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振 <115>振 ‘振(진)’은 ‘수(수)’와 ‘辰(신)’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는 ‘손’이라는 뜻이다. ‘辰’은 갑골문에서는 조개껍데기와 같은 도구로 풀을 뽑는 행위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振’은 손으로 풀을 뽑는 행위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振’은 ‘뽑다’라.. 好學의 漢字文學/[한자이야기] 2012.08.15
<114>天視自我民視, 天聽自我民聽 <114>天視自我民視, 天聽自我民聽 옛날에 정치를 하는 사람은 때에 따라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 흉년이나 홍수, 가뭄이 들거나 일식이 일어나면 그들은 이런 현상을 하늘이 분노한 것으로 보았다. 그들은 항상 자신의 정치에 대한 하늘의 뜻을 알고자 했다. 하늘의 뜻을 어떻게 알 수 .. 好學의 漢字文學/[한자이야기] 2012.08.15
<113>交·校·較·絞 <113>交·校·較·絞 ‘交(교)’는 갑골문(甲骨文)에서 사람이 발을 꼬고 있는 모양을 나타낸다. 따라서 ‘交’의 기본적 의미는 ‘교차’이다. ‘交’의 의미는 ‘교차하다, 사귀다, 주고받고 하다’이다. 모두 ‘교차’를 나타낸다. ‘交’에는 ‘서로, 옷깃’이라는 뜻이 있는데 .. 好學의 漢字文學/[한자이야기] 2012.08.15
<112>訓民正音 <112>訓民正音 오늘은 한글날이다. 세종대왕은 한글을 지으면서 ‘訓民正音(훈민정음)’이라고 이름 지었다. ‘訓’은 ‘가르치다’라는 뜻이다. ‘訓練(훈련)’은 ‘訓鍊(훈련)’이라고도 쓰는데, ‘가르치고 익히게 한다’는 뜻이다. 한 번 가르쳐서 이해하고 실행하기는 어려우므.. 好學의 漢字文學/[한자이야기] 2012.08.15
<111>旅·派·脈 <111>旅·派·脈 ‘旅(여)’는 갑골문(甲骨文)에서 ‘깃발 밑에 있는 두 사람’을 나타낸다. ‘方’은 ‘깃발’이고, 오른쪽 부분의 ‘1’는 두 사람이 깃발을 따라가는 모양이다. 그러므로 ‘旅’는 깃발을 따라 무리를 지어 행진하는 모습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부.. 好學의 漢字文學/[한자이야기] 2012.08.15
[생활한자] 自 負(스스로 자, 질 부) [생활한자] 自 負(스스로 자, 질 부) ‘그는 획기적인 제품을 개발했다고 자부하고 있다’의 ‘자부’는? ①子婦 ②子部 ③慈婦 ④自負. ‘自負’란? 自자는 코 모양을 본뜬 것이니 원래에는 ‘코’(nose)를 일컫는 말이었다(참고, 臭·냄새 취, 息·숨쉴 식). 후에 이것이 1인칭 대명사(I, my,..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2.08.15
[생활한자] 豫 防(미리 예, 막을 방) [생활한자] 豫 防(미리 예, 막을 방) ‘병은 치료보다 예방이 중요하다’의 ‘예방’은? ①預防 ②例防 ③豫防 ④預妨. ‘豫防’에 대해 미리미리 알아두자. 豫자의 본뜻은 ‘큰 코끼리’(big elephant)라고 한다. ?(나 여)는 원래 발음요소였는데 음이 약간 달라졌다. ‘미리’(beforehand)라는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2.08.15
[생활한자] 印 象(도장 인, 코끼리 상) [생활한자] 印 象(도장 인, 코끼리 상) ‘His image is deeply impressed on my mind’는 ‘그의 ○○이 마음 속 깊이 남아 있다’는 뜻이다. 공란에 적절한 말은? ①印象 ②印象 ③印像 ④印想. ‘印象’이란? 印자는 ‘억누르다’(suppress)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람을 손으로 머리를 눌러 꿇어앉히..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2.08.15
[생활한자] 證 券(증거 증, 문서 권) [생활한자] 證 券(증거 증, 문서 권) ‘주식·공채·사채 등의 유가 증권’의 ‘증권’은? ①證卷 ②證券 ③證權 ④證拳. ‘證券’에 대해 확실하게 알아보자. 證자는 ‘고발하다’(accuse)가 본뜻이니 ‘말씀 언’(言)이 의미요소이고, ‘오를 등’(登)이 발음요소임은 ?(건질 증)도 마찬가..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2.08.15
[생활한자] 評 價(평할 평, 값 가) [생활한자] 評 價(평할 평, 값 가) ‘The grades are rated on five levels’는 ‘성적은 다섯 단계로 ○○된다’는 뜻이다. 공란에 적절한 말은? ①評價 ②平定 ③區分 ④分類. ‘評價’에 대해 야금야금 뜯어보자. 評자는 사실의 옳고 그름이나 사물의 우열 등에 대하여 말로 ‘평하다’(criticize)는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2.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