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부 - 대한제국의 끝과 통감정치의 시작 제3부 - 대한제국의 끝과 통감정치의 시작 삭풍은 나무 끝에 불고 바람은 공산에 찬데 제3부는 역사적인 사건과 관련된 인물이나 종교·풍속에 관한 사진들이다. 이미 소개된 것도 일부 있다. 우선 대원군의 사진은 교과서에 실릴 만큼 널리 알려진 것이다. 관복을 입은 이 사진 외에 대원.. 好學의 韓國歷史/(한국文化) 2012.10.19
제2부 - 장터와 장인(匠人), 경제생활의 풍경 제2부 - 장터와 장인(匠人), 경제생활의 풍경 소치는 아이는 상기 아니 일었느냐 제2부에 수록된 사진들은 보통 사람의 경제생활과 관련된 것들이다. 배경이 되는 공간은 대개 도회의 장터다. 익숙한 사진도 더러 눈에 띄지만, 이렇듯 한데 모인 장터 풍경 사진은 당시 민초들의 생활을 보.. 好學의 韓國歷史/(한국文化) 2012.10.19
제1부 - 격동기 민초들의 일상과 죽음 100년전 한국모습 제1부 - 격동기 민초들의 일상과 죽음 나물 먹고 물 마시고 팔을 베고 누웠으니 일상생활의 단면이 담긴 사진들을 제1부에 담았다. 도회의 모습을 담은 것도 있고 농촌의 풍경을 담은 것도 있지만, 오늘날의 눈으로 보면 어느 쪽이든 일상에는 큰 차이가 없었던 것처럼 보.. 好學의 韓國歷史/(한국文化) 2012.10.19
6.25전쟁에서 한국이 살아남은 ‘5가지 기적’ [6.25전쟁에서 한국이 살아남은 ‘5가지 기적’] 1950년 6월25일 새벽, 전격적으로 처 내려온 북한 인민군의 남침으로 시작된 6,25 전쟁에서, 한국은, 그때 누가 보아도 패하고, 결국 그 후의 베트남처럼 망하게 되어 있었다. 그 이유는, (1) 그때 한반도는 미국의 ‘태평양 방위선’ 밖에 위치.. 好學의 韓國歷史/[전쟁역사]6.25 전쟁,이전 2012.09.12
도고 都賈 도고 都賈 조선 후기에 전개된 독점상업 행위 혹은 그 기관과 조직. 도고(都庫)와 혼용되기도 한다. 원래 도고(都庫)는 대동법 실시 이후 공납품 조달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공납품을 사서 예치해두는 창고를 뜻했고, 도고(都賈)는 상인들의 도매기관이었다. 그런데 뒤에 공물주인이나 ..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2.09.10
공부 貢賦 공부 貢賦 국가에서 각 지방의 특산물을 농민들이 현물로 내게 한 조세의 일종. 고려 이전에는 공부제의 분화가 없이 당나라의 세법을 모방한 조(租)·용(庸)·조(調)의 구별을 찾아볼 수 있을 뿐이며, 고려시대에도 공부의 일정한 제도적 확립을 보지 못해 공부의 규정은 수시로 변동되..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2.09.10
당백전 當百錢 당백전 當百錢 조선 말기 흥선대원군 집권기 때 중앙정부의 급증하는 재정을 충당하기 위하여 주조·발행된 고액 화폐. 1866년(고종 3) 11월부터 6개월 동안 1,600만 냥이 주조·유통되었다. 세도정권하의 삼정문란(三政紊亂)으로 재정궁핍이 심하였고, 흥선대원군의 집권 뒤 왕권강화책의 ..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2.09.10
수학사 數學史 수학사 數學史 history of mathematics 수학의 발전에 대해 고대문명의 뿌리까지 추적하는 연구. 기호(記號)와 기본적인 계산과정에서부터 오늘날의 추상적 형식주의까지 복잡한 경로로 발전한 수학적 방법의 체계화는 놀랄 만한 이야기인데, 2개의 주요분야, 즉 대수학(代數學)과 기하학(幾何..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2.09.10
전황 錢荒 전황 錢荒 조선 후기 상품화폐경제의 발전에 따라 나타난 동전(銅錢) 유통량의 부족을 일컫는 말. 전황의 원인 조선 후기에 나타나는 전황의 원인은 3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정부의 동전발행억제 정책과 동전원료난이었다. 1678년(숙종 4)부터 동전이 법화로서의 제반기능을 발휘하면서 ..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2.09.10
서운관 書雲觀 서운관 書雲觀 고려말부터 조선초까지 천문(天文)·역수(曆數)·측후(測候)·각루(刻漏) 등의 일을 맡아보던 관청. 천변지이(天變地異)를 관측하여 기록하고, 역서를 편찬하며, 절기와 날씨를 측정하고 시간을 관장하던 곳이었다. 서운관은 1308년 고려 충선왕이 즉위하면서 처음 설치되..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2.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