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학의 교육 2 676

제36과 신명기(4): 모세의 두 번째 설교(3)(12-18장) 10

제36과 신명기(4): 모세의 두 번째 설교(3)(12-18장) 10 * 우상 숭배 금지와 제물의 규례(16:21-17:1) 하나님께서는 사법제도를 다루다가 갑자기 우상 숭배에 대해 언급하셨다. 이 말은 재판관들에게 우상 제작과 숭배를 허용하지 말라는 의미일 것이다. 이어서 나오는 이야기가 우상 숭배자들을 처리하는 사법..

제36과 신명기(4): 모세의 두 번째 설교(3)(12-18장) 9

제36과 신명기(4): 모세의 두 번째 설교(3)(12-18장) 9 ⅱ. 정치적인 규례들(16:18-18:22) 이제 모세는 정치적인 문제로 주제를 전환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종교적인 문제 뿐 아니라, 정치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거룩하고 성결한 백성다운 처신을 해야 한다. 국가와 민족의 번영을 위해서는 사회질서가 잘 정돈..

제36과 신명기(4): 모세의 두 번째 설교(3)(12-18장) 8

제36과 신명기(4): 모세의 두 번째 설교(3)(12-18장) 8 5. 이스라엘의 3대 절기(16:1-17): 레위기 23장의 절기 부분을 참고할 것. 5-1. 유월절(16:1-8) '아빕'은 '녹색' 또는 '푸른 이삭'이란 뜻으로 '신록(新綠)의 계절'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로 이때는 양력 3, 4월에 해당하는데, 히브리 민간력으로는 7월에 해당한..

제36과 신명기(4): 모세의 두 번째 설교(3)(12-18장) 7

제36과 신명기(4): 모세의 두 번째 설교(3)(12-18장) 7 4. 면제의 해와 히브리 노예들의 해방, 초태생 가축의 구별(15:1-23) 4-1. 면제년의 규례(1-18) * 면제년의 규례(1-11) 이스라엘 백성들은 제 칠 년에는 빚은 진 형제들에게 강제로 빚을 독촉할 수 없었다. 이 해는 '안식년'(安息年,the Sabbatical year)이라고 불렀으..

탈무드 - 교육의 길 23. [교육에 관한 격언]

탈무드 - 교육의 길 23. - 교육에 관한 격언 * 체중은 그 무게를 잴 수 있으나, 지성의 무게는 잴 수가 없다. 지성에는 한계가 없기 때문이다. * 어떤 현인이 '어떻게 현인이 되었느냐'는 질문을 받고, 대답하기를 ' 식용유에 보다도 등유에다 더 많은 돈을 썼기 때문' 이라고 답하였다. * 사람은 책을 통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