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한자] 危機 (위태할 위,틀 기) [생활한자] 危機 (위태할 위,틀 기) ‘한국은 항상 에너지 위기의 가능성을 안고 있다’의 ‘위기’는? ①位記 ②委寄 ③胃氣 ④危機. ‘危機’란? 危자는 ‘두려워하다’(fear)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벼랑[?] 위에 서 있는 사람[?의 변형]과 겁이 나서 그 밑에 쭈그리고 앉아있는 사람[?]의 모습을 그린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8
[생활한자] 獨 占 (홀로 독,점할 점) [생활한자] 獨 占 (홀로 독,점할 점) ‘그 대기업이 전체 시장을 독점했다’의 ‘독점’을 바르게 적은 것은? ①獨占 ②督店 ③獨點 ④篤占. ‘獨占’이란? 獨자는 ‘(개가 서로) 싸우다’(fight)가 본뜻이니, ‘개 견’(?=犬)이 의미요소로 쓰였고, 蜀(나라이름 촉)은 발음요소였다는 설이 있다. 양[羊]은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8
[생활한자] 勸 奬 (권할 권, 장려할 장) [생활한자] 勸 奬 (권할 권, 장려할 장) ‘그것은 조림을 권장하는 데 이바지할 것이다’의 ‘권장’은? ①勤奬 ②勸醬 ③勤醬 ④勸奬. ‘勸奬’이란? 勸자는 ‘힘쓰다’(try hard)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힘 력’(力)이 의미요소임을 금방 알 수 있다. (황새 관)이 발음요소였음은 權(저울추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8
[생활한자] 勤 儉 (부지런할 근, 검소할 검) [생활한자] 勤 儉 (부지런할 근, 검소할 검) ‘그는 근검을 생활신조로 삼아 평생 열심히 살아왔다’의 ‘근검’은? ①謹儉 ②勤儉 ③勤檢 ④謹檢. ‘勤儉’이란? 勤자는 ‘일하다’(serve)는 뜻을 글로 적기 위한 것이었다. 일은 힘이 들기 마련이었으니 ‘힘 력’(力)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왼쪽의 것이..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8
[생활한자] 劇 的 (심할 극,과녁 적) [생활한자] 劇 的 (심할 극,과녁 적) ‘The two met again most dramatically’는 ‘두 사람은 ○○으로 다시 만났다’는 뜻이다. 공란에 적절한 말은? ①劇的 ②仲媒 ③中媒 ④劇賊. ‘劇的’이란? 劇자는 ‘심하다’(extreme)가 본뜻인데, 왜 ‘칼 도’(刀)가 의미요소로 쓰였는지에 대하여는 정설이 없다. (원숭이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8
제140주 동양명언 제140주 동양명언 : 겸손과 공존의 가치를 되새길 수 있는 참된 가치관을 정립해 봅니다. ◈ [금주 명언] - 以能問於不能하고 以多問於寡하니라. ◆ [독음] - 이능문어불능 이다문어과. ◆ [한자] - 써 이/ 능할 능/ 물을 문/ 어조사 어/ 아니 불/ 능할 능// 써 이/ 많을 다/ 물을 문/ 어조사 어/ 적을 과 ▶ [출..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10.09.08
제139주 동양명언 제139주 동양명언 : 신념의 실천을 담보할 수 있는 自省의 참된 가치를 되새깁니다. ◈ [금주 명언] - 大人者는 言不必信이며 行不必果요, 惟義所在니라. ◆ [독음] - 대인자 언불필신 행불필과 유의소재. ◆ [한자] - 큰 대/ 사람 인/ 놈 자/ 말씀 언/ 아니 불/ 반드시 필/ 믿을 신/ 행할 행/ 아니 불/ 반드시 ..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10.09.08
제138주 동양명언 제138주 동양명언 : 역사의 거울을 통해 변화의 흐름 속에 참여하는 가치를 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봅니다. ◈ [금주 명언] - 前事之不忘은 後事之師니라. ◆ [독음] - 전사지불망 후사지사. ◆ [한자] - 앞 전/ 일 사/ 어조사 지/ 아니 불/ 잊을 망// 뒤 후/ 일 사/ 어조사 지/ 스승 사 ▶ [출전] ..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10.09.08
[한자 이야기]<960>孟子對曰王은 何必曰利잇고 亦有仁義而已矣니이다 [한자 이야기]<960>孟子對曰王은 何必曰利잇고 亦有仁義而已矣니이다 ‘孟子’ ‘梁惠王·上’은 7章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첫 장은 여기에 나오는 어구를 따서 何必曰利章이라 부른다. 양혜왕, 즉 魏나라 제후 앵(앵)과 맹자와의 대화가 이어진다. 맹자가 위나라 수도 大梁(대량)으로 오자 혜왕은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6
[한자 이야기]<959>孟子見梁惠王하신대 王曰쑚不遠千里而來하시니… [한자 이야기]<959>孟子見梁惠王하신대 王曰쑚不遠千里而來하시니… ‘孟子(맹자)’의 처음인 ‘梁惠王·上’의 첫머리다. 유교의 경전인 四書三經에는 金科玉條(금과옥조)의 어구로 가득한데 ‘맹자’에는 특히 생동적인 고사성어가 많다. ‘맹자’는 전국시대 鄒(추)나라 사람 孟軻(맹가)가 지..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