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0주 동양명언 제120주 동양명언 : 知足의 가치에서 아름다운 사회의 희망을 엿봅니다. ◈ [금주 명언] - 禍莫大於不知足하고, 咎莫大於欲得이니라. ◆ [독음] - 화막대어부지족 구막대어욕득. ◆ [한자] - 재앙 화/ 없을 막/ 큰 대/ 어조사 어/ 아니 불/ 알지/ 족할 족// 허물 구/ 없을 막/ 큰 대/ 어조사 어/ 하고자할 욕/ 얻..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10.07.10
제119주 동양명언 제119주 동양명언 : 공동체적 가치관으로 바른 사회 참여가 실천될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 [금주 명언] - 有德者必有言이어니와, 有言者不必有德이니라. ◆ [독음] - 유덕자필유언, 유언자불필유덕. ◆ [한자] - 있을 유/ 덕 덕/ 놈 자/ 반드시 필/ 있을 유/ 말씀 언// 있을 유/ 말씀 언/ 놈 자/ 아니 불/ 반..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10.07.10
제118주 동양명언 제118주 동양명언 : 진정한 義로움의 가치관을 체득할 수 있는 의지를 키워야 합니다. ◈ [금주 명언] - 人有不爲也而後.에 可以有爲니라. ◆ [독음] - 인유불위야이후, 가이유위. ◆ [한자] - 사람 인/ 있을 유/ 아니 불/ 할 위/ 어조사 야/ 말이을 이/ 뒤 후// 가할 가/ 써 이/ 있을 유/ 할 위 ▶ [출전] - 『孟..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10.07.10
제116주 동양명언 제116주 동양명언 : 화합과 포용의 가치는 자신의 건강한 삶의 자세로부터 나오리라 봅니다. ◈ [금주 명언] - 欲量他人이어든, 先須自量하라. ◆ [독음] - 욕량타인 선수자량. ◆ [한자] - 하고자할 욕/ 헤아릴 량/ 다를 타/ 사람 인// 먼저 선/ 모름지기 수/ 스스로 자/ 헤아릴 량 ▶ [출전] - 『明心寶鑑(명..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10.07.10
고사성어 [古事成語] 고사성어 [古事成語] 가 - 나 - 다 - 라 - 마 - 바 - 사 - 아 - 자 - 차 - 카 - 타 - 파 - 하 고사성어 뜻 풀 이 가가대소(呵呵大笑) 소리를 크게 내어 웃음. 가가호호(家家戶戶) 각 집과 각 호(戶). 곧, 집집마다. 가담항설(街談巷說) 길거리에 떠도는 소문. 세상의 풍문(風聞). 가담항어(街談巷語). 가렴주구(苛斂..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7.03
[살롱] 용연향(Ambergris) [살롱] 용연향(Ambergris) 동양의 왕실과 귀족층에서 애호하던 향(香)을 세 가지만 꼽는다면 침향(沈香) 사향(麝香) 용연향(龍涎香)이다. 이 세 가지 향은 모두 은은하면서도 깊은 향을 풍긴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마음을 안정시켜 주고 기분 전환을 시켜 준다. 침향의 재료는 상록수과에 속하는 서향(..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6.29
[살롱] 물의 시대 [살롱] 물의 시대 동양의 고대사회에서는 토·목·금·화·수 오행(五行)의 변화를 가지고 왕조 교체를 설명하였다. 예를 들면 황제(黃帝)가 세운 나라는 토의 기운에 바탕하였던 나라고, 그 다음에 등장하였던 하 나라는 목이다. 그 다음의 은 나라는 금이고, 주 나라는 화, 그리고 등장한 진시황의 제..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6.29
[살롱] 외국어 도사의 비결 [살롱] 외국어 도사의 비결 나는 20대 후반부터 지리산대학(智異山大學) 낭인과(浪人科)를 다니면서 산천을 방랑하는 수백 명의 낭인과 기인, 그리고 도사들을 만나볼 기회가 있었다. 그들은 대부분 한 가지 주특기는 가지고 있기 마련이었다. 그 와중에 만난 박재광(40)이라고 하는 해외파 낭인은 5개 ..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