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족발 <85>족발 한국인 대부분은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족발을 좋아한다. 특히 여자들이 족발을 많이 찾는다. 입덧이 심해 제대로 먹지 못하는 임신부가 식욕이 당긴다며 한밤중 남편을 깨워 사오라는 음식 목록에 족발이 빠지지 않는다. 물론 술안주로도 좋고 식사나 간식으로 출.. 好學의 人生/[食]먹는 이야기 2012.02.11
<84>송이버섯 <84>송이버섯 서양 요리 중에서 맛있는 진미로 꼽는 것이 철갑상어의 알인 러시아의 캐비아, 프랑스 요리로 거위 간으로 만드는 푸아그라, 이탈리아 요리에 많이 나오는 송로버섯(트뤼플)이다. 서양의 3대 진미라고 한다. 이 중에서도 송로버섯은 맛이 얼마나 좋은지 이탈리아.. 好學의 人生/[食]먹는 이야기 2012.02.11
<83>대하구이 <83>대하구이 요즘은 대하가 제철이다. 때맞춰 열리는 충남 홍성의 내포, 태안 안면도, 보령 무창포 등 서해안 곳곳의 대하축제가 입맛을 유혹한다. 커다란 새우를 왕소금에 구워 먹는 맛은 특별하다. 혀에서 느끼는 맛도 중요하지만 대하에 담긴 뜻을 알고 먹으면 색다른 맛과.. 好學의 人生/[食]먹는 이야기 2012.02.11
Act 3. 하늘의 정찰병 (Sky scout) Act 3. 하늘의 정찰병 (Sky scout) 상황이 이렇게 되자 기마 정찰병을 대신할 수단이 필요했다. 전장의 상황을 알수 있는 방법으로 전선을 마음대로 넘나들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던 비행기가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드디어 전선에 등장한 비행기, 참호전의 벽을 넘을 유일한 돌파구.. 好學의 人生/[우주만물]세상만사 2012.02.11
Act 2. 전쟁의 폭풍 (Storm of war) Act 2. 전쟁의 폭풍 (Storm of war) 이러한 불안한 유럽의 정세가 깨진 것은 1914년 한발의 총성에 의한 것이었다. 항상 언제 터질줄 몰랐던 화약고와 같았던 발칸바도에서 세르비아의 한 우익 청년이 자국에 대해서 부당한 압력을 가해오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연합의 왕위 후계자인 프.. 好學의 人生/[우주만물]세상만사 2012.02.11
ACT 1. 창공의 시대 (Age of flight) ACT 1. 창공의 시대 (Age of flight) 인류역사의 시작부터 인간의 가장 오래된 꿈은 하늘을 새처럼 나는 것이었다. 그리고 필연적으로 이 꿈을 이루기 위해서 수많은 도전이 있었다. 그러나 새와 같이 날아보고자 하는 꿈은 이루어지지 못했고,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비롯한 대부분의 선.. 好學의 人生/[우주만물]세상만사 2012.02.11
<82>전어구이 <82>전어구이 가을 전어 굽는 냄새에 집 나간 며느리 돌아온다는 식상한 표현이 다시 등장할 때가 됐다. 진부한 말이지만 적어도 한국인에게 전어 굽는 냄새가 고소하게 느껴지는 것은 사실이다. 맛은 주관적이지만 나라와 민족이 다르면 차이가 더 두드러진다. 전어구이에 대.. 好學의 人生/[食]먹는 이야기 2012.02.05
<81>아욱국 <81>아욱국 속담으로만 보면 전어가 아무리 맛있어도 가을 아욱국에는 견줄 바가 못 된다. “가을 아욱국은 문 걸고 먹는다”는데 이 정도면 전어와 별반 다를 것도 없지만 “조강지처도 쫓아내고 먹는다”는 옛말에 이르면 전어가 무색해질 수밖에 없다. 소심하게 며느리 친.. 好學의 人生/[食]먹는 이야기 2012.02.05
<80>바나나 <80>바나나 요즘은 추석 차례상에 바나나를 놓는 집이 적지 않다. 하지만 바나나는 전통적으로 제수로 쓰는 과일이 아니어서 전통예법에 어긋난다며 집안 어른들 사이에 논쟁이 벌어지기도 한다. 바나나는 열대과일이니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예전 조상님들은 바나나를 구경.. 好學의 人生/[食]먹는 이야기 2012.01.29
<79>토란국 <79>토란국 지역에 따라 약간씩 다르기는 하지만 추석을 대표하는 음식은 아무래도 송편과 토란이다. 다산 정약용의 둘째 아들인 정학유가 쓴 농가월령가 8월령에도 “북어쾌 젓조기로 추석명절 쇠어보세/신도주, 올벼송편, 박나물, 토란국을/산사에 제물 하고 이웃집과 나누.. 好學의 人生/[食]먹는 이야기 2012.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