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롱] 戰而不降 [살롱] 戰而不降 플레이보이는 술집에서 주특기가 드러나고, 보통 사람은 도박을 할 때 숨겨져 있던 기질이 드러난다. 기업의 CEO나 정치인은 인사권을 행사할 때 그 취향과 가치관이 나타나기 마련이다. 그렇다면 노무현 대통령의 기질은 어떤가. 이번에 여야가 모두 반대하는 유시민 보건복지부 장관..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6.25
[살롱]겨울철의 대구탕 [살롱]겨울철의 대구탕 40년 라이벌인 YS와 DJ. 여러 가지로 닮은 점이 많다. 차례로 대통령을 지냈고 섬 출신이라는 점도 그렇다. 바닷가 태생이라서 그런지 두 사람은 생선탕을 좋아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의도 태생인 DJ가 좋아하는 생선은 홍어, 거제도 태생인 YS는 대구이다. DJ가 홍어탕을 먹으면서 ..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6.22
鷄龍山派의 예언 鷄龍山派의 예언 예언이 꼭 맞는 것은 아니지만 기왕이면 불길한 쪽의 예언보다는 희망을 주는 낙관적인 예언이 마음에 와 닿는다. 낙관은 낙관을 낳는다. 나라의 국운을 주로 예측해온 문파가 계룡산파이다. 왜 계룡산파인가? 계룡산은 산 전체가 암반으로 이루어진 산이라서 영적인 에..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6.22
세설신어 [책마을] 고대중국 귀족사회 관습등 실상 생생히... ●세설신어(전3권) 유의경 지음, 김장환 옮김, 살림. 소설이라는 문학형식을 통해서 한 나라, 한 시대의 생활을 파악하는 것은 흥미롭기도 하거니와 역사서 보다도 더 정확한 이해에 도달하는 길이 되기도 한다. 왜냐하면 소설은 마치 무의식의 언술..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6.22
필부지용(匹夫之勇) 필부지용(匹夫之勇) ; 소인의 혈기에서 나오는 용기 《出典》'孟子' 梁惠王下 齊나라 宣王이 물어 보았다. "이웃나라와 사귀는 데 방법이 있습니까?" 孟子가 대답했다. "있습니다. 오직 仁者라야 능히 큰 나라로써 작은 나라를 섬길 수 있습니다.그러므로 殷나라 湯王이 갈(葛)나라를 섬기고, 周文王이 ..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1.23
풍성학려(風聲鶴儢) 풍성학려(風聲鶴儢) ; 바람 소리와 울음소리란 뜻으로, 겁을 먹은 사람이 하찮은 일이나 작은 소리에도 몹시 놀람의 비유. 風:바람 풍. 聲:소리 성. 鶴:학 학. :학울 儢. 《出典》'晉書' 謝玄傳 동진(東晉)의 명장 사현(謝玄)은 진왕(秦王) 부견(符堅)이 직접 이끌고 내려온 백만에 가까운 군사를 맞아 겨우..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1.23
표사유피(豹死留皮) 표사유피(豹死留皮) ; 표범은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는 뜻. 사람은 사후(死 後)에 이름을 남겨야 함의 비유. 《出典》'新五代史' 死節篇 왕언장(王彦章)은 한갓 병졸에서 시작하여 후량(後梁) 태조(太祖) 주전충(朱全忠)의 장군이 되었다. 그는 뛰어난 용기와 힘으로 쇠창을 옆에 끼고 촉한(蜀漢)의 조자..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1.23
포호빙하(暴虎馮河) 포호빙하(暴虎馮河) ; 맨 손으로 범을 잡고 배없이 강을 건넌다. 아무 준비도 없이 무모하게 쓸 데 없는 용기만 내는 사람을 말함.暴:사나울 폭(관용)·포. 虎:범 호. 馮:탈 빙. 河:물 하 [동의어] 포호빙하지용(暴虎馮河之勇) [참조] 전전긍긍(戰戰兢兢). [출전] ≪論語≫ 〈述而篇〉맨손으로 범에게 덤비..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1.23
파죽지세(破竹之勢) 파죽지세(破竹之勢) ; 대나무를 쪼개는 기세라는 뜻. 곧 ① 맹렬한 기세. ② 세력이 강대하여 적대하는 자가 없음의 비유. ③ 무인지경을 가듯 아무런 저항도 받지 않고 진군함의 비유. 《出典》'晉書' 杜預傳 위(魏)나라의 권신(權臣) 사마염(司馬炎)은 원제(元帝)를 폐한 뒤 스스로 제위(帝位)에 올라 ..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1.23
퇴고(推敲) 퇴고(推敲) ; 글을 지을 때 여러 번 다듬고 고치는 일 당(唐)나라 시인(詩人) 가도(賈島)가 말 위에서 <승퇴월하문(僧推月下門)>의 싯귀가 떠올라 한유(韓愈)에게 물어 <퇴(推);밀다>를 <고(敲);두드리다>로 고친 데에서 유래. 推:밀 퇴·옮을 추. 敲:두드릴 고 [출전]《唐詩紀事》〈卷四十 題..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