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이야기]<912>君子는 尊賢而容衆하며 嘉善而矜不能이니… [한자 이야기]<912>君子는 尊賢而容衆하며 嘉善而矜不能이니… 지난 호에 이어진다. 子夏의 門人이 子張에게 벗 사귀는 문제를 물었을 때 자장은 “자하는 무어라 하더냐”고 되물었다. 자하의 문인이 “자하는 사귀어도 좋은 사람은 사귀고 사귀지 말아야 할 사람은 거절하라고 하셨습니다”라..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31
[한자 이야기]<911>子夏曰, 可者를 與之하고... [한자 이야기]<911>子夏曰, 可者를 與之하고... 인간의 삶은 늘 타인과 연계되어 있다. 이때 모든 사람을 차별 없이 사귀는 포용적 태도가 옳을까, 사람을 분별해 사귀는 단호한 태도가 옳을까? ‘논어’ ‘子張’의 제3장을 보면 공자 제자들은 의견이 엇갈렸다. 子夏의 門人이 子張에게 벗 사귀는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31
[생활 한자]材木(재목 재, 나무 목) [생활 한자]材木(재목 재, 나무 목) ‘이 아이들이 장차 이 나라의 훌륭한 재목이 될 것입니다’의 ‘재목’은? ①在木 ②才木 ③材木 ④財木. ‘材木’이란? 材자는 ‘나무 막대기’(wood pole)를 뜻하는 것이었으니, ‘나무 목’(木)이 의미요소로 쓰였고 才(재주 재)는 발음요소다. 후에 ‘재목’(wood)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31
[생활한자] 方 案 (모 방, 책상 안) [생활한자] 方 案 (모 방, 책상 안) ‘해결 방안을 강구해 봤지만, 별 뾰족한 수가 없다’의 ‘방안’은? ①方案 ②放案 ③坊案 ④妨案. ‘方案’이란? 方자는 농기구의 일종인 쟁기 모양을 본뜬 것으로 ‘쟁기’(plow)가 본래 의미였는데, 후에 ‘네모’(square) ‘모서리’(angle)란 뜻으로 확대 사용됐고,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31
[생활한자] 中 止(가운데 중, 그칠 지) [생활한자] 中 止(가운데 중, 그칠 지) ‘The party was rained out’는 ‘그 모임은 우천으로 ○○되었다’는 뜻이다. 공란에 적절한 말은? ①廢止 ②中止 ③休止 ④禁止. ‘中止’에 대해 확실하게 알아보자. 中자는 부락이나 군부대 등의 한복판에 꽂아둔 깃발 모양을 그린 것이었다. 그래서 ‘사이’(between..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31
[생활한자]學歷(배울 학, 지낼 력) [생활한자]學歷(배울 학, 지낼 력) ‘취직 시험의 응시에는 학력 제한을 두지 말아야 한다’의 ‘학력’은? ①學力 ②學曆 ③學歷 ④學瀝. ‘學歷’이란? 學자가 원래는 새끼를 꼬아 지붕을 얽는 모습을 그린 것이라 한다. 후에 아이들도 그 일을 배워야 했기에 ‘子’가 첨가되었다. ‘배우다’(learn)..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31
[생활한자] 朗 讀 (밝을 랑, 읽을 독) [생활한자] 朗 讀 (밝을 랑, 읽을 독) ‘할아버지께서 연하장을 소리내어 읽어달라고 하셨다’와 관련 있는 단어는? ①讀 ②拜讀 ③誦讀 ④朗讀. ‘朗讀’이란? 朗자는 ‘(달이) 밝다’(bright)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달 월’(月)이 의미요소로 쓰였고, 良(좋을 량)은 발음요소였다. 후에 주..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31
[한자로 보는 세상] 大暑 [한자로 보는 세상] 大暑 오늘은 ‘염소 뿔도 녹는다’는 대서(大暑)다. 소서(小署)와 입추(立秋) 사이의 1년 중 열두 번째 절기(節氣)다. 이글거리는 태양(日)아래 사람(者)이 서있으니 더위 먹기[中暑·暑暍] 쉬울 때다. 사계절은 사립(四立, 입춘·입하·입추·입동)에서 시작한다. 사립 전 18일간은 흙..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24
[한자 이야기]<910> [한자 이야기]<910> 子張曰, 執德不弘하며 信道不篤이면... ‘論語’ ‘子張’의 제2장에서 자장은 인간으로서 덕을 잡아 지킴이 넓지 못하고 도를 믿음이 독실하지 못하면 존재감을 상실하게 된다고 경고했다. 執德의 執은 붙잡아 지킴, 德은 도를 體得(체득)함이다. 不弘은 德量(덕량)이 좁음이다...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10
[한자 이야기]<909> [한자 이야기]<909> 子張曰, 士見危致命하며 見得思義하며… ‘論語’ ‘子張’은 모두 공자 제자의 말을 기록했는데, 子夏의 말이 가장 많고 子張이 다음이다. 제1장은 자장의 말이다. 士는 올바른 뜻을 지니고 節操(절조)가 있는 사람을 말한다. 見危는 본래 군주나 부친의 위급한 상황을 목도하..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