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무드 - 사자의 목의 뼈 탈무드 - 사자의 목의 뼈 나는 어느날 중국을 거쳐 일본에 건너 온 유태인과 대화를 나눌 기회가 있었다. 대부분 이런 부류의 유태인들은 중국편에서 중국을 비난하거나 그것도 아니면 일본과 중국을 다 싫어하던가 다 좋아한다던가 하는 여러 유형이 있게 마련이다. 그런데 내가 만난 이 사람은 전쟁 ..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2.23
탈무드 - 살아 숨쉬는 바다 탈무드 - 살아 숨쉬는 바다 유태인은 이 세상 어느 민족보다도 불우이웃을 위한 자선을 가장 중요시하는 민족이다. 그렇다고 해도 오늘날의 유태인중 일부는 자선사업에 힘쓰라고 권하던가, 또는 다른 사람에게 강요받지 않으면 자선에 조금도 애쓰지 않는 유태인도 있다. 이런 경우를 만나면 나는 다..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2.23
제28과 민수기(2): 광야에서(10:11-19장)10 제28과 민수기(2): 광야에서(10:11-19장)10 3-4. 제사장 및 레위인들의 직무와 분깃(18:1-32) 고라와 그 추종자들이 하나님께 분향을 하다가 죽음을 당한 후에, 이스라엘 백성들은 성소에 가는 자마다 다 죽음을 당한다고 불평했다(16장). 하나님께서는 이를 위해서 두 가지 조치를 취해 주셨다. 첫째는 아론의 .. 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2011.02.23
탈무드 - 자선 탈무드 - 자선 남을 돕기 위해 돈을 흔히 사람들은 자기 돈을 잃어버린 것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사실은 그렇다고만 할 수 없다. 실제론 돈을 쓰면 쓴만큼 다시 돌아오기 때문이다. 당신이 자선 사업에 돈을 쓰면 그 쓴 만큼 당신에게로 되돌아 온다는 말을 하게 될 때는 나는 다음과 같은 <탈무드>..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2.22
탈무드 - 우는 까닭은? 탈무드 - 우는 까닭은? 외국에 살고 있는 한 유태인이 있었는데 그는 남을 돕고 예의바른 사람으로 매우 좋은 평을 얻고 있었다. 하지만 그는 유태인 사회에서는 아무 활동도 하지 않는 것이었다. 어느날 나는 그 사람과 같이 식사를 하게 되었다. 유태인 사회에서는 사업하는 사람을 만날 때 '어떻습니..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2.22
탈무드 - 위생관념 탈무드 - 위생관념 <탈무드> 에 의하면 유태인들은 특히 보건 위생에 대해서는 아주 엄격하다. 몇가지 사례를 들어보자. * 물을 마실 때에는 사용 전에 컵을 닦고, 사용한 뒤에도 또 닦아라. * 자기가 먹은 컵을 닦지 않은채 남에게 주어서는 안된다. * 안약을 눈에 넣기 보다는 아침, 저녁에 물로 눈..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2.22
탈무드 - 축복의 말 탈무드 - 축복의 말 의사와 환자, 그리고 나 이렇게 셋이서 병실에 같이 있게 된 기회가 있었다. 그 환자는 중상자였는데, 매우 심한 내출혈로 큰 고통을 받았다. 병실은 악취로 가득했고, 환자는 의식불명인 채였다. 의사는 환자의 목숨을 살리기 위해 고심하면서 많은 량의 수혈을 하였다. 만약 이 수..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2.22
제28과 민수기(2): 광야에서(10:11-19장) 9 제28과 민수기(2): 광야에서(10:11-19장) 9 3-3. 아론의 싹난 지팡이(16장) * 하나님의 명령(1-7) 본문에는 아론의 지팡이에 싹이 난 사건이 기록되어 있다. 하나님께서는 고라당으로 인해 나타난 백성들의 원망과 시비를 종식시키시기 위해서 이 사건을 주셨다. 하나님께서는 아론의 제사장직이 사람의 뜻이 .. 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2011.02.22
제28과 민수기(2): 광야에서(10:11-19장) 8 제28과 민수기(2): 광야에서(10:11-19장) 8 3-2. 고라의 반역과 백성의 반역 사건(16장) * 사건의 발단(1-3)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 38년간의 사건 중에서 기록된 유일한 사건은 본문에 나타난 사건과, 아론의 싹 난 지팡이 사건이다. 이 두 가지 사건은 모두 하나님께서 세우신 모세와 아론의 지도 체제에 반역.. 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2011.02.22
제28과 민수기(2): 광야에서(10:11-19장) 7 제28과 민수기(2): 광야에서(10:11-19장) 7 3. 광야 38년의 여정(15:1-19:22) 참고 지도 이스라엘은 가데스바네아에서 하나님의 지시를 불순종함으로 인해서 가나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홍해 길로 돌이켜서 다시 광야로 들어왔다. (민 15:-19:)에는 이스라엘이 광야에서 방황하던 때에 일어난 사건들을 기록하.. 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2011.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