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6과 룻기(4): 룻과 다윗(4장) 7 제56과 룻기(4): 룻과 다윗(4장) 7 전혀 새로운 스타트를 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다 끝난 인생이 아니라 시작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한 시대를 풍미하다가 그렇게 사라져버린 잡초들이 아니다. 1년생, 혹은 하루살이 인생이 아니라 오고오는 세대에 영롱하게 빛나는 한 알의 .. 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2012.01.28
제56과 룻기(4): 룻과 다윗(4장) 6 제56과 룻기(4): 룻과 다윗(4장) 6 3. 족보가 주는 몇 가지 교훈들(룻 4:13-22) 회 복 룻기의 1장과 4장은 극적 대조를 이룬다. 죽음으로 시작하더니 출생으로 맺는다. 장례식으로 막을 열더니 결혼식으로 막을 내린다. 하나님이 부재중인 비극으로 출발하더니 하나님을 찬양하는 희극으.. 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2012.01.28
제56과 룻기(4): 룻과 다윗(4장) 5 제56과 룻기(4): 룻과 다윗(4장) 5 증인들 사사시대에도 "여호와께서"(11,12절)를 외치는 사람들이 있다. 하나님은 타락한 세대일지라도 하나님의 섭리를 바라보는 사람들을 남겨 놓으셨다. 그래서 말인데 "믿는 사람들 때문에 교회 방학했다.", 더 나아가 "교회 졸업했다."고 말하는 것.. 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2012.01.25
제56과 룻기(4): 룻과 다윗(4장) 4 제56과 룻기(4): 룻과 다윗(4장) 4 2. 축복하며 살라하네!(룻 4:7-12) 세 종류의 사람들 본문에는 세 사람이 등장한다. 보아스보다 더 우선 순위가 있었던 기업 무를 자 -그의 이름은 '아무개'다-, 보아스, 그리고 성문에 있는 모든 백성과 장로들로 구성된 증인들이다. 보아스와 아무개의.. 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2012.01.25
제56과 룻기(4): 룻과 다윗(4장) 3 제56과 룻기(4): 룻과 다윗(4장) 3 인생은 언제나 두 지평 안에서 살아간다. 이 세상의 가치관과 하나님의 나라의 방식대로 살아가는 사람들로 양분된다. 세상은 언제나 자기처럼 살 것을 우리에게 요구하고, 또 그렇게 사는 것이 행복해 보이도록 "보암직 하고, 먹음직 하고, 탐스러.. 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2012.01.25
제56과 룻기(4): 룻과 다윗(4장) 2 제56과 룻기(4): 룻과 다윗(4장) 2 보아스 그런데 우리는 이와는 전혀 반대인 사람을 만나게 된다. 그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 성문에 올라가서 거기에 앉았다(1). 무엇 때문이죠? 지나가는 사람 구경하려고? 어떤 음흉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음모를 꾸미려고? 다른 사람 골탕 먹이.. 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2012.01.24
제56과 룻기(4): 룻과 다윗(4장) 1 제56과 룻기(4): 룻과 다윗(4장) 1 룻과 엘리멜렉 룻과 나오미 룻과 보아스 룻과 다윗 타락과 회개 구원(1) 구원(2) 회복과 축복 1장 2장 3장 4장 1. 두 지평-기업 무를 자(룻 4:1-6) '고엘'찾기 4막으로 넘어오면서 룻기는 고엘언약을 지킬 자격이 있는 두 사람을 소개한다. 그 기업 무를 자'.. 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2012.01.22
백만장자들의 10가지 습관 많은 사람들이 부자가 되고 싶어서, 돈을 쫓아가며 사는 것 같다. 돈을 쫓아가지 말고, 돈이 오는 길목에서 기다려야 한다고 말하면서도 사람들은 돈을 쫓는다. 우리는 대부분 비슷하다.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고, 자신이 하는 일로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하는 것이 바로 혼다가 관.. 호학의 교육 2/(방법)계명.제안.비결 2012.01.14
자신이 변화하는 법 자신이 변화하는 법 "선과 악은 모두 복잡한 이해관계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하루 하루 내리는 사소한 의사 결정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오늘 우리가 하는 아주 사소한 행동 하나가 몇 달 뒤에는 한번도 꿈꿔 보지 못했던 승리를 위한 전략적 포석이 되는 것.. 호학의 교육 2/(방법)계명.제안.비결 2012.01.13
바른 대화 자세 ■ 바른 대화 자세 좋은 대화는 일상에 활력을 불어 넣고 사업을 성공으로 이끌며, 신실한 우정과 화목한 가정을 약속한다. 많은 이들이 대화를 통해서 상대방의 인격, 성정, 사고의 깊이와 너비를 가늠한다. 말은 마음의 옷과 같기 때문이다. 즐거운 대화를 위해선 나름의 에티켓.. 호학의 교육 2/(방법)계명.제안.비결 2012.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