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스키야키 <11>스키야키 얇게 썬 쇠고기를 두부, 배추, 쑥갓, 다시마 등과 함께 냄비에 넣고 요리한 후 달걀을 풀어 접시에 덜어 먹는 음식이 스키야키다. 한때 우리나라에서도 꽤 즐겨 먹었던 일본요리다. 그런데 스키야키는 본래 우리 음식이었는데 일본으로 건너갔다가 다시 역수입된 것이란 주장도 있어 .. 好學의 人生/[食]먹는 이야기 2011.06.25
<10> 숭늉 <10> 숭늉 요즘은 한 집 건너 커피전문점이 생길 정도다. 점심시간이면 식사를 끝낸 사람들이 커피 한잔 마시려고 줄서서 기다리는 풍경도 흔히 볼 수 있다. 커피가 아예 국민음료로 자리 잡는 것 같다. 역사적으로 우리의 국민음료는 숭늉이었다. 한중일 중에서 우리만 유독 차 문화가 발달하지 않.. 好學의 人生/[食]먹는 이야기 2011.06.25
해왕성 해왕성 해왕성 보이저 2호가 찍은 해왕성. 발견 발견자 위르뱅 르베리에 존 쿠치 애덤스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 하인리히 다레스트 날짜 1846년 9월 23일 궤도 성질 (역기점 J2000) 긴 반지름 4,498,252,900 km 30.068 963 48 AU 궤도 둘레 28.263 Tm 188.925 AU 이심률 0.008 585 87 근일점 4,459,631,496 km 29.810 795 27 AU 원일점 4,536,.. 好學의 人生/[우주만물]세상만사 2011.06.04
천왕성(Uranus) 천왕성(Uranus) 천왕성은 태양계의 7번째 행성으로 크기는 세 번째이다. 과거에는 태양계의 끝은 토성으로 인식하였으나 1781년 윌리엄 허셜이 천왕성을 발견함으로 토성의 바깥쪽에도 행성이 있다는 사실이 비로소 밝혀졌다. 1690년 성도에 이미 표시되어 있었지만 아무도 행성인 줄은 몰랐다. 허셜은 영.. 好學의 人生/[우주만물]세상만사 2011.06.04
토성(Saturn) 토성(Saturn) 토성은 지구에서 맨 눈으로 볼 수 있는 행성 중 가장 바깥쪽에 있다. 목성 다음으로 크며 보이저 탐사 이전에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었다. 토성의 하루는 10시간 39분으로 자전속도가 매우 빨라 적도 부근이 많이 나와있다. 주로 수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밀도가 물보다 낮은 유일한 행성이다... 好學의 人生/[우주만물]세상만사 2011.06.04
목성(Jupiter) 목성(Jupiter) 목성은 태양계에서 5번째 행성으로 가장 크다. 만일 목성 속에 지구를 넣는다면 천개 정도는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목성은 다른 모든 행성을 합친 것 보다도 큰 질량을 갖고 있다. 목성의 질량은 1.9 x 1027 kg 이나 되며, 적도 둘레가 142,800킬로미터에 달한다. 위성는 16개를 갖고 있으며.. 好學의 人生/[우주만물]세상만사 2011.06.04
화성(Mars) 화성(Mars) 화성은 지구 궤도의 바로 바깥쪽 궤도를 도는 행성이다. 밤 하늘에 붉게 빛나는 모습이 피의 색깔을 연상시켜 고대 사람들은 불길하게 여겼다. 그래서 전쟁의 신 이름을 따서 Mars로 부르고 있다. 화성이 붉게 보이는 이유는 전체 표면의 70% 이상이 적갈색의 물질로 덮혀 있기 때문이다. 화성.. 好學의 人生/[우주만물]세상만사 2011.05.21
지구(Earth) 지구(Earth) 태양계에서 세 번째인 행성으로 신이 창조한 천체 중 가장 아름답다. 태양계의 행성 중 유일하게 액체 상태의 물이 있고, 생물이 존재한다. 형태는 완전한 구형이 아니고, 적도 부분이 약간 부풀어 있다. 대기는 질소와 산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균수심 3795m의 바다가 있다. 바다는 표면의 70.. 好學의 人生/[우주만물]세상만사 2011.05.21
금성(Venus) 금성(Venus) 태양에서 두 번째인 행성으로 지구에서 볼 때 태양, 달 다음으로 밝은 천체이다. 지구보다 태양에 가깝고 태양에서 48° 이상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한밤중에는 보이지 않고 일몰 후의 서쪽하늘, 또는 일출 전 동쪽하늘에 보일 뿐이다. 금성의 이심률은 행성 중 가장 작아 거의 원궤도를 돌고.. 好學의 人生/[우주만물]세상만사 2011.05.21
수성(Mercury) 수성(Mercury) 수성은 태양계의 행성 중 태양에 가장 가까운 행성이다. 지구에서 볼 때 28° 이상 태양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해넘이 후 또는 해돋이 전의 서쪽 하늘의 지평선 위에서 아주 짧은 시간에만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수성을 관측하기가 어렵다. 수성의 크기는 달과 화성의 중간쯤 된다. .. 好學의 人生/[우주만물]세상만사 2011.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