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고구마 [윤덕노의 음식이야기]<20>고구마 요즘은 고구마가 다이어트 식품으로 각광을 받는다. 그런데 역사적으로 보면 고구마처럼 구박을 받았던 작물도 드물다. 본래의 이름을 감자에 빼앗기고 엉뚱한 명칭인 고구마라는 이름을 얻었다. 동서양이 모두 마찬가지다. 뒤집어서 말하면 옛날에는 사람들에.. 好學의 人生/[食]먹는 이야기 2011.08.08
<19>누룽지탕 [윤덕노의 음식이야기]<19>누룽지탕 중국요리는 프랑스, 터키요리와 함께 흔히 세계 3대 요리로 꼽힌다. 하지만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는 중국음식이 으뜸이 아닐까 싶다. 많고 많은 중국 음식 중에서도 제일 맛있다고 소문난 음식은 과연 무엇일까. 정답은 누룽지탕이다. 맛이란 주관적인 느낌이.. 好學의 人生/[食]먹는 이야기 2011.08.08
푸어타이당 잉락 친나왓 총리로 등극 푸어타이당 잉락 친나왓 총리로 등극 (방콕=연합뉴스) 현영복 특파원 = 태국 국회가 5일 푸어타이당의 잉락 친나왓(44)을 총리로 선출함에 따라 태국 사상 첫 여성 총리가 탄생했다. 태국은 이날 여당인 푸어타이당 등 여야 의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솜삭 키앗수라논 국회의장의 주재로 정기국회를 열어 .. 好學의 人生/(사람)인생 이야기 2011.08.05
[만물상] 허위와 홍범도 [만물상] 허위와 홍범도 “나라 일이 여기에 이르렀으니 죽지 않고 어떻게 하랴. 나는 이제 죽을 곳을 얻었다.” 1908년 전국 의병을 모은 ‘13도(道) 창의군’ 1만명을 이끌고 서울 진공(進攻)에 나섰던 의병장 허위(許蔿·1854~1908)가 일본군에 체포된 뒤 가족에게 남긴 편지다. 체포 직전 총리대신 이완.. 好學의 人生/[우주만물]세상만사 2011.07.23
[만물상]'첩보원' 박지원 [만물상]'첩보원' 박지원 조선은 황금이 풍부해 옷 장식까지 금을 입힌다. 장례식은 매우 호화롭고 부장품을 많이 묻는다.’ 파리 외방전교회 신부 뒤 알드가 1741년에 쓴 ‘조선전(傳)’은 조선을 황금이 넘치는 나라로 소개했다. 서구 모험가들에게 약탈의 유혹을 일으킬 내용이었다. 대원군의 아버지.. 好學의 人生/[우주만물]세상만사 2011.07.23
[만물상] ‘료테이(料亭) 정치’ [만물상] ‘료테이(料亭) 정치’ 도쿄 긴자(銀座)에 있는 료테이(料亭·요정) ‘가네타나카(金田中)’는 자민당 거물 정치인들이 즐겨 찾는 집이다. 모리 요시히로 전 총리 같은 단골은 재임 때 일주일에 한두 번은 꼭 들렀다고 한다. 총리 취임 후 9개월간 180차례나 요정 회식과 파티에 참석했다는 통.. 好學의 人生/[우주만물]세상만사 2011.07.23
[만물상]‘피플 파워 피로症’ [만물상]‘피플 파워 피로症’ “총칼 앞에 분연히 일어선 조선인들을 보라! 우리는 이렇게 앉아 나라가 망하는 것을 구경만 할 것인가.” 중국 지식인 진독수(陳獨秀)는 1919년 3월 정치평론지 ‘매주평론’에서 “3·1운동이 세계 혁명사의 신기원을 이룩했다”며 중국인의 무기력을 한탄했다. 두 달 .. 好學의 人生/[우주만물]세상만사 2011.07.23
[만물상] 日常 기록의 힘 [만물상] 日常 기록의 힘 쌀 한 가마 요즘 돈으로 76만원, 관상 보는 값 4만원, 군수자리 사는 뇌물 2억6400만원…. 110여년 전 한양(漢陽)의 사회상과 서민 일상을 보여주는 일기가 번역 출판됐다. 그릇을 납품하던 지(池)씨 성의 공인(貢人)이 인사동 등지에서 하숙하며 겪은 일과를 꼼꼼히 써둔 것이다. .. 好學의 人生/[우주만물]세상만사 2011.07.23
[일사일언] 주변에 대한 관심이 답 [일사일언] 주변에 대한 관심이 답 방송사에 근무하는 사람들은 방송프로그램을 꼼꼼히 챙겨볼 것 같지만 사실은 대부분 자기가 만든 프로그램만 열심히 본다. 방송사만 그런 것은 아니다. 평생을 공직에 있었던 한 지인이 은퇴하면서 자신의 30년 공직생활을 책으로 펴냈는데 내가 그를 만난 자리에.. 好學의 人生/[우주만물]세상만사 2011.07.23
[일사일언] 독도를 외롭게 만든건 우리 [일사일언] 독도를 외롭게 만든건 우리 일본이 독도를 가지고 또 억지를 부리고 있다. 이번에는 아예 자국 교과서에 일본의 영토로 수록하여 왜곡된 사실을 가르치려 한다. 분한 마음 가눌 길이 없지만 이럴 때일수록 다시 한번 독도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가다듬을 필요가 있다. 우리는 독도를 동해에.. 好學의 人生/[우주만물]세상만사 2011.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