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본사상[ 民本思想 ] 민본사상[ 民本思想 ] 민심(民心)을 근본으로 하는 정치사상. 〔연 원〕 민본이라는 말은 ≪서경≫ 하서(夏書)에 있는 ‘민유방본(民惟邦本)’이라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앞뒤의 문맥에서 보면, 그 내용은 “백성은 가까이 친애할 것이나 하대해서는 안 된다. 백성은 나라의 근본이니 근.. 好學의 교육 3/(국어사전)國語辭典 2012.09.07
도가사상[ 道家思想 ] 도가사상[ 道家思想 ] 노장사상(老莊思想)을 계승, 발전시킨 철학사상. 〔도교와 도가사상〕 도교와 도가사상은 엄밀한 의미에서 구분된다. 그것은 전자가 종교사상이요, 후자가 철학사상이라는 점도 있지만, 두 사상은 애당초 다른 진리관에서 출발하여 전연 별개의 사상으로 전개되었.. 好學의 교육 3/(국어사전)國語辭典 2012.09.07
덕치주의[ 德治主義 ] 덕치주의[ 德治主義 ] 유학에서 이상으로 생각하는 정치의 방법으로, 통치자의 덕(德)에 의해 이루어지는 정치. 하(夏)·은(殷)·주(周) 삼대(三代)를 이상으로 하는 유학은 이 삼대의 정치를 덕치로 파악하고, 이 덕치에 의한 현실의 이상화를 추구한다. 덕치주의는 공자(孔子)에 이르러 .. 好學의 교육 3/(국어사전)國語辭典 2012.09.07
극기복례[ 克己復禮 ] 극기복례[ 克己復禮 ] 자기의 사욕을 극복하고 예(禮)로 돌아갈 것을 뜻하는 말. ≪논어≫ 안연편(顔淵篇)에서 공자가 제자인 안연에게 인(仁)을 실현하는 방법을 설명한 말이다. 오늘날의 말로 바꾸어 말하면, 충동적이고 감성적인 자아를 의지로 극복하여 예법을 갖춘 교육적 인간상인 .. 好學의 교육 3/(국어사전)國語辭典 2012.09.07
격물치지[ 格物致知 ] 격물치지[ 格物致知 ] 유교철학의 인식이론. ≪대학≫에서 제시된 ‘8조목’ 가운데 처음 두 조목이다.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대학≫의 주석인 주희(朱熹)의 ≪대학장구 大學章句≫에 따르면, “사물의 이치를 궁극에까지 이르러 나의 지식을 극진하게 이른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 好學의 교육 3/(국어사전)國語辭典 2012.09.07
역참[ 驛站 ] 역참[ 驛站 ] 전통시대 공공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설치된 교통 통신기관. 국가의 명령과 공문서의 전달, 변방의 긴급한 군사 정보 및 외국 사신 왕래에 따른 영송(迎送)과 접대, 그리고 공공 물자의 운송 등을 위하여 설치된 교통 통신기관이다. 흔히 우역(郵驛)·역관(驛館)이라고도 하.. 好學의 교육 3/(국어사전)國語辭典 2012.09.06
녹봉[ 祿俸 ] 녹봉[ 祿俸 ] 관리가 국가로부터 받던 물질적 급여. 과전(科田)이나 직전(職田) 등의 수입과는 구별되며 연봉(年俸)이나 월봉(月俸)으로 받는 미곡·포(布) 등 현물로 지급되던 급료제도이다. 녹봉은 ‘녹(祿)’과 ‘봉(俸)’으로 구별된다. 신라 신문왕 때 조(租)와 직전이 주어졌고, 757년(.. 好學의 교육 3/(국어사전)國語辭典 2012.09.06
국연[ 國烟 ] 국연[ 國烟 ] 고구려시대의 수묘인 연호(烟戶). 〈광개토왕릉비문〉에 나오는 수묘인 연호는 국연 30가(家)와 간연(看烟) 300가로 구성되어 있다. 국연이 간연과 구별된다는 점에 주목해 국연의 성격을 구명하려는 논의가 있어 왔다. 우선 양자의 비율이 1 대 10임에 비추어 국연이 중심적인 .. 好學의 교육 3/(국어사전)國語辭典 2012.09.06
광무[ 光武 ] 광무[ 光武 ] 대한제국의 연호. 1897년(고종 34)에 제정되었다. 조선개국 506년 8월 17일부터 광무연호를 사용하기 시작하여, 순종이 즉위하는 1907년 8월까지 10년간 사용되었다. 1897년에 조신(朝臣) 및 일반 사민(士民)과 독립협회 회원들의 요청에 따라, 8월 13일 고종은 건원연호(建元年號)를 .. 好學의 교육 3/(국어사전)國語辭典 2012.09.06
홍익인간[ 弘益人間 ] 홍익인간[ 弘益人間 ]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한다는 뜻으로 우리 나라의 건국이념이며 교육이념. 〔출 전〕 단군신화에 의하면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것’이 천신 환웅이 이 땅에 내려와서 우리의 시조 단군을 낳고 나라를 연 이념이다. 여기에서 ‘인간’은 오늘날처럼 ‘사람’을.. 好學의 교육 3/(국어사전)國語辭典 2012.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