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한자] 小 說(작을 소, 말씀 설) [생활한자] 小 說(작을 소, 말씀 설) ‘사실 또는 작가의 상상력에 바탕을 두고 허구적으로 이야기를 꾸며 나간 산문체의 문학 양식’이라 정의되는 것은? ①時調 ②歌辭 ③隨筆 ④小說. ‘小說’에 대해 살펴보자. 小자는 ‘작다’(small)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작은 모래알이 흩어져 있는 모습을 그..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8.31
[생활한자] 規 定 (법 규, 정할 정) [생활한자] 規 定 (법 규, 정할 정) ‘대회의 규정에 따라 금지 약물을 복용한 선수는 탈락시켰다’의 ‘규정’은? ①規定 ②規正 ③規整 ④糾正. ‘規定’이란? 規자는 컴퍼스(compass), 즉 ‘걸음쇠’를 뜻하기 위한 것이었으니, 컴퍼스 모양을 본뜬 ‘夫’(이 경우는 ‘아비’란 뜻이 아님)와 동그라미..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8.31
제132주 동양명언 제132주 동양명언 : 수시처중의 가치를 되새겨 보는 계기를 마련합니다. ◈ [금주 명언] - 君君臣臣父父子子이니라. ◆ [독음] - 군군신신부부자자. ◆ [한자] - 임금 군/ 신하 신/ 아비 부/ 아들 자 ▶ [출전] - 『論語(논어)』〈顔淵篇(안연편)〉 ◈ [해석] -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답고, 아비는 아비..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10.08.31
제131주 동양명언 제131주 동양명언 : 인격의 완성체로서의 君子다움의 참 의미를 확인해 봅니다. ◈ [금주 명언] - 上不怨天하며, 下不尤人이니라. ◆ [독음] - 상불원천 하불우인. ◆ [한자] - 윗 상/ 아니 불/ 원망할 원/ 하늘 천// 아래 하/ 아니 불/ 허물 우/ 사람 인 ▶ [출전] - 『中庸(중용)』〈제14장〉 ◈ [해석] - 위로는..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10.08.30
제130주 동양명언 제130주 동양명언 : 謙遜과 淸貧의 가치가 중심된 사회의 모습을 기원합니다... ◈ [금주 명언] - 福生於淸儉하고, 德生於卑退니라. ◆ [독음] - 복생어청검 덕생어비퇴. ◆ [한자] - 복 복/ 날 생/ 어조사 어/ 맑을 청/ 검소할 검// 덕 덕/ 날 생/ 어조사 어/ 낮을 비/ 물러날 퇴 ▶ [출전] - 『韓非子(한비자)』 ..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10.08.28
제129주 동양명언 제129주 동양명언 : 無慾과 餘裕의 마음을 다스릴 수 있는 강한 자아 확립을 갈망합니다. ◈ [금주 명언] - 非無安居라, 我無安心也요. 非無足財라, 我無足心也니라. ◆ [독음] - 비무안거 아무안심야, 비무족재 아무족심야. ◆ [한자] - 아닐 비/ 없을 무/ 편안할 안/ 거할 거/ 나 아/ 없을 무/ 편안할 안/ 마..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10.08.28
제128주 동양명언 제128주 동양명언 : 냉철한 자기 주관의 바탕에는 엄정한 가치관의 성립이 있어야 함을 확인합니다. ◈ [금주 명언] - 不義而富且貴는 於我에 如浮雲이니라. ◆ [독음] - 불의이부차귀 어아 여부운. ◆ [한자] - 아니 불/ 옳을 의/ 말이을 이/ 부유할 부/ 또 차/ 귀할 귀/ 어조사 어/ 나 아/ 같을 여/ 뜰 부/ 구..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10.08.28
[생활한자] 要 領 (구할 요, 옷깃 령) [생활한자] 要 領 (구할 요, 옷깃 령) ‘He always speaks to the point’는 ‘그는 언제나 ○○ 있게 말한다’는 뜻이다. 공란에 알맞은 말은? ①要求 ②要請 ③要領 ④要點. ‘要領’에 대해 잘근잘근 씹어 보자. 要자는 서 있는 여자(女)의 허리춤에 ‘두 손이 얹어 있는 것’(??·덮을 아)이 변화된 것으로,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8.28
[생활 한자]葉書(잎 엽, 쓸 서) [생활 한자]葉書(잎 엽, 쓸 서) ‘엽서가 날아들다/엽서를 띄우다/퀴즈 정답 엽서를 보내다’의 ‘엽서’는? ①葉序 ②葉書 ③葉緖 ④葉敍. ‘葉書’란? 葉자가 본래는 ‘世+木’의 구조였다. 이것은 나뭇가지에 매달린 나뭇잎을 본뜬 것이다. ‘풀 초’(?)는 그렇게 쓰인 지 몇 백년 후에 덧붙여진 것이..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8.28
[생활한자] 船 窓 (배 선, 창문 창) [생활한자] 船 窓 (배 선, 창문 창) ‘선창을 통하여 내다본 이국 풍경이…’의 ‘선창’은? ①先唱 ②船艙 ③船倉 ④船窓. ‘船窓’에 대해 자세히 훑어보자. 船자는 부수자(舟·배 주)의 의미와 완전히 일치하는 매우 희귀한 예다. 오른쪽의 것은 鉛(납 연)의 생략형으로 발음요소로 쓰였다는 설이 있..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