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이야기]<926>子游曰, 吾友張也爲難能也나 然而未仁이니라 [한자 이야기]<926>子游曰, 吾友張也爲難能也나 然而未仁이니라 ‘논어’ ‘子張’의 제15장은 子游가 동료 子張을 논평한 말을 실었다. 자장은 행동이 높았지만 성실성이 부족했던 듯하다. 그렇기에 자유는 그를 두고 남이 하기 어려운 일은 잘하지만 仁하지는 못하다고 평가한 것이다. 吾友張也..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8.21
[생활한자] 知 己 (알 지, 몸 기) [생활한자] 知 己 (알 지, 몸 기) ‘옛 지기들이 다 모였으니, 우리 술 한 잔 합시다’의 ‘지기’는? ①知己 ②知已 ③知巳 ④知乙. 모양이 모두 비슷비슷하므로 눈을 크게 뜨고 봐야 할 듯. 먼저 ‘知己’란? 知자는 ‘안다’(know)는 뜻을 위한 것인데, 왜 ‘화살 시’(矢)와 ‘입 구’(口)가 조합되었을..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8.21
[생활한자] 相 關(서로 상,빗장 관) [생활한자] 相 關(서로 상,빗장 관) ‘I don’t like to be mixed up in such a business’는 ‘그런 일에 ○○하고 싶지 않다’는 뜻이다. 공란에 적절한 말은? ①相關 ②相觀 ③關聯 ④聯關. ‘相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相자는 木(나무 목)과 目(눈 목), 두 의미요소로 구성된 것인데, ‘살피다’(observe)는 뜻..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8.21
[생활 한자] 産 物 (낳을 산, 만물 물) [생활 한자] 産 物 (낳을 산, 만물 물) ‘The staple products around this area are fruit and tea’는 ‘이 지역 주요 ○○은 과일과 차다’란 뜻이다. 공란에 적절한 말은? ①産地 ②産業 ③産物 ④産室. ‘産物’이란? 産자는 ‘날 생’(生)이 의미 요소이고, 그 나머지는 彦(언)자의 생략형으로 발음요소였다는 설이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8.21
[생활한자] 熱 情(더울 열, 마음씨 정) [생활한자] 熱 情(더울 열, 마음씨 정) ‘열정이 담기지 않은 작품은 한눈에 봐도 알 수 있다’의 ‘열정’은? ①劣情 ②烈情 ③勢情 ④熱情. ‘熱情’이란? 熱자는 ‘뜨겁다’(hot)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불 화’(火)가 의미요소로 쓰였다. 그 윗부분은 발음요소였다고 하는데, 그것이 발..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8.21
[생활한자] 石 炭 (돌 석, 숯 탄) [생활한자] 石 炭 (돌 석, 숯 탄) ‘탄화 정도에 따라 도탄, 갈탄, 역청탄, 무연탄 따위로 나뉘며 연료 또는 화학 공업 재료로 널리 쓰이는 것’은? ①石油 ②石物 ③石英 ④石炭. ‘石炭’에 대해 야금야금 살펴보자. 石자는 ‘돌’(stone)을 뜻하기 위해서 ‘산기슭’에 널려 있는 돌[口]을 본뜬 것이다.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8.21
제125주 동양명언 제125주 동양명언 : 참된 사회정의의 실현은 正道를 바탕으로 한 隨時處中의 본질적 가치가 실천되는 것입니다. ◈ [금주 명언] - 待小人은 不難於嚴이나 而難於不惡이며, 待君子는 不難於恭이나 而難於有禮니라. ◆ [독음] - 대소인 불난어엄 이난어불오, 대군자 불난어공 이난어유례. ◆ [한자] - 대우..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10.08.21
제124주 동양명언 제124주 동양명언 : 학문적 완성의 추구는 곧 인간성의 완성이어야 함을 되새겨 봅니다. ◈ [금주 명언] - 博學而詳說之는 將以反說約也이니라. ◆ [독음] - 박학이상설지 장이반설약야. ◆ [한자] - 넓을 박/ 배울 학/ 말이을 이/ 상세한 상/ 말씀 설/ 어조사 지// 장차 장/ 써 이/ 돌이킬 반/ 말씀 설/ 간략할..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10.08.21
[한자 이야기]<925> 子游曰, 喪은 致乎哀而止니라 [한자 이야기]<925> 子游曰, 喪은 致乎哀而止니라 ‘논어’ ‘子張’의 제14장은 子游가 상례에 대해 언급한 말을 기록했다. 子游는 이름이 言偃으로 자유는 字다. 言游라고도 부르며, 孔門十哲의 한 사람이다. 致는 極盡(극진)히 함이다. 而止는 而已와 같아, ‘∼할 뿐이다’의 뜻이다. ‘예기’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8.17
[한자 이야기]<924>子夏曰, 仕而優則學하고… [한자 이야기]<924>子夏曰, 仕而優則學하고… ‘논어’ ‘子張’의 제13장에서 子夏는 벼슬과 배움의 보완에 대해 논했다. 仕는 정치를 담당하는 지위에 나아가는 것을 말한다. 優는 餘力(여력)이 있음을 뜻한다. 근대 이전의 지식인은 학문을 하여 벼슬에 나아가 지금까지 배운 것을 실천하는 것을..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