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327

제36과 신명기(4): 모세의 두 번째 설교(3)(12-18장) 5

제36과 신명기(4): 모세의 두 번째 설교(3)(12-18장) 5 3-2. 부정한 음식을 삼가라(3-21) * 일반 짐승(4-8) 이스라엘 사람들은 먹을 만한 짐승과 먹지 못할 짐승들이 구분되어 있었다. 먹을 만한 짐승은 '굽이 갈라지고 새김질하는 것'들이다. 그런데 이 두 가지 가운데 하나만 없어도 먹을 수 없었다. 여기서 '굽'..

제36과 신명기(4): 모세의 두 번째 설교(3)(12-18장) 4

제36과 신명기(4): 모세의 두 번째 설교(3)(12-18장) 4 2-3. 성읍 거민이 배교 했을 경우(12-18) 가나안 입성 후에 이스라엘 12지파들은 분배받은 성읍에서 여호와 신앙을 지켜야 한다. 만일 가나안의 성읍들 중 어느 성읍이 여호와 신앙을 떠나 우상 숭배에 빠지면, 그 성읍은 더 이상 여호와의 성읍으로 간주..

제36과 신명기(4): 모세의 두 번째 설교(3)(12-18장) 3

제36과 신명기(4): 모세의 두 번째 설교(3)(12-18장) 3 2. 우상숭배자와 미혹자를 멸하라(13:1-18) 2-1. 선지자나 거짓 교사들의 미혹이 있을 경우(1-5) 이스라엘은 가나안 땅에서 있을 거짓 선지자들의 유혹에 대하여 주의해야 한다. 모세는 거짓 선지자나 꿈꾸는 자들이 일어나 이적과 기사를 보이면서 다른 신..

제36과 신명기(4): 모세의 두 번째 설교(3)(12-18장) 2

제36과 신명기(4): 모세의 두 번째 설교(3)(12-18장) 2 1-2. 제물용으로 드린 짐승과 일반적인 짐승들의 식용 규례(15-28) 본문의 내용은 세 가지로 나뉘어진다. 첫째는 일반식용의 고기는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잡아먹을 수 있다(15,20-22), 둘째는 피의 식용을 금지함(16,23-25), 셋째는 제물용 짐승은 하나님께..

제36과 신명기(4): 모세의 두 번째 설교(3)(12-18장) 1

제36과 신명기(4): 모세의 두 번째 설교(3)(12-18장) 1 모세는 그의 실수로 인해 가나안에 들어가지 못하고 모압 평야에서 가나안을 바라보아야만 했습니다. 그는 그 곳에서 가나안에 들어갈 새로운 세대들에게 마지막 설교인 신명기를 남겼습니다. 우리는 그 동안 모세의 첫 번째 설교와(1-4장), 두 번째 설..

제35과 신명기(3): 모세의 두 번째 설교(2)(6-11장) 10

제35과 신명기(3): 모세의 두 번째 설교(2)(6-11장) 10 7-3. 축복과 저주의 길(18-32) * 말씀의 생활화를 위한 지침(18-21) 이 부분의 근본 의미는 각자 자신의 마음속에 하나님의 말씀을 새기고, 그 말씀을 모든 행동과 생활의 지침으로 삼으라는 것이다. 부패한 인간들의 속성은 항상 하나님의 말씀을 잊고 떠나..

제35과 신명기(3): 모세의 두 번째 설교(2)(6-11장) 9

제35과 신명기(3): 모세의 두 번째 설교(2)(6-11장) 9 7. 순종과 축복과 불순종과 저주(11:1-32) 7-1. 하나님을 사랑하고 그 법도를 지켜야 할 이유(1-7) 하나님의 도를 지키기 위해서는 먼저 하나님을 온전히 사랑해야 한다(1). 여기에서 '사랑하다'에 해당하는 '아하브'는 남녀간의 뜨거운 '애정'을 가리킨다. 사..

제35과 신명기(3): 모세의 두 번째 설교(2)(6-11장) 8

제35과 신명기(3): 모세의 두 번째 설교(2)(6-11장) 8 6-2. 순종의 삶을 촉구함(12-22) * 여호와께서 원하시는 것(12-13)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원하시는 것은 하나님을 사랑하며 전심으로 여호와를 섬기고, 하나님의 명령과 규례를 지키는 것이다(12-13). 율법은 진정한 삶의 의미를 주고 성도들이 복..

제35과 신명기(3): 모세의 두 번째 설교(2)(6-11장) 7

제35과 신명기(3): 모세의 두 번째 설교(2)(6-11장) 7 6. 과거의 실패와 하나님의 은혜를 상기시킴-다시 받은 두 돌판-(10:1-22) 모세는 우상 숭배로 인해 파기된 언약이 은혜로 다시 회복된 사실을 설명하고,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은혜를 깨닫고 감사하며, 순종하는 마음으로 살아가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

제35과 신명기(3): 모세의 두 번째 설교(2)(6-11장) 6

제35과 신명기(3): 모세의 두 번째 설교(2)(6-11장) 6 5-2. 목이 곧은 백성(6-29) * 금송아지 사건(6-21) 모세는 이스라엘이 가나안을 정복할만한 의가 있지 않고, 오히려 목이 곧은 백성이었다고 말한다(6). 목이 곧은 백성이란 말은 이스라엘의 불순종과 거역, 그리고 거만함을 말한다(10:16; 출 32:9; 33:3,5; 대하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