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한자] 逃 亡(달아날 도, 망할 망) [생활한자] 逃 亡(달아날 도, 망할 망) ‘벽에 낙서하던 아이들은 선생님을 보자 모두 도망쳤다’의 ‘도망’은? ①逃忙 ②逃亡 ③逃忘 ④逃芒. ‘逃亡’이란? 逃자는 ‘달아나다’(run away)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길갈 착’(? = ? = ?+止 = ‘길’+‘발자국’ = ‘길가다’)이 의..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2.09.18
[생활한자] 要 覽(요긴할 요, 볼 람) [생활한자] 要 覽(요긴할 요, 볼 람) ‘2006학년도 대학 요람을 참고 바랍니다’의 ‘요람’은? ①要覽 ②搖籃 ③要藍 ④搖攬. ‘要覽’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자. 要자는 서 있는 여자(女)의 허리춤에 ‘두 손이 얹어 있는 것’(??·덮을 아)이 변화된 것으로, ‘허리’(the waist)가 본뜻이다.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2.09.18
[생활한자] 達 辯(통달할 달, 말잘할 변) [생활한자] 達 辯(통달할 달, 말잘할 변) ‘그는 달변이지만, 실언을 너무 많이 하는 게 탈이다’의 ‘달변’은? ①達辨 ②達辦 ③達瓣 ④達辯. ‘達辯’이란? 達자는 ‘가다’(go)가 본뜻이니 ‘길갈 착’(?=?)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발음요소인 그 나머지는 幸(행) 아니라, ‘큰 대’(大)와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2.09.18
<55>팔간(八姦) <55>팔간(八姦) 八: 여덟 팔 姦: 간사할 간 나쁜 신하가 군주에게 저지르는 여덟 가지 간사한 행동으로 동상(同床) 재방(在旁) 부형(父兄) 양앙(養殃) 민맹(民萌) 유행(流行) 위강(威强) 사방(四方) 등을 뜻한다. 한비자 ‘팔간(八姦)’ 편에 나온다. 동상(同床)‘동상’이란 잠자리를 같이..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9.18
<54>광자동주, 축자동주(狂者東走, 逐者東走) <54>광자동주, 축자동주(狂者東走, 逐者東走) 狂: 미칠 광 者: 놈 자 東: 동녘 동 走: 달릴 주 逐: 쫓을 축 者: 놈 자 東: 동녘 동 走: 달릴 주 부화뇌동(附和雷同)이란 말과 같은 개념으로 한비자 ‘설림상(說林上)’ 편에 나온다. 한비는 이런 비유를 들었다. 노단(魯丹)이란 자가 중산(中..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9.18
<53>애신태친 필위기신(愛臣太親, 必危其身) <53>애신태친 필위기신(愛臣太親, 必危其身) 愛: 사랑할 애 臣: 신하 신 太: 클 태 親: 친할 친 必: 반드시 필 危: 위태로울 위 其: 그 기 身: 몸 신 믿는 사람을 더욱 경계하라는 말로 군주의 총애를 받는 신하의 권세나 지위가 높아지면 힘의 향방이 군주에게서 신하에게로 옮아가 군주..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9.18
<52>난군인승(亂軍引勝) <52>난군인승(亂軍引勝) 亂: 어지러울 난 軍: 군사 군 引: 끌 인 勝: 이길 승 적군이 아군의 군대를 어지럽게 하여 승리를 거머쥔다는 말로 손자병법 ‘모공(謀攻)’ 편에 나오는데 특히 장수와 군주 사이의 역할 분담에 실패하게 될 때 이런 상황이 초래된다고 했다. 손자에 의하면 군..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9.17
<51>상병벌모(上兵伐謀) <51>상병벌모(上兵伐謀) 上: 위 상 兵: 병사 병 伐: 칠 벌 謀: 꾀할 모 교묘한 전략으로 적을 공격하는 것이 상책이란 뜻으로 손자병법 ‘모공(謀攻)’ 편에 나오는 말이다. ‘모(謀)’는 책략 혹은 전략이며 ‘벌(伐)’은 ‘공(攻)’과 마찬가지로 공격을 뜻한다. 손자는 싸우지 않고 적..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9.17
<50>기화가거(奇貨可居) <50>기화가거(奇貨可居) 奇: 기이할 기 貨: 재물 화 可: 옳을 가 居: 거할 거 지금의 가치보다는 미래의 보물이란 뜻으로 ‘보화난수(寶貨難수)’와 유사하다. 사기 ‘여불위열전(呂不韋列傳)’에 의하면 이렇다. 전국시대 말 위(衛)나라의 거상(巨商) 여불위가 어느 날 조나라의 수도 ..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9.14
<49>일수독박 수질무성 <49>일수독박 수질무성 一: 한 일 手: 손 수 獨: 홀로 독 拍: 칠 박 雖: 비록 수 疾: 빠를 질 無: 없을 무 聲: 소리 성 군신관계의 원만한 조화와 협력의 중요성을 비유적으로 말한 것으로 한비자 ‘공명(功名)’ 편에 나오는 말이다. 군주가 신하를 내치면 자신도 버려지므로, 군주는 신하..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