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를 위한 지혜 CEO를 위한 지혜 이명박 대통령은 8월 15일 광복절[2011년] 경축사에서 새로운 경제모델로 공생발전을 제시했다. 대기업의 성과 독식을 비판하고 이윤과 탐욕의 경제발전에서 나눔과 상생의 경제발전으로 축을 전환하자는 게 골자였다. 공생발전 이론은 아시아적 가치에서 바라보면 상도(商道)의 기본 .. 好學의 時事/[시사 칼럼] 2011.09.09
내려놓기 내려놓기 비행기가 자의에 의해 내려오면 착륙이고 자의에 반해 내려오면 추락이라고 한다. 우리 인생도 마찬가지이다. 과연 자신의 인생을 안전하게 착륙시킬 것인가, 아니면 추락시킬 것인가. 그것은 전적으로 자신의 선택에 달려있다. 앞만 보고 달려온 공직의 길 36년. 말 그대로 산전수전, 공중전.. 好學의 時事/[시사 칼럼] 2011.09.09
책사(策士) 책사(策士) 조선 개국의 사상적 기반과 태조 이성계의 통치 철학을 제시한 정도전(1342∼1398)은 조선 왕조의 설계자로 불린다. 조선의 수도를 한양으로 정하는 작업을 총감독했고 조선경국전을 지어 통치 규범을 공고히 했다. 그는 주군(主君)을 통해 세상을 바꾸려 했다. 조선조 태조는 재임 7년 동안 .. 好學의 時事/[시사 칼럼] 2011.09.06
<7> 대구 범어교회 [다시 빛과 소금으로]<7> 대구 범어교회 대구 수성구 범어교회는 헌신적인 봉사활동과 다양한 문화강좌로 지역 주민과 소외계층,타 종교인들에게 열린 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장영일 담임목사 범어교회는 매년 지체장애와 시각장애로 외출이 불편한 60여 명의 이웃들과 봄맞이 소풍을.. 好學의 時事/[교회소식]본이 되는 교회 2011.09.03
아~ ‘배꼽산’ 아~ ‘배꼽산’ 작고 사진작가에 이종화(李宗和) 선생이 계시다. 1938년 세브란스 의전을 졸업한 의사이면서 사진에 많은 열정을 바쳤던 분이다. 그분이 1965년에 펴낸 '문학산'이란 책자에는 당시로서는 쉬 볼 수 없었던 천연색 사진 12장을 비롯해 흑백 사진 30장이 자세한 설명과 함께 실려 있다. 문학.. 好學의 時事/[인천]역사이야기 2011.08.27
박물관 도시로 박물관 도시로 중일전쟁 때, 일본군이 중국군 포로들을 잡았다. 그들의 배낭에는 하나같이 기름에 튀겨 말린 국수 뭉치가 담겨져 있었다. '라미엔'이라는 비상 식량이었다. 일본인들이 '라미엔'을 '카피'해 1958년 간편식으로 개발한 것이 '일청'식품 주식회사의 '라멘'이었다. '라멘'이 '라면'으로 이름.. 好學의 時事/[인천]역사이야기 2011.08.27
외세 막은 화도진 외세 막은 화도진 19세기에 들어 인천 앞바다에는 이상한 모양을 한 배들이 자주 출몰했다. 선체는 하나같이 검은 칠을 칠했는데, 조선의 병선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큰데다가 수 백 명의 군사를 싣고도 재빠르게 항진해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1866년 마침내 프랑스가 함대를 몰고 와 강화에서 약탈.. 好學의 時事/[인천]역사이야기 2011.08.27
內洞, 상가 1번지 인천이야기/ 內洞, 상가 1번지 중구 내동의 옛 이름을 내리라고 아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이 동네의 이름은 원래 ‘내동’ 이었다. 그런 것을 일제가 부제를 실시하면서 '내리'로 바꾸었던 것이다. 이 곳이 한국인 상가의 중심지로 부상한 것은 1920년대 전후였다. 오늘날 중소 기업 은행에서 경동 파.. 好學의 時事/[인천]역사이야기 2011.08.26
청일전쟁과 보물선 찾기 [인천이야기] 청일전쟁과 보물선 찾기 인천 앞바다 덕적도 해상에서 ‘보물선’ 고승호의 인양 작업이 한창이라는 보도가 있었다. 이 배에는 멕시코 은화인 무역은과 중국의 마제은(말발굽 형태의 은괴) 등이 600t, 시가로 쳐서 1000억 원어치가 실려 있다는 얘기이다. 1975년 10월 신안 앞바다에서 고려와.. 好學의 時事/[인천]역사이야기 2011.08.26
[인천이야기] 궁핍했던 50년대 [인천이야기] 궁핍했던 50년대 1950년대는 궁핍했다. 전쟁 뒤에도 먹는 것, 입는 것 자체가 여전히 생존의 목적처럼 여겨졌던 때였다. 아낙네들은 ‘몸빼’에 검정 고무신이 표준 패션이었고, 남정네들은 누구랄 것도 없이 ‘사지’나 ‘스몰’이라 불리는 군복을 시커멓게 물들여 입고, 미군 장교용 검.. 好學의 時事/[인천]역사이야기 2011.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