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이야기]<836> [한자 이야기]<836> 有敎면 無類니라 가르침이 있으면 종류가 없다. 우리는 공자를 위대한 교육자라고 일컫는다. 공자의 교육 사상을 가장 선명하게 드러내주는 말이 ‘논어’ ‘衛靈公(위령공)’편의 이 章이다. 곧, ‘有敎無類’는 가르침에 차별을 두지 않으려는 평등교육의 이상을 담았다. 無..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2.27
[한자 이야기]<834> [한자 이야기]<834> 當仁하여는 不讓於師니라 仁의 실천은 나의 자율에 의해서 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仁을 실천할 때 마땅히 스스로 용맹스럽게 해나가야 하기에, 스승에게조차 양보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공자는 ‘논어’ ‘衛靈公(위령공)’의 이 章에서 그점을 단호하게 말했다. 當仁은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2.22
필부지용(匹夫之勇) 필부지용(匹夫之勇) ; 소인의 혈기에서 나오는 용기 《出典》'孟子' 梁惠王下 齊나라 宣王이 물어 보았다. "이웃나라와 사귀는 데 방법이 있습니까?" 孟子가 대답했다. "있습니다. 오직 仁者라야 능히 큰 나라로써 작은 나라를 섬길 수 있습니다.그러므로 殷나라 湯王이 갈(葛)나라를 섬기고, 周文王이 ..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1.23
풍성학려(風聲鶴儢) 풍성학려(風聲鶴儢) ; 바람 소리와 울음소리란 뜻으로, 겁을 먹은 사람이 하찮은 일이나 작은 소리에도 몹시 놀람의 비유. 風:바람 풍. 聲:소리 성. 鶴:학 학. :학울 儢. 《出典》'晉書' 謝玄傳 동진(東晉)의 명장 사현(謝玄)은 진왕(秦王) 부견(符堅)이 직접 이끌고 내려온 백만에 가까운 군사를 맞아 겨우..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1.23
표사유피(豹死留皮) 표사유피(豹死留皮) ; 표범은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는 뜻. 사람은 사후(死 後)에 이름을 남겨야 함의 비유. 《出典》'新五代史' 死節篇 왕언장(王彦章)은 한갓 병졸에서 시작하여 후량(後梁) 태조(太祖) 주전충(朱全忠)의 장군이 되었다. 그는 뛰어난 용기와 힘으로 쇠창을 옆에 끼고 촉한(蜀漢)의 조자..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