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호] '소년척후대', 스카우트의 원조 [대한민국 제1호] '소년척후대', 스카우트의 원조 "군인 같은 생활을 하는 것 같지만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어린아이나 부인이 위험한 일을 당해 자기 힘으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경우를 볼 때 속히 가서 그것을 구제하고 그 밖에도 무슨 일이든 사회의 유익한 일이면 하도록 주선해 주는 것입니다." ..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0.06.12
[대한민국 제1호] 중국인 귀화자 손일승 1957년 [대한민국 제1호] 중국인 귀화자 손일승 1957년 1957년 2월 8일 발간된 관보(官報) 제1720호는 이호 당시 법무부 장관의 고시(告示)로 시작한다. 정부 수립 이후 처음으로 외국인에게 귀화를 허가했다는 내용이다. 대한민국 귀화 제1호는 중국 출신의 손일승(당시 45세)씨. 당시 관보는 손씨의 본적을 중화민..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0.06.12
[대한민국 제1호] 올림픽 첫 금메달… 마라톤 황영조 [대한민국 제1호] 올림픽 첫 금메달… 마라톤 황영조 스페인 바르셀로나 올림픽 남자 마라톤 경기가 열린 1992년 8월 9일. 출발선에 선 22세의 신출내기 황영조를 주목한 사람은 별로 없었다. 고작 1년 전에 마라톤에 데뷔한 황영조는 아직 세계적 수준이 아니었고 올림픽 챔피언 감도 아닌 것처럼 보였다..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0.06.09
[대한민국 제1호] 1947년산(産) 빨랫비누 무궁화 [대한민국 제1호] 1947년산(産) 빨랫비누 무궁화 대한민국 1호 비누는 1947년 5월 25일, 서울 서소문동 '무궁화' 공장에서 탄생했다. 신종플루에 대한 공포로 손세정용 물비누가 인기를 끄는 등 지금이야 용도도 다양하고 향(香)도 다양한 수십 가지 비누가 생산되고 있지만, 대한민국 1호 비누는 개인의 미..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0.06.09
[대한민국 제1호] 남북 간 첫 공식회담은 1971년 적십자접촉 [대한민국 제1호] 남북 간 첫 공식회담은 1971년 적십자접촉 1971년 8월 20일 정오 판문점 중립국감독위원회 회의실. 남북 적십자사 요원 4명(남북 2명씩)이 총을 들지 않고 악수를 나눴다. 우리측에선 이창렬·윤여훈, 북측에선 서성철·염종련이 첫 남북 적십자회담 개최를 위한 1차 파견원 접촉에 나섰..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0.06.09
[대한민국 제1호] 단일 품목 1억달러 수출 1호는 선박 [대한민국 제1호] 단일 품목 1억달러 수출 1호는 선박 1964년 12월 2일 김정렴 당시 상공부 차관이 떨리는 목소리로 기자들 앞에 섰다. "우리가 염원하던 자립 경제의 확립과 경제 발전의 역사적 기점이 마련됐습니다." 이틀 전인 11월 30일 한국의 수출액이 사상 처음 1억달러를 돌파했다. '무역의 날'은 이..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0.06.09
[대한민국 제1호] '국산 기술' 첫 현대적 댐은 충북 괴산댐 [대한민국 제1호] '국산 기술' 첫 현대적 댐은 충북 괴산댐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을 관통해 흐르는 달천강(남한강 지류)을 따라 올라가다 보면 강 한가운데 제법 큼지막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터를 잡고 있다. 해방 이후 대한민국 기술로 지은 댐 중 가장 오래된 '괴산댐'이다. '댐'을 어떻게 보느냐에 ..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0.06.08
[대한민국 제1호] 1983년 첫 간염백신, 그건 기적이었다 [대한민국 제1호] 1983년 첫 간염백신, 그건 기적이었다 1983년 6월 23일, '간 박사'로 유명한 전(前) 서울대 의대 내과 김정용 교수와 제약회사 녹십자 연구진은 대한민국 백신 제1호를 들고 기쁨의 눈물을 흘렸다. 순수 국내 기술과 시설로 국내 최초 B형 간염백신 '헤파박스B'가 탄생한 것이다. 미국 제약..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0.06.08
[대한민국 제1호] 해방 후 첫 상장 주식 '경성방직' [대한민국 제1호] 해방 후 첫 상장 주식 '경성방직' 경기가 살아나면서 서울 여의도 주식 시장에도 따뜻한 바람이 불고 있다. 지난 3월의 급등세는 완만한 상승세로 바뀌었지만 그래도 훈풍은 이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건국 이후 처음 상장된 주식은 어떤 것이고 어떻게 거래됐나. 그때에도 주식 투기가..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0.06.06
[대한민국 제1호] 첫 대형 상선 '팬코리아호' 진수식 [대한민국 제1호] 첫 대형 상선 '팬코리아호' 진수식 1972년 5월 16일 부산 영도 대한조선공사(현 한진중공업) 조선소에서 한 행사가 열렸다. 부산항 내 모든 선박이 뱃고동을 울리고 바다 위에 떠 있는 소방정에서는 5색으로 물들인 물을 쏘아 올렸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완성된 1만t급 이상 대형 상선(商.. 好學의 韓國歷史/(대한민국第一號) 2010.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