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이야기]<954>君子는 正其衣冠하며 尊其瞻視하여… [한자 이야기]<954>君子는 正其衣冠하며 尊其瞻視하여… 지난 호에서 이어진다. 공자는 위정자가 지녀야 할 五美에 대해 하나하나 敷衍(부연)했는데 위는 威而不猛을 부연한 것이다. 瞻視는 사물을 바라봄이다. 儼然은 장엄함을 형용하는 말이다. 威而不猛은 ‘述而’편에서 공자의 威儀(위의)를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5
[한자 이야기]<953> 君子는 無衆寡하며 無小大히… [한자 이야기]<953> 君子는 無衆寡하며 無小大히… 지난 호에 이어진다. 공자는 위정자가 五美(오미)의 덕을 지녀야 한다고 말하고서 그 하나하나에 대해 敷衍(부연)하였는데, 위는 그 가운데 泰而不驕를 부연한 말이다. 無衆寡와 無小大는 서로 반대되는 뜻을 지닌 두 형용사의 복합어 위에 無를 ..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5
[한자 이야기]<952>欲仁而得仁이어니 又焉貪이리오 [한자 이야기]<952>欲仁而得仁이어니 又焉貪이리오 지난 호에 이어진다. 子張의 질문을 받고 공자는 위정자가 五美의 덕을 지녀야 한다고 말하고서 그 하나하나에 대해 敷衍(부연)하였는데, 위는 그 가운데 欲而不貪을 부연한 말이다. 欲而不貪은 욕심을 지니지만 남의 것을 탐내지 않는다는 뜻인..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5
[한자 이야기]<951>擇可勞而勞之어니 又誰怨이리오 [한자 이야기]<951>擇可勞而勞之어니 又誰怨이리오 지난 호에 이어진다. 子張이 공자가 從政의 다섯 가지 덕목으로 거론한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해 달라고 청하자, 공자는 五美 전체에 대해 敷衍(부연)하였다. 위는 그 가운데 勞而不怨을 부연한 말이다. 擇可勞는 백성들이 스스로의 건전한 욕구와..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5
[생활한자] 輕傷(가벼울 경,다칠 상) [생활한자] 輕傷(가벼울 경,다칠 상) ‘총구가 빗나간 때문에 비스듬히 총알이 빠져나갔고 또 아슬아슬하게 뼈는 피한 상태여서 지극히 경상이라 할 수 있었다’(박경리의 ‘토지’)의 ‘경상’은? ①經常 ②輕傷 ③景象 ④慶尙. ‘輕傷’에 대해 한 점도 의혹이 없도록 알아보자. 輕자는 ‘가벼운 수..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5
[생활 한자] 左傾(왼 좌,기울 경) [생활 한자] 左傾(왼 좌,기울 경) ‘공산주의나 사회주의 따위의 좌익 사상으로 기울어짐’ 또는 그런 경향을 이르기도 하는 것은? ①左翼 ②右翼 ③左傾 ④右傾. ‘左傾’에 대해 눈을 부릅뜨고 살펴보자. 左자는 ‘손 우’(右)의 변이형인 왼손[?·좌]에 공구[工·공]를 쥐고 있는 모습이니 ‘왼손’(t..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5
[생활 한자]氣候(기운 기, 물을 후) [생활 한자]氣候(기운 기, 물을 후) ‘이곳의 기후는 온화해서 건강에 좋다’의 ‘기후’를 올바로 쓴 것은? ①氣侯 ②氣俟 ③氣後 ④氣候. ‘氣候’란? 氣자는 ‘쌀 미’(米)가 의미요소로 쓰인 것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남에게 음식을 대접하다’가 본뜻이었고, ?(기)는 발음요소다. 후에 그 본래 의..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5
[생활한자] 依 存 (의지할 의, 있을 존) [생활한자] 依 存 (의지할 의, 있을 존) ‘부모에 대한 지나친 의존은 좋지 않다’의 ‘의존’은? ①衣存 ②依存 ③儀存 ④倚存. ‘依存’에 대해 샅샅이 훑어보자. 依자가 갑골문에서는 ‘옷 의’(衣) 안에 ‘사람 인’(?)이 들어가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옷을) 입다’(put on)가 본래 의미였다. 사람..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5
[생활한자] 伏 線(엎드릴 복,줄 선) [생활한자] 伏 線(엎드릴 복, 줄 선) 문학적으로는 ‘소설이나 희곡 따위에서, 앞으로 일어날 사건에 대하여 미리 독자에게 넌지시 암시하는 서술’을 이르기도 하는 것은? ①伏線 ②複線 ③比喩 ④直喩. ‘伏線’이란? 伏자는 ‘엎드리다’(prostrate)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 사람[?]의 발아래 엎드려 있는.. 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2010.09.05
제135주 동양명언 제135주 동양명언 : 과정을 더 소중하게 여기는 아름다운 사회의 모습을 기원합니다... ◈ [금주 명언] - 勤爲無價之寶요, 愼是護身之符라. ◆ [독음] - 근위무가지보 신시호신지부. ◆ [한자] - 부지런할 근/ 할 위/ 없을 무/ 값 가/ 어조사 지/ 보배 보// 삼갈 신/ 이 시/ 지킬 호/ 몸 신/ 어조사 지/ 부절 부 ..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10.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