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레니우스 (Irenaeus) 이레니우스(Irenaeus) (1) 이레니우스(Irenaeus, 주후 130-202)의 생애 소아시아(동북 지중해안)의 서머나 지방에서 출생 했으나 그 연대는 확실치 않습니다. 대략 135년 경으로 봅니다. 당시 소아시아(안디옥)는 다양한 종교적 철학적 교리들의 접촉지로서 로마제국의 가장 중요한 도시중의 하나.. 好學의 神學/[世界信仰人] 2012.08.24
옥스포드 광야시절과 George Whitefield의 거듭남 3 옥스포드 광야시절과 George Whitefield의 거듭남 3 횟필드는 기도를 통해서도 이와 유사한 기쁨을 누렸다. 그의 말을 들어보자. “오! 나는 글로스터에 다시 온 이후에 매일 기도할 때마다 하나님과 얼마나 달콤한 교제(sweet communion)를 누렸는지 모른다. 들판에서 달콤하게 묵상에 잠기면서 내.. 好學의 神學/[世界信仰人] 2012.08.24
옥스포드 광야시절과 George Whitefield의 거듭남 2 옥스포드 광야시절과 George Whitefield의 거듭남 2 3) 헨리 스쿠갈(Hen Scougal)과의 만남 '홀리클럽'의 영향 가운데서 휫필드는 어느날 자신의 비전과 내면의 세계까지 송두리째 바꾸어줄 만한 결정적인 변화를 체험했다. 실로 그것은 휫필드의 생애를 바꾸어 놓은 결정적인 사건이었다. 어렸을 .. 好學의 神學/[世界信仰人] 2012.08.24
옥스포드 광야시절과 George Whitefield의 거듭남 1 옥스포드 광야시절과 George Whitefield의 거듭남 1 옥스포드 시절과 거듭남 휫필드는 짧은 기간 동안 교회 부설학교에 다니면서 많은 고전들과, 헬라어성경, 그리고 라틴어까지 공부하였다. 휫필드의 어머니는 아들이 계속해서 교육을 받을 수없는 형편에 대해서 늘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었.. 好學의 神學/[世界信仰人] 2012.08.24
존 스토트(John Robert Walmsley Stott) 4 존 스토트(John Robert Walmsley Stott) 4 존 스토트- 4 복음주의의 위대한 유산 존 스토트 존 스토트(John R.W. Stott) 수년 전 어느 고독한 소년이 하나님을 찾고자 작고 어두운 예배당으로 들어갔다. 훗날 그 소년은 마침내 그리스도께 자신의 삶을 내어 드리게 되었다. 그것은 그의 생애에서 가장 의.. 好學의 神學/[世界信仰人] 2012.04.21
존 스토트(John Robert Walmsley Stott) 3 존 스토트(John Robert Walmsley Stott) 3 존 스토트- 3 복음주의의 위대한 유산 존 스토트 다리 놓기로서의 설교 존 스토트는 설교를 ‘두 세계 간의 다리 놓기’(bridge-building)로 정의한다. 그에 따르면, 성경의 세계와 현대 사이에는 공간적?시간적 차이가 만든 문화적 차이로 인해 깊은 골을 가지.. 好學의 神學/[世界信仰人] 2012.04.21
존 스토트(John Robert Walmsley Stott) 2 존 스토트-2 복음주의의 위대한 유산 존 스토트 존 스토트(John Robert Walmsley Stott)는 현존하는 탁월한 설교가이자, 복음 전도자이며, 기독교 학자이고, 저술가다. 그는 20세기 후 반에 기독교계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세계 복음주의 신앙의 대표적인 목회자로 평가받고 있다. 영국 복음주의 신.. 好學의 神學/[世界信仰人] 2012.03.25
존 스토트(John Robert Walmsley Stott) 1 존 스토트-1 복음주의의 위대한 유산 존 스토트 존 스토트(John Robert Walmsley Stott)는 현존하는 탁월한 설교가이자, 복음 전도자이며, 기독교 학자이고, 저술가다. 그는 20세기 후 반에 기독교계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세계 복음주의 신앙의 대표적인 목회자로 평가받고 있다. 영국 복음주의 신.. 好學의 神學/[世界信仰人] 2012.03.25
[칼 바르트의 교회교의학] 서평 3 [칼 바르트의 교회교의학] 서평 3 오토 베버 저 / 김광식 역 / 기독교서회(서울:1983) 부제 : 칼 바르트의 신학과 그 내부적 모순 Ⅲ. 평 가 1. 바르트의 신학에서의 취약점은, 바르트의 신학에서의 취약점은, 하나님과 인간의 개념 구성에 있어 성경에서 출발하지 않고 계시로 출발한데 있다. .. 好學의 神學/[世界信仰人] 2012.03.24
[칼 바르트의 교회교의학] 서평 2 [칼 바르트의 교회교의학] 서평 2 오토 베버 저 / 김광식 역 / 기독교서회(서울:1983) 부제 : 칼 바르트의 신학과 그 내부적 모순 Ⅱ. 본 론 1. 계시와 말씀의 관계 바르트는, 기존 신학이 말씀에 접근하는 사고방식을 뿌리채 뽑아 내던져버리는 작업에 나선다. 따라서 똑같은 본문을 설명해도 .. 好學의 神學/[世界信仰人] 2012.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