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상덕부덕(上德不德) <48>상덕부덕(上德不德) 上: 위 상 德: 덕 덕 不: 아닐 불 德: 덕 덕 덕행이 있는 사람은 자신의 덕을 과시하지 않음으로써 오히려 덕이 있게(有德) 된다는 의미로 노자(老子) 38장에 나온다. 한비자 ‘해로(解老)’ 편에도 나오는 이 말은 도가의 무위(無爲)의 철학적 성격을 정치적으로 ..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9.14
<47>법불아귀(法不阿貴) <47>법불아귀(法不阿貴) 法: 법 법 不: 아니 불 阿: 언덕 아 貴: 귀할 귀 한비자 ‘유도(有度)’편에 나오는 말로 승불요곡(繩不撓曲·먹줄은 굽은 모양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다)이란 말과 함께 쓰여 법의 형평성과 공정성을 강조한 말이다. 한비의 시각은 이렇다. “뛰어난 장인은 눈대..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9.14
<46>오미사악(五美四惡) <46>오미사악(五美四惡) 五: 다섯 오 美: 아름다울 미 四: 넉 사 惡: 악할 악 ‘존오미병사악(尊五美屛四惡·다섯 가지 미덕을 존중하고 네 가지 악을 물리치다)’의 준말로, 공자의 제자 자장(子張)이 공자에게 정치에 종사할 수 있느냐고 여쭈어보자 한 말이다. ‘오미(五美)’란 “은..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9.14
<45>화막대어부지족(禍莫大於不知足) <45>화막대어부지족(禍莫大於不知足) 禍: 재화 화 莫: 없을 막 大: 큰 대 於: 어조사 어 不: 아닐 불 知: 알 지 足: 만족할 족 무리한 욕심이 화를 부른다는 것으로 ‘지족(知足)’이란 자신의 분수를 알고 정해진 사안에 대해 만족감을 갖는다는 의미다. 이 말은 한비자 유로(喩老) 편에 ..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9.13
<44>교사불여졸성(巧詐不如拙誠) <44>교사불여졸성(巧詐不如拙誠) 巧: 교묘할 교 詐: 속일 사 不: 아닐 불 \如: 같을 여 拙: 졸할 졸 誠: 정성 성 ‘교사’는 ‘기교사위(機巧詐僞)’의 준말이고, ‘졸성’은 ‘본졸성실(분拙誠實)’의 준말이니, 교묘하고 위장된 행동보다는 투박하고 우직하며 성실한 마음 자세가 더 ..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9.13
<43>가취현불가굴치(可就見不可屈致) <43>가취현불가굴치(可就見不可屈致) 可: 가할 가 就: 나아갈 취 見: 뵐 현 不: 아닐 불 可: 가할 가 屈: 굽을 굴 致: 이를 치 인재란 온 정성을 다해 모셔 와야 한다는 의미로 삼고초려(三顧草廬)란 말과 유사하다. ‘삼국지’ ‘촉서(蜀書)’ ‘제갈량전(諸葛亮傳)’에 의하면 제갈량은 ..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9.13
<42>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 <42>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 瓜: 오이 과 田: 밭 전 不: 아닐 불 納: 들 납 履: 신발 리 李: 오얏 리 下: 아래 하 不: 아닐 불 整: 가지런할 정 冠: 갓 관 위나라 조비(曹丕)가 군자행(君子行)이란 시에서 처음 이 말을 썼는데, 군자는 미연(未然)에 방지하며, 혐의(嫌疑)가 있는 곳에 머물지 ..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9.13
<41>궁당익견(窮當益堅) <41>궁당익견(窮當益堅) 窮:궁할 궁 當:마땅할 당 益:더할 익 堅:굳셀 견 역경 속에서도 굳건한 마음을 지녀야 한다는 의미로 대장부의 자세를 말한 마원(馬援)의 말이다. ‘후한서(後漢書)’ ‘마원전(馬援傳)’에 의하면 전한 말 부풍군에 마원이라는 사람이 살았다고 한다. 그는 어..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9.13
[생활한자] 回 轉(돌 회, 구를 전) [생활한자] 回 轉(돌 회, 구를 전) ‘He is quick on the uptake’는 ‘그는 머리의 ○○이 빠르다’는 뜻이다. 공란에 적절한 말은? ①回轉 ②回傳 ③回電 ④悔悛. ‘回轉’에 대하여 빙빙 겉돌지 말고 확실하게 알아보자. 回자는 ‘돌다’(revolve)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물이 소용돌이쳐 도는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2.09.13
[생활한자] 輪 禍(바퀴 륜, 재앙 화) [생활한자] 輪 禍(바퀴 륜, 재앙 화) ‘행인이 길을 건너다 윤화를 입어 병원에 실려갔다’의 ‘윤화’는? ①倫禍 ②淪禍 ③輪禍 ④潤禍. ‘輪禍’란? 輪자는 살[輻]이 달린 ‘수레바퀴’(wagon wheel)를 지칭하기 위해서 고안한 글자이니 ‘수레 거’(車)가 의미요소로 쓰였다. 侖(생각할 륜)..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2.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