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무드 - 남녀간의 교제 16 탈무드 - 남녀간의 교제 16 남자는 두 볼 사이와 두 다리 사이에서 명성이 결정된다. 두 볼 사이에는 입이 있고, 두 다리 사이에는 말할 것도 없이 짐작이 갈 것이다. 말이 많으면 몸을 망치므로 조심하여야 한다. 두 다리 사이에 있는 것에 대해서도 같은 말을 할 수 있으리라. 성서에 보면, 인류 최초의 ..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29
제37과 신명기(5): 모세의 두 번째 설교(4)(19-26장) 5 제37과 신명기(5): 모세의 두 번째 설교(4)(19-26장) 5 3-2. 전쟁에서 노예로 얻은 아내에 대한 대우(10-14)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전쟁에서 승리하여 포로 중에서 아리따운 여인을 아내로 취할 경우에 정당한 절차를 밟도록 지시하셨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중 아무도 외국 여자가 먼저 자신의 .. 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2011.04.29
제37과 신명기(5): 모세의 두 번째 설교(4)(19-26장) 4 제37과 신명기(5): 모세의 두 번째 설교(4)(19-26장) 4 3. 다섯 가지 율례들(21:1-23) 3-1. 범인을 모르는 시체가 발견되었을 경우의 속죄법(1-9) 범인이 밝혀지지 않은 살인 사건의 경우 이방 국가에서는 영구 미결 사건으로 처리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선민 이스라엘의 사회에서는 반드시 그 사.. 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2011.04.29
제37과 신명기(5): 모세의 두 번째 설교(4)(19-26장) 3 제37과 신명기(5): 모세의 두 번째 설교(4)(19-26장) 3 2. 전쟁에 대한 규례(20:1-20) 2-1. 전쟁에서 제사장의 역할(1-4) 하나님께서는 제사장 나라로서 지켜야 할 전쟁에 대한 원칙에 대해서 말씀해 주셨다. 신정국가의 공의는 나라 안의 형사법의 실시에서 뿐 아니라, 이스라엘 국경 너머 나라와의 전쟁 수행과.. 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2011.04.29
탈무드 - 남녀간의 교제 15 탈무드 - 남녀간의 교제 15 이상적인 남자는 남자의 강인함과 여자의 부드러움을 함께 갖고 있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유태인들은 한쪽의 극단으로 치우 치는 것을 싫어한다. 신이 세상을 차조할 때, 하늘과 땅이라든지 빛과 어둠같이 서로 대립되는 것을 만든 것은 인간 또한 서로 맞서 대립하게 되어 ..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25
탈무드 - 남녀간의 교제 14 탈무드 - 남녀간의 교제 14 섹스는 냇물과 같다. 과하면 넘쳐 생명을 파괴하고 적당하면 생명을 왕성하게 한다. 이 말도<탈무드> 에 있는 것인데, 유태인의 격언 중에는 특히 냇물에 비유된 것이 많다. 유태인들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중용을 앞세우는데, 냇물은 알맞은 양으로 잘 흐르고 있어..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25
탈무드 - 남녀간의 교제 13 탈무드 - 남녀간의 교제 13 초혼은 하늘에 의해서, 재혼은 인간에 의해 맺어진다. 유태교에서는 이혼을 금지하고 있지는 않다. 물론 이 혼이란 바람직한 일이 못 된다. 그래도 이혼해야만 할 부부가 있다면 랍비를 찾아가 아무래도 원망할 수가 없다고 하여 랍비가 인정하면 이혼이 이루어진다. 결혼 - ..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25
탈무드 - 남녀간의 교제 12 탈무드 - 남녀간의 교제 12 결혼할 때는 이혼까지도 예상해야 한다. 이 말은 두 가지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첫째는 앞에서도 이미 말했듯이 '자식이 결혼하면 먼저 어머니에게 이연장을 내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였다. 이 말의 뜻은, 결혼을 할 때는 자기 어머니와의 인연까지도 끊어가면서 이 여자..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25
탈무드 - 남녀간의 교제 11 탈무드 - 남녀간의 교제 11 자식이 결혼할 때는 신부에게 혼인 증서를 주고, 어머니에게는 이연장을 주어야만 한다. 유태인의 지혜가 오랜 경험을 통해 만들어진 때문인지 , 유태인을 가리켜 공리적인 민족이라고 한다. 유태인은 결혼하면 가족이 한 집에서 살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부모들은 신혼부..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25
제37과 신명기(5): 모세의 두 번째 설교(4)(19-26장) 2 제37과 신명기(5): 모세의 두 번째 설교(4)(19-26장) 2 1-3. 위증에 대한 형벌(19:14-21) 사람들은 대개 자신의 무죄만을 주장하는 경향이 있다. 하나님께서는 고소가 제기될 경우에 재판관들이 그것을 면밀히 검토해서 죄가 입증되면 엄격하게 보복의 법칙을 적용하라고 지시하셨다. 문제를 조사하는 데 있어.. 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2011.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