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이야기]<905>
謂柳下惠少連하시되 降志辱身矣이나…
공자는 逸民(일민) 가운데 伯夷(백이)와 叔齊(숙제)를 평한 후 柳下惠와 少連에 대해 위와 같이 평했다.
謂는 …에 대해 평한다는 뜻이다.
일민들은 학문과 덕행이 높으면서도 세상을 벗어나 있는 점은 같아도 각자의 행동양식에는 차이가 있다.
백이와 숙제는 뜻을 높이 지니고 모욕을 받지 않았다.
이에 비해 유하혜와 소련은 뜻을 굽히고 몸을 욕되게 했다.
그러나 이들은 言中倫과 行中慮의 덕을 지녔다.
中은 부합한다는 뜻이니,
言中倫은 말하는 것이 윤리나 조리에 맞는 것을 말한다.
行中慮는 행실이 사람들의 思慮(사려)를 벗어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단, 정약용은 행동이 마음속 생각과 부합하는 것이라고 했다.
유하혜는 노나라 대부 臧文仲(장문중)에게 작은 나라로서 큰 나라를 섬기는 방도를 일러주었고 장문중이 爰居(원거)라는 바닷새를 제사 지내려 했을 때는 명분이 없다고 말렸다. 또 夏父弗忌(하보불기)가 僖公(희공) 신위의 반열을 올리려 하자 귀신과 인간의 도리에 맞지 않는다며 말렸다.
정약용은, 유하혜가 초년에 벼슬하지 않고 지내되 원망하는 마음이 없었으므로 그를 일민으로 손꼽은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유하혜가 원거의 제사를 말린 일이나 희공 신위의 반열을 올리지 못하게 한 일이 言中倫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한편 소련은 ‘예기’와 ‘공자가어’에 이름이 나오며, 상례를 잘 거행했다고 한다. 東夷(동이)의 사람이라고 하는데 잘 알 수 없다.
세상에 쓰이고 쓰이지 않고는 내 뜻과 관계없다. 말을 조리에 맞도록 하고 행실을 思慮에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 그것이 우리 자신의 뜻이다.
'好學의 漢字文學 > [생활한자]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 이야기]<907> (0) | 2010.07.10 |
---|---|
[한자 이야기]<906> (0) | 2010.07.10 |
[한자 이야기]<904> (0) | 2010.07.10 |
[한자 이야기]<903> (0) | 2010.07.10 |
[한자 이야기]<902> (0) | 2010.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