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롱] 음의 공덕 [살롱] 음의 공덕 동양사상에서 음양(陰陽)을 이야기 할 때 ‘양음’이라고 하지 않고, 꼭 ‘음양’이라고 한다. 음을 양보다 앞세운다. 왜 음을 앞세우는 것인가. 모든 묘용(妙用)은 음에서 나온다. 태양은 그 모습이 변하지 않고 일정하지만, 달은 초승달에서 반달, 그리고 보름달로 변화해 간다. 죽었..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8.21
[살롱] 響山古宅 사랑방 [살롱] 響山古宅 사랑방 우리나라 도시 가운데 전통문화가 아직 살아 있는 곳을 꼽는다면 안동·전주·진주 정도이다. 전주는 판소리와 음식, 진주는 풍류, 그리고 안동은 고택(古宅)이다. 안동에는 조선시대 양반들이 살았던 고색창연한 기와집들이 많이 보존되어 있다. 조선시대 고택이 지닌 매력은..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8.21
고사성어 [古事成語] 고사성어 [古事成語] 가 - 나 - 다 - 라 - 마 - 바 - 사 - 아 - 자 - 차 - 카 - 타 - 파 - 하 고사성어 뜻 풀 이 가가대소(呵呵大笑) 소리를 크게 내어 웃음. 가가호호(家家戶戶) 각 집과 각 호(戶). 곧, 집집마다. 가담항설(街談巷說) 길거리에 떠도는 소문. 세상의 풍문(風聞). 가담항어(街談巷語). 가렴주구(苛斂..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7.03
[살롱] 용연향(Ambergris) [살롱] 용연향(Ambergris) 동양의 왕실과 귀족층에서 애호하던 향(香)을 세 가지만 꼽는다면 침향(沈香) 사향(麝香) 용연향(龍涎香)이다. 이 세 가지 향은 모두 은은하면서도 깊은 향을 풍긴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마음을 안정시켜 주고 기분 전환을 시켜 준다. 침향의 재료는 상록수과에 속하는 서향(..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6.29
[살롱] 물의 시대 [살롱] 물의 시대 동양의 고대사회에서는 토·목·금·화·수 오행(五行)의 변화를 가지고 왕조 교체를 설명하였다. 예를 들면 황제(黃帝)가 세운 나라는 토의 기운에 바탕하였던 나라고, 그 다음에 등장하였던 하 나라는 목이다. 그 다음의 은 나라는 금이고, 주 나라는 화, 그리고 등장한 진시황의 제..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6.29
[살롱] 외국어 도사의 비결 [살롱] 외국어 도사의 비결 나는 20대 후반부터 지리산대학(智異山大學) 낭인과(浪人科)를 다니면서 산천을 방랑하는 수백 명의 낭인과 기인, 그리고 도사들을 만나볼 기회가 있었다. 그들은 대부분 한 가지 주특기는 가지고 있기 마련이었다. 그 와중에 만난 박재광(40)이라고 하는 해외파 낭인은 5개 ..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6.29
[살롱] 대구의 풍수와 화재 [살롱] 대구의 풍수와 화재 근래에 유달리 대구에서 대형 화재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왜 이렇게 대구에서 불이 많이 나는가. 몇 달 전에 이 문제를 이미 다룬 바 있지만, 대구에 사는 독자들의 계속된 요청으로 한 번 더 다룬다. 먼저 대구 지세(地勢)의 특징은 동서남북에 모두 높은 바위산이 포진하고..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6.25
[살롱] 石坡蘭과 三轉之妙 [살롱] 石坡蘭과 三轉之妙 흥선대원군이 남긴 자취 가운데 하나가 석파란(石坡蘭)이다. 대원군은 특별히 난(蘭) 그림을 잘 그렸고, 대원군이 그린 난을 세간에서는 ‘석파란’이라고 불렀다. 석파(石坡)는 대원군의 호이다. 난 그림을 그리는 사람들에 의하면 사군자(四君子) 가운데 난 그리기가 가장 ..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6.25
[살롱] 사자성어와 시경 경어 [살롱] 사자성어와 시경 경어 최근에 사자성어(四字成語)를 사용하여 사회가 돌아가는 현상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지난 연말에 교수들이 뽑은 ‘상화하택(上火下澤)’이 있었고, 신년 초에는 ‘약팽소선(若烹小鮮: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작은 생선을 굽듯 해야 한다)’이 소개되었다. 청와대에서는 ..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0.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