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이야기]<950>因民之所利而利之니 斯不亦惠而不費乎아 [한자 이야기]<950>因民之所利而利之니 斯不亦惠而不費乎아 지난 호에 이어진다. 子張의 질문에 응해 공자는 五美를 높이고 四惡을 물리치면 政事에 종사할 수 있다고 대답하였는데, 자장이 五美에 대해 물었으므로 그 내용을 설명했다. 그런데 다시 子張이 五美의 惠而不費란 무슨 뜻이냐고 묻자..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4
[한자 이야기]<949>子張曰何謂五美니잇고 子曰君子惠而不費하며… [한자 이야기]<949>子張曰何謂五美니잇고 子曰君子惠而不費하며… 지난 호에 이어진다. 子張이 어떻게 해야 政事에 종사할 수 있느냐고 묻자 공자는 五美를 높이고 四惡을 물리치면 된다고 말했다. 자장이 五美란 무엇이냐고 묻자 공자는 그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했다. 不費는 자신의 재산을 낭비..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4
[한자 이야기]<948>尊五美하며 屛四惡이면 斯可以從政矣리라 [한자 이야기]<948>尊五美하며 屛四惡이면 斯可以從政矣리라 ‘논어’ ‘堯曰’편 제2장은 子張이 공자에게 어떻게 해야 政事에 종사할 수 있느냐고 묻자, 공자가 그 방도를 자세하게 일러주는 내용이다. 공자는 五美를 높이고 四惡을 물리치면 政事에 종사할 수 있다고 개괄적으로 말했다. 尊은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4
[한자 이야기]<947>寬則得衆하고 信則民任焉하고… [한자 이야기]<947>寬則得衆하고 信則民任焉하고… ‘논어’ ‘堯曰(요왈)’편 제1장의 마지막으로, 제왕의 도를 말했다. 처음의 寬則得衆, 信則民任, 敏則有功 세 구절은 ‘陽貨(양화)’편의 ‘子張問仁(자장문인)’ 章(장)에서 공자가 仁에 대해 말한 내용과 겹친다. 그래서 세 구절은 衍文(연문..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4
[한자 이야기]<946>所重은 民食喪祭러시다 [한자 이야기]<946>所重은 民食喪祭러시다 ‘堯曰’편의 제1장으로 지난 호에서 이어진다. 주나라 武王의 政事를 서술함으로써 정치의 요체를 말했다. 이 글은 ‘서경’ ‘武成’편에서 ‘重民五敎(중민오교)하되 惟食喪祭(유식상제)라 하니라’라고 해서 ‘백성의 五敎(五倫)를 중히 여기되 식량..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4
[생활한자] 亂 舞(어지러울 난,춤출 무) [생활한자] 亂 舞(어지러울 난,춤출 무) ‘Violence is rampant in this city’는 ‘이 도시에는 폭력이 ○○하고 있다’는 뜻이다. 공란에 적절한 말은? ①流行 ②盛行 ③亂舞 ④亂雜. ‘亂舞’에 대해 야금야금 뜯어보자. 亂자는 두 사람이 흩어진 실을 정리하여 타래로 감는 모양에서 유래된 것으로 ‘정리하..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4
[생활 한자]節約(절도 절, 검소할 약) [생활 한자]節約(절도 절, 검소할 약) ‘We must conserve energy’는 ‘우리는 에너지를 ○○하여야 한다’는 뜻이다. 공란에 적절한 말은? ①節制 ②儉約 ③節度 ④節約. ‘節約’에 대해 알뜰살뜰 살펴보자. 節자는 ‘(대나무의) 마디(joint)’가 본뜻이었으니, ‘대나무 죽(竹)’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卽(곧..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4
[생활한자] 養 育 (기를 양, 기를 육) [생활한자] 養 育 (기를 양, 기를 육) ‘부모가 세상을 뜨자 아이들의 양육은 친척들의 손에 맡겨졌다’의 ‘양육’은? ①養育 ②良育 ③楊育 ④陽育. ‘養育’이란? 養자는 원래 ‘양’(羊)과 ‘칠 복’이 합쳐진 것으로 ‘양치다’(breed sheep)는 뜻이었는데, 약 2500년 전쯤에 ‘羊 + 食’의 구조로 바뀌..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4
[생활한자] 週 番(돌 주, 갈마들 번) [생활한자] 週 番(돌 주, 갈마들 번) ‘그는 주번 활동 때문에 일주일 동안 학교에 일찍 나가야 한다’의 ‘주번’은? ①主番 ②週番 ③周番 ④住番. ‘週番’이란? 週자는 ‘돌아가다’(go round)는 뜻을 위한 것이었으니, ‘길갈 착’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周(두루 주)는 발음과 의미를 겸하는 요소다.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4
[생활한자] 雄 壯 (수컷 웅, 씩씩할 장) [생활한자] 雄 壯 (수컷 웅, 씩씩할 장) ‘우리 일행은 나이아가라 폭포의 웅장함에 넋을 잃고 말았다’의 ‘웅장’은? ①雄將 ②熊掌 ③雄壯 ④雄掌. ‘雄壯’이란? 雄자는 ‘(새의) 수컷’(cock)이 본뜻이기에 ‘새 추’(?)가 의미요소이자 부수로 쓰였고, 왼편의 것은 발음요소라는 설이 있다. ‘(모든)..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