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루살렘 대성전(Temple of Jerusalem) 4 예루살렘 대성전(Temple of Jerusalem) 4 다윗의 법정 바위돔 사원 바로 동쪽 편에는 ‘쇠사슬 사원’(Dome of the Chain)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다윗의 법정’이 있다. 이 사원은 바위 돔 사원을 축소해 놓은 듯 한 구조를 하고 있는데 바위돔 사원을 지은 칼리프 아브드 알 말리크에 의해 지어진 것으로 바위 돔.. 好學의 時事/[시사 칼럼] 2011.10.01
예루살렘 대성전(Temple of Jerusalem) 1 예루살렘 대성전(Temple of Jerusalem) 1 다윗이 예루살렘을 수도로 정한지 약 3000년의 역사가 흘렀다. 그 역사의 중심에 있는 곳이 바로 ‘예루살렘 성전’이다. 우리는 이스라엘 3000년의 역사에서 그 주인공은 유대인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유대인이 지배하던 시대는 약 550년, 그리스도교는 약 400년 그리.. 好學의 時事/[시사 칼럼] 2011.10.01
<11> 춘천 한마음교회 <11> 춘천 한마음교회 김성로 목사 1990년에 버려진 소 우리에 바닥과 장판을 깔고 시작한 교회 건물은 신도가 1300명을 넘어선 지금까지도 그 모습 그대로다. 조만간 교회 용지 한가운데로 도로가 생길 예정이어서 재건축이 불가피하지만 김성로 담임목사는 “우리는 허름하고 검소한 건물이 좋다. .. 好學의 時事/[교회소식]본이 되는 교회 2011.10.01
타지마할 사원 타지마할 사원 휘영청 보름달이 타지마할 사원의 첨탑을 감싸면 야무나 강 위에는 사원의 상앗빛 잔영이 출렁인다. 무갈 제국 황제 샤자한의 세 번째 부인 뭄타스 마할은 황제의 14번째 아이를 낳다가 39세 나이로 요절했다. 신혼 첫날밤 황제는 뭄타스의 아름다움에 매혹돼 밤새 그녀의 얼굴만을 바라.. 好學의 時事/[시사 칼럼] 2011.09.29
생활의 달인 `생활의 달인` `슈퍼스타K` `위대한 탄생`을 필두로 시작된 서바이벌 예능 프로그램 열풍이 `나는 가수다`로 꽃을 피우더니 각 분야와 장르에서 유사한 프로그램이 줄을 잇고 있다. 세련된 연예인이 아닌 평범하지만 재능 있는 인재를 발굴한다는 취지는 훈훈했으나 지나치게 팽팽한 경쟁으로 보는 사.. 好學의 時事/[시사 칼럼] 2011.09.27
<10> 안산동산교회 <10> 안산동산교회 교회가 운영하는 장애인 재활시설에서 회원들이 물건을 만들며 재활훈련을 하고 있다.안산동산교회 제공 경기 안산시 안산동산교회는 교육과 장애인 사역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의 실핏줄 역할을 하고 있다. 김인중 담임목사는 “배고픈 시절 내가 잡을 수 있는 지푸라기는 하나.. 好學의 時事/[교회소식]본이 되는 교회 2011.09.26
유럽 좌파에는 있고, 한국 좌파에는 없다 유럽 좌파에는 있고, 한국 좌파에는 없다 소련수용소 참상 본 유럽 좌파는 공산당 비판하며 집권까지 성공, 공산좌파와 反共좌파의갈림길에 서있는 한국 좌파는 수용소 끌려간 혜원·규원 위해 촛불 들 수 있을 만큼 정직한가 프랑스에서 '좌파(gauche)'라는 말은 1789년 대혁명 당시 국회에서 급진파가 .. 好學의 時事/[시사 칼럼] 2011.09.24
커피=양탕국…1885년 대불호텔서 첫선 커피=양탕국…1885년 대불호텔서 첫선 커피가 숭늉을 물리치고, 한국인의 음료로 자리잡은 지도 꽤 오래됐다. 국사편찬위원회가 펴낸 '한국사' 제44권은 커피의 도입과 관련, "1892년 구미 제국들과 수호조약이 체결되면서 커피를 전했을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왕가에서 커피를 즐겨 마셨는데, 고종은 .. 好學의 時事/[인천]역사이야기 2011.09.16
사라진 三木島 사라진 三木島 삼목도(三木島)는 영종도와 용유도 사이의 작은 섬이었다. 이 지역에 인천국제공항이 들어서면서 세 섬 사이의 바다가 하루아침에 매립되는 바람에 이미 섬으로서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 섬의 이름을 '삼목'이라 한 데는 '섬 한가운데 나무 세 그루가 있었다'는 설과 '바닷물이 .. 好學의 時事/[인천]역사이야기 2011.09.16
인천이야기 - 담배 인천이야기-담배 담배를 맨 먼저 피운 이들은 아메리카 원주민이었다고 한다. 1492년 지금의 아메리카를 찾아갔던 콜럼버스에 의해 유럽에 알려졌다. 담배란 뜻의 타바코(Tabacco)는 원래 원주민의 끽연 도구를 가리켰다는 것. 그 '타바코'가 일본식 발음 '다바꼬'로 바뀌었고, 그것이 다시 '담바고'에서 '.. 好學의 時事/[인천]역사이야기 2011.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