曰夫有人民而後(안씨가훈왈부유인민이후)에 : 안씨 가훈에 말하기를, "대저 백성이 있은 후에 有夫婦(유부부)하고 : 부부가 있고 有夫婦而後(유부부이후)에 : 부부가 있은 .. 好學의 漢字文學/[명심보감]明心寶鑑 2010.01.23
明心寶鑑 第15篇 治家篇 明心寶鑑 第15篇 治家篇 (치가편) '家和萬事成(가화만사성)' <1> 司馬溫公曰凡諸卑幼事無大小(사마온공왈범제비유사무대소)이요 : 사마온공이 말하기를, "무릇 손아래 사람들은 일의 크고 작음이 없이 毋得專行(무득전행)하고 : 제멋대로 행동하지 말고 必咨稟於家長(필자품어가장)이.. 好學의 漢字文學/[명심보감]明心寶鑑 2010.01.23
제83주 동양명언 제83주 동양명언 : 인생의 참된 가치를 찾기 위한 노력을 생각해 봅니다.. ◈ [금주 명언] - 金玉崇而寇盜至하고, 名位高而憂責集.이라. ◆ [독음] - 금옥숭이구도지, 명위고이우책집. ◆ [한자] - 금 금/ 구슬 옥/ 숭상할 숭/ 말이을 이/ 도둑 구/ 도둑 도/ 이를 지// 이름 명/ 지위 위/ 높을 고/ 말이을 이/ 근..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10.01.18
제81주 동양명언 제81주 동양명언 : 사회 正義의 목소리는 개인의 굳은 信念에서 그 빛을 발합니다.. ◈ [금주 명언] - 衆惡之라도 必察焉 하고, 衆好之 라도 必察焉이니라.. ◆ [독음] - 중오지 필찰언, 중호지 필찰언. ◆ [한자] - 무리 중/ 미워할 오/ 어조사 지/ 반드시 필/ 살필 찰/ 어조사 언// 무리 중/ 좋아할 오/ 어조사..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10.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