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1주 동양명언 제121주 동양명언 : 내면적 덕성(德性)의 가치가 중심 되는 건강한 가치관을 되새겨 봅니다. ◈ [금주 명언] - 流水之爲物也는 不盈科면 不行이니라 ◆ [독음] - 유수지위물야, 불영과 불행. ◆ [한자] - 흐를 류/ 물 수/ 어조사 지/ 할 위/ 성질 물/ 아니 불/ 찰 영/ 웅덩이 과/ 아니 불/ 갈 행 ▶ [출전] - 『孟..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10.07.31
[한자로 보는 세상] 大暑 [한자로 보는 세상] 大暑 오늘은 ‘염소 뿔도 녹는다’는 대서(大暑)다. 소서(小署)와 입추(立秋) 사이의 1년 중 열두 번째 절기(節氣)다. 이글거리는 태양(日)아래 사람(者)이 서있으니 더위 먹기[中暑·暑暍] 쉬울 때다. 사계절은 사립(四立, 입춘·입하·입추·입동)에서 시작한다. 사립 전 18일간은 흙..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24
[한자 이야기]<910> [한자 이야기]<910> 子張曰, 執德不弘하며 信道不篤이면... ‘論語’ ‘子張’의 제2장에서 자장은 인간으로서 덕을 잡아 지킴이 넓지 못하고 도를 믿음이 독실하지 못하면 존재감을 상실하게 된다고 경고했다. 執德의 執은 붙잡아 지킴, 德은 도를 體得(체득)함이다. 不弘은 德量(덕량)이 좁음이다...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10
[한자 이야기]<909> [한자 이야기]<909> 子張曰, 士見危致命하며 見得思義하며… ‘論語’ ‘子張’은 모두 공자 제자의 말을 기록했는데, 子夏의 말이 가장 많고 子張이 다음이다. 제1장은 자장의 말이다. 士는 올바른 뜻을 지니고 節操(절조)가 있는 사람을 말한다. 見危는 본래 군주나 부친의 위급한 상황을 목도하..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10
[한자 이야기]<908> [한자 이야기]<908> 故舊無大故면 則不棄也하며 無求備於一人이니라… ‘論語’ ‘微子’ 제10장은 周公이 노나라에 分封(분봉)된 아들 伯禽(백금)에게 훈계한 내용을 공자가 제자에게 말한 듯하다. 여기서의 군자는 군주를 가리킨다. 不施其親의 施는 ‘베풀 시’가 아니라 ‘버릴 이’로 어떤 책..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10
[한자 이야기]<907> [한자 이야기]<907> 我則異於是하여 無可無不可호라 ‘論語’ ‘微子’ 제8장에서 공자는 학문과 덕행이 높지만 벼슬을 살지 않고 세상을 벗어나 있는 逸民(일민)의 행동양식에 대해 논평을 했다. 伯夷(백이)와 叔齊(숙제)는 뜻을 높이 지니고 외부의 모욕을 받지 않았다. 柳下惠(유하혜)와 少連(소..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10
[한자 이야기]<906> [한자 이야기]<906> 謂虞仲夷逸하사되 隱居放言하나… 앞에 이어진다. 공자는 逸民(일민) 가운데 伯夷(백이)와 叔齊(숙제), 그리고 柳下惠(유하혜)와 少連(소련)에 대해 논평한 후, 이번에는 虞仲(우중)과 夷逸(이일)에 대해 평했다. 백이와 숙제는 뜻을 높이 지니고 외부의 모욕을 받지 않았다. 유하..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10
[한자 이야기]<905> [한자 이야기]<905> 謂柳下惠少連하시되 降志辱身矣이나… 공자는 逸民(일민) 가운데 伯夷(백이)와 叔齊(숙제)를 평한 후 柳下惠와 少連에 대해 위와 같이 평했다. 謂는 …에 대해 평한다는 뜻이다. 일민들은 학문과 덕행이 높으면서도 세상을 벗어나 있는 점은 같아도 각자의 행동양식에는 차이가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10
[한자 이야기]<904> [한자 이야기]<904> 不降其志하며 不辱其身은 伯夷叔齊與인저 ‘논어’ ‘微子(미자)’ 제8장은 伯夷 叔齊 虞仲(우중) 夷逸(이일) 朱張(주장) 柳下惠(유하혜) 少連(소련) 등 逸民(일민)을 거론하고 공자가 그들을 논평한 말을 실어두었다. 일민은 학문과 덕행이 높지만 벼슬 살지 않고 세상을 벗어나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10
[한자 이야기]<903> [한자 이야기]<903> 君子之仕也는 行其義也니 道之不行은… 지난 호에서 이어진다. 子路는 공자의 명으로 荷P丈人(하조장인)의 곳으로 되돌아가서 君臣의 義는 폐기할 수 없음을 말하려고 했으나, 하조장인은 종적을 감춘 뒤였다. 자로는 하조장인의 두 아들에게 벼슬하지 않으면 潔身亂倫(결신난..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