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울신학 제19강 바울신학 제19강 김세윤교수 지난 시간까지 '예수가 하나님 형상이다'-I= -는 인식을 바울이 다메섹 도상에서 얻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이 인식은 훈련받은 신학자 바울로 하여금 즉각 두가지를 예수와 더불어 생각할 수 밖에 없다. 하나는 '예수가 하나님의 지혜이다'왜 그러냐면 지혜문서에 가령 wis.. 好學의 神學/[신학]바울의 生涯와 神學 2010.05.22
바울신학 제18강 바울신학 제 18 강 김세윤교수 영지주의-태초 인간의 신화,구원자 신화-에 호소하는 신학자가 E.Brandenvurger가 '아담과 그리스도'라는 책에서 주장하기를 '원래 아담기독론은 바울의 창작이 아니고 고린도 교회가 그들의 영지주의적 배경을 그리스도에게 적용을 해가지고 두 인간-Anthroper-에 대한 교리로 .. 好學의 神學/[신학]바울의 生涯와 神學 2010.05.22
바울신학 제17강 바울신학 제17강 김세윤교수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칭호로 표현된 기독론의 결론 부분을 하겠다. 바울신학에서 주로 다루어 왔는데 바울신학에 있어서 기독론은 요한복음에도 그대로 나타나고 깊이 있게도 나타난다. 그래서 가령 요20:31에는 "예수가 하나님인 것을 믿고 믿음으로서 구원을 얻도록 하.. 好學의 神學/[신학]바울의 生涯와 神學 2010.05.22
바울신학 제16강 바울신학 제16강 김세윤교수 지난 시간에는 내어줌의 형식까지 했다. 6)하나님 아들 그 다음에 바울은 하나님 아들을 그의 복음이라고 한다(갈1:11,18ff/롬1:2-4,9/살전1:10/행9:20). 바울은 이런 본문에서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칭호로 정의하거나 아니면 요약을 한다.(비슷한 성경구절은 롬8:3). 이것은 복음의.. 好學의 神學/[신학]바울의 生涯와 神學 2010.05.22
바울신학 제15강 바울신학 제15강 - 김세윤교수 지난 시간 줄거리 지난 시간에 롬 1:3-4에서 바울이 인용하는 초대교회의 하나님의 아들에 관한 신앙고백과 바울의 서신에 나타나는 이른바 보냄의 형식(the sending formula)-갈4;1/롬8:3 등-을 비교할 때 롬 1:3-4에 인용된 초대교회의 하나님의 아들에 대한 신앙고백에는 아직 선.. 好學의 神學/[신학]바울의 生涯와 神學 2010.04.11
바울신학 제14강 바울신학 제14강 - 김세윤교수 지난 시간에는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자기 이해를 살펴보았다. 그런데 공관복음서를 보면 예수의 공생애 동안 다른 존재들에 의해서 예수의 하나님의 아들됨이 선포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래서 이제 다른 존재들에 의해서 예수의 하나님 아들됨의 선포를 하겠.. 好學의 神學/[신학]바울의 生涯와 神學 2010.04.11
바울신학 제13강 바울신학 제13강 - 김세윤교수 지난 시간 줄거리 유대교에서 지혜가 하나님의 딸로서 하나님의 창조와 계시와 구원의 중보자로 실체화하고 인격화하는 것을 살펴보았다. 또 묵시문학에서 소위 이위일체론적 신 개념을 살펴보았다. 묵시문학에서의 이러한 신학적인 발전은 한편으로는 하나님과 인간.. 好學의 神學/[신학]바울의 生涯와 神學 2010.04.11
바울신학 제12강 바울신학 제12강 - 김세윤교수 서론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신앙고백을 중심으로 바울의 기독론을 설명하고 그 다음에 예수가 하나님의 형상이다. 또 마지막 아담이다. 하나님의 지혜이다 등의 신앙고백을 중심으로 하는 기독론을 좀 살펴보고 그 다음에는 바울의 구원론으로 들어가서 구원론의.. 好學의 神學/[신학]바울의 生涯와 神學 2010.04.11
바울신학 제11강 바울신학 제11강 -김세윤교수 지금까지 '예수가 주다'는 신앙고백이 어떻게 발생하였는가? 살핌. 이 신앙고백의 의미 살핌 에서 출발하는 것이 좋다. 이것은 종말론적인 기도이다. 주여 오셔서 빨리 하나님 나라를 완성하시고 우리의 구원을 완성하소서. 동시에 이 기도는 Didache 10:6(1세기의 책,12사도들.. 好學의 神學/[신학]바울의 生涯와 神學 2010.04.11
[스크랩] 바울신학[종합] 51년에서 52년 사이에 바울은 데살로니가 교회에 편지를 보냈다. 이 편지는 신약성서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이 모자이크는 몬테알레 대성당에 있는 모자이크의 세부로 실루아노(실라)와 디모데에게 이 편지를 맡기는 바울을 묘사하고 있다. 1. 유대종교와 예수 그리스도 A. 유대종교와 사울 B. 예.. 好學의 神學/[신학]바울의 生涯와 神學 2009.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