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이야기]<915> 子夏曰, 博學而篤志하며 切問而近思하면 仁在其中矣니 [한자 이야기]<915> 子夏曰, 博學而篤志하며 切問而近思하면 仁在其中矣니라 사회사업에 뜻을 두어 물심양면으로 지원하는 사람을 篤志家라고 한다. ‘논어’ ‘子張’의 제6장에 나오는 篤志란 말에서 파생된 것이라고 한다. 한문고전의 ‘近思錄’이란 책의 이름도 여기서 나왔다. 곧 주희는 呂..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31
[한자 이야기]<914>子夏曰, 日知其所亡하며… [한자 이야기]<914>子夏曰, 日知其所亡하며… ‘논어’ ‘子張’의 제5장이다. 子夏는 孔門四科 가운데 文學의 범주에서 뛰어난 제자였다. 문학이란 오늘날로 말하면 博學(박학)에 해당한다. 과연 학문에 힘써서 박학했기에 자하는 학문을 좋아하는 자는 나날이 새롭게 공부하고 실천하고 또 배워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31
[한자 이야기]<913>子夏曰, 雖小道나 必有可觀者焉이어니와… [한자 이야기]<913>子夏曰, 雖小道나 必有可觀者焉이어니와… ‘논어’ ‘子張’의 제4장은 子夏의 말을 채록했다. 당시 젊은이 가운데는 인륜의 도리를 닦아 원대한 이상을 실현하려고 하기보다 小道에 빠져 있는 이가 많았으므로 자하는 그 폐해를 경고한 듯하다. 주희에 따르면 小道는 農事 場..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31
[한자 이야기]<912>君子는 尊賢而容衆하며 嘉善而矜不能이니… [한자 이야기]<912>君子는 尊賢而容衆하며 嘉善而矜不能이니… 지난 호에 이어진다. 子夏의 門人이 子張에게 벗 사귀는 문제를 물었을 때 자장은 “자하는 무어라 하더냐”고 되물었다. 자하의 문인이 “자하는 사귀어도 좋은 사람은 사귀고 사귀지 말아야 할 사람은 거절하라고 하셨습니다”라..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31
[한자 이야기]<911>子夏曰, 可者를 與之하고... [한자 이야기]<911>子夏曰, 可者를 與之하고... 인간의 삶은 늘 타인과 연계되어 있다. 이때 모든 사람을 차별 없이 사귀는 포용적 태도가 옳을까, 사람을 분별해 사귀는 단호한 태도가 옳을까? ‘논어’ ‘子張’의 제3장을 보면 공자 제자들은 의견이 엇갈렸다. 子夏의 門人이 子張에게 벗 사귀는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31
[생활 한자]材木(재목 재, 나무 목) [생활 한자]材木(재목 재, 나무 목) ‘이 아이들이 장차 이 나라의 훌륭한 재목이 될 것입니다’의 ‘재목’은? ①在木 ②才木 ③材木 ④財木. ‘材木’이란? 材자는 ‘나무 막대기’(wood pole)를 뜻하는 것이었으니, ‘나무 목’(木)이 의미요소로 쓰였고 才(재주 재)는 발음요소다. 후에 ‘재목’(wood)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31
[생활한자] 方 案 (모 방, 책상 안) [생활한자] 方 案 (모 방, 책상 안) ‘해결 방안을 강구해 봤지만, 별 뾰족한 수가 없다’의 ‘방안’은? ①方案 ②放案 ③坊案 ④妨案. ‘方案’이란? 方자는 농기구의 일종인 쟁기 모양을 본뜬 것으로 ‘쟁기’(plow)가 본래 의미였는데, 후에 ‘네모’(square) ‘모서리’(angle)란 뜻으로 확대 사용됐고,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31
[생활한자] 中 止(가운데 중, 그칠 지) [생활한자] 中 止(가운데 중, 그칠 지) ‘The party was rained out’는 ‘그 모임은 우천으로 ○○되었다’는 뜻이다. 공란에 적절한 말은? ①廢止 ②中止 ③休止 ④禁止. ‘中止’에 대해 확실하게 알아보자. 中자는 부락이나 군부대 등의 한복판에 꽂아둔 깃발 모양을 그린 것이었다. 그래서 ‘사이’(between..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31
[생활한자]學歷(배울 학, 지낼 력) [생활한자]學歷(배울 학, 지낼 력) ‘취직 시험의 응시에는 학력 제한을 두지 말아야 한다’의 ‘학력’은? ①學力 ②學曆 ③學歷 ④學瀝. ‘學歷’이란? 學자가 원래는 새끼를 꼬아 지붕을 얽는 모습을 그린 것이라 한다. 후에 아이들도 그 일을 배워야 했기에 ‘子’가 첨가되었다. ‘배우다’(learn)..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31
[생활한자] 朗 讀 (밝을 랑, 읽을 독) [생활한자] 朗 讀 (밝을 랑, 읽을 독) ‘할아버지께서 연하장을 소리내어 읽어달라고 하셨다’와 관련 있는 단어는? ①讀 ②拜讀 ③誦讀 ④朗讀. ‘朗讀’이란? 朗자는 ‘(달이) 밝다’(bright)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달 월’(月)이 의미요소로 쓰였고, 良(좋을 량)은 발음요소였다. 후에 주..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