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이야기]<900> [한자 이야기]<900> 子路從而後러니… 세상을 과감하게 잊고 은둔하는 것을 果忘(과망)이라 한다. ‘논어’에는 果忘의 은둔자들이 여럿 나온다. ‘微子(미자)’ 제7장의 荷條丈人(하조장인)도 그 하나다. 荷는 擔(담), 條는 대삼태기, 丈人은 老成한 분이다. 子路는 공자를 모시고 여행하다가 우연..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6.21
[한자 이야기]<899> [한자 이야기]<899> 子路行하여 以告한대 夫子憮然曰,… 앞에서 이어진다. 공자는 蔡(채) 葉(섭) 楚(초) 부근을 여행하다가 은둔자인 長沮(장저)와 桀溺(걸닉)을 보고 子路를 시켜 나루를 묻게 했다. 장저는 공자 자신이 나루를 알고 있으리라고 하면서 가르쳐주지 않았다. 걸닉은 온 천하가 물이 콸..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6.21
[한자 이야기]<898> [한자 이야기]<898> 問於桀溺한대 桀溺曰, 子爲誰오 曰, 爲仲由로다… 앞에서 이어진다. 공자는 蔡(채) 葉(섭) 楚(초) 부근을 여행할 때 은둔자인 長沮(장저)와 桀溺(걸닉)을 보고 子路를 시켜 나루를 묻게 했다. 장저가 공자야말로 나루를 잘 알고 있으리라고 했으므로 자로는 다시 걸닉에게 물어야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6.21
[한자 이야기]<897> [한자 이야기]<897> 長沮桀溺이 씙而耕이어늘 孔子過之하실새… 한자성어의 問津(문진)은 학문의 길을 가르쳐 달라고 청하는 것을 뜻한다. 그 출전이 ‘논어’ ‘微子’의 제6장이다. 공자는 齊나라에서 뜻을 펴지 못하고 景公이 죽은 다음 해부터, 楚(초)로 향하였다가 蔡(채)로 돌아오고 또 葉(섭)..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6.21
제113주 동양명언 제113주 동양명언 : 개인의 삶의 철학이 건강한 사회 정의의 실현으로 승화될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 [금주 명언] - 終身行善이라도 善猶不足이요, 一日行惡이라도 惡自有餘니라.. ◆ [독음] - 종신행선 선유부족, 일일행악 악자유여. ◆ [한자] - 마칠 종/ 몸 신/ 행할 행/ 선할 선/ 선할 선/ 오히려 유/ ..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10.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