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9주 동양명언 제89주 동양명언 : 신뢰가 바탕이 된 아름다운 사회를 고대해 봅니다. ◈ [금주 명언] - 君子는 以文會友하고, 以友輔仁이니라. ◆ [독음] - 군자 이문회우 이우보인. ◆ [한자] - 임금 군/ 아들 자/ 써 이/ 글월 문/ 모일 회/ 벗 우/ 써 이/ 벗 우/ 도울 보/ 어질 인 ▶ [출전] - 『논어(論語)』<안연편(顔淵篇)..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10.04.10
[한자 이야기]<851> [한자 이야기]<851> 君子有三戒하니 少之時에는 血氣未定이라 戒之在色이요… 인간은 志氣와 血氣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血氣는 혈액의 운동에서 생겨나는 生氣로 인간의 본능에 속하므로 누구나 연령별로 비슷한 특성을 나타낸다. 하지만 위대한 인물은 志氣가 남달라서 혈기를 억제하..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3.29
[한자 이야기]<850> [한자 이야기]<850> 侍於君子에 有三愆하니 言未及之而言을… 군자를 모심에 세 가지 잘못이 있으니, 말씀이 미치지 않았는데 먼저 말하는 것을 조급함이라 이르고, 말씀이 미쳤는데 말하지 않는 것을 숨김이라 이르고, 안색을 보지 않고 말하는 것을 눈멂이라 이른다. ‘논어’ ‘季氏(계씨)’의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3.29
[한자 이야기]<849> [한자 이야기]<849> 益者三樂요 損者三樂니 樂節禮樂하며 … ‘논어’ ‘季氏(계씨)’의 다섯 번째 장에 나오는 三樂는 ‘삼요’라고 읽는다. 樂를 ‘좋아할 요’로 읽는 것이다. 단, 일본의 오규 소라이나 우리나라의 정약용은 ‘즐길 락’으로 읽어야 의미가 깊다고 했다. 여기서는 관습적인 독..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3.10
[한자 이야기]<848> [한자 이야기]<848> 益者三友요 損者三友니 友直하며 友諒하며… 유익한 벗이 세 부류이고 손해되는 벗이 세 부류이니, 벗이 정직하며 벗이 성실하며 벗이 견문이 많으면 유익하고, 벗이 외모만 잘 차리며 벗이 나긋나긋하기만 하며 벗이 말만 번드르르하면 손해된다. 三益(삼익)과 三損(삼손)이라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