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6>息 <106>息 ‘息(식)’은 ‘숨, 호흡, 숨을 쉬다’라는 뜻이다. ‘喘息(천식)’은 ‘숨을 가쁘게 쉬는 병’이다. ‘喘’은 ‘숨을 헐떡이다, 기침’이라는 뜻이다. 사람은 연이어 숨을 쉴 수 없다. 숨을 쉴 때는 한 번 들이마시고 잠시 쉬었다가 다시 들이마신다. 이에 따라 ‘息’.. 好學의 漢字文學/[한자이야기] 2011.12.10
[3]. 봉공육조(奉公六條) (수정판) [3]. 봉공육조(奉公六條) 1. 선화(宣化 : 덕으로 교화함을 널리펴라) 原文 郡守縣令 本所以承流宣化 今唯監可 謂有是責 非也. 綸音 군수현령 본소이승류선화 금유감사 위유시책 비야. 윤음 到縣 宜聚集黎民 親口宣論 非知德意. 敎文赦文到縣 亦宜撮 도현 의취집여민 친구선유 비지덕의. 교.. 好學의 漢字文學/(목민심서)牧民心書 2011.11.20
<105>素 <105>素 ‘素(소)’는 갓 뽑아낸 실을 매달아 놓은 것을 나타낸다. 거기에는 아무런 빛깔이 없으며, 아무런 무늬나 장식이 없다. 이런 빛깔로부터 ‘素’에는 ‘희다, 흰빛’이라는 의미가 생겼다. 흰빛은 공간을 의미하므로 이로부터 ‘비다’라는 의미가 나왔고, 흰빛은 모든 색깔의 근본이므로 .. 好學의 漢字文學/[한자이야기] 2011.09.10
<104>言不顧行, 行不顧言 <104>言不顧行, 行不顧言 ‘침묵은 금이다’라는 말은 현대에 와서는 의미를 많이 잃어버린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말을 하지 않으면 해결책이 나오지 않는 경우에, 말을 하지 않으면 진실이 드러나지 않는 경우에 말을 아껴서는 안 된다. ‘침묵은 금이다’라는 말은 이런 경우에 해당하는 말이 .. 好學의 漢字文學/[한자이야기] 2011.09.10
<103>關 <103>關 ‘關(관)’의 의미는 다양하다. 이런 의미는 대개 서로 연관되어 나타난다. ‘關’의 최초의 의미는 ‘빗장’이다. ‘關鍵(관건)’은 ‘빗장과 열쇠’라는 뜻인데, 문은 빗장으로 닫거나 열 수 있으며 또한 열쇠로 채우거나 열 수 있기 때문에 지금은 ‘사물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는 뜻.. 好學의 漢字文學/[한자이야기] 2011.09.10
<102>行法俟命 <102>行法俟命 전통적으로 우리는 좋은 일을 하면 복을 받는다고 생각해 왔다. 이런 생각이 굳어지면 좋은 일을 할 때마다 복 받을 일을 먼저 기대하기도 한다. 이런 생각은 나쁜 것이 아니다. 좋은 일을 하지 않으면서도 복을 받아야겠다고 생각하는 것에 비하면 대단히 훌륭한 사고방식이고 멋진 .. 好學의 漢字文學/[한자이야기] 2011.09.10
<101>欲寡心誠 <101>欲寡心誠 가을이 왔다. 가을은 수확의 계절이지만 후회와 반성의 계절이기도 하다. 예정했던 수확을 거두면 풍성함을 느끼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적지 않다. 적당한 후회와 반성은 삶의 활력소가 된다. 그러나 과도한 후회나 반성은 오히려 절망감을 준다. 절망감은 생활에 정성을 쏟지 못.. 好學의 漢字文學/[한자이야기] 2011.09.10
상형자 : 식물 관련[7]- [ 瓜 / 麻 ] 상형자 : 식물 관련[7]- [ 瓜 / 麻 ] [과] 오이, 한이 차다 - 부수자[5획] ▶변천 ▶필순 ▣ 자원 : 바깥 쪽 부분은 '오이의 덩굴'을 의미하고, 안쪽 부분은 '오이의 열매'를 본뜬 글자임. 일반적으로 일년생인 넝쿨식물의 열매를 통칭해서 '瓜'{오이, 참외, 호박, 수박 등}로 표현하고, 나무에 열리는 열매는 '..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11.09.10
상형자 : 식물 관련[6]- [ 屯 / 未 ] 상형자 : 식물 관련[6]- [ 屯 / 未 ] [둔] 싹, 진치다 , / [준] 어렵다 - (철)부수, 1획[ 총4획 ] ▶변천 ▶필순 ▣ 자원 : 땅을 뚫고 식물의 싹이 나오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싹'의 의미를 지닌 글자인데, 소전의 모양을 보면 아래쪽 획이 굽어져 있는 모양으로 인해 싹이 나오기 어려움을 표현해 '어렵다'..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11.09.10
상형자 : 식물 관련[5]- [ 來 / 麥 ] 상형자 : 식물 관련[5]- [ 來 / 麥 ] [래] 오다, 장래, 후세, ~부터 - '人(인)'부수, 6획[ 총8획 ] ▶변천 ▶필순 ▣ 자원 : 보리의 줄기에 이삭이 달려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보리'의 뜻으로 만든 글자인데, 후에 '오다'는 의미로 확대됨. ◈ 반대의미 '가다'는 '往(왕)' ▶ '來(래)'가 '오다는 의미로 사용되자.. 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2011.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