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3과 신명기(1): 모세의 첫 번째 설교(1-4장) 2 제33과 신명기(1): 모세의 첫 번째 설교(1-4장) 2 B. 내용 연구 Ⅰ. 서두와 표제(1:1-5) 1. 선포자: 모세(1:1) 2. 기록 장소: 요단 동편, 숩 맞은 편의 아라바 광야 숩은 아카바 만을 가리킨다(민 14:25, 21:4). 아라바 광야는 본래 요단강 상류의 헤르몬 산으로부터 갈릴리 호수, 그리고 사해를 넘어 아카바 만까지 이.. 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2011.03.20
제33과 신명기(1): 모세의 첫 번째 설교(1-4장) 1 제33과 신명기(1): 모세의 첫 번째 설교(1-4장) 1 A. 서 론 1. 책의 명칭 1) 유 대 인: "엘레 하 데바림"(이것은 그 말씀들이다"), 또는 "데바림"(말씀들") 2) 70인 역: "두 번째 율법", (신 17:18) "이 율법 책을 등사하여"를 "두 번째 율법"이 라고 잘못 번역한 데서 붙여진 이름. 3) 라 틴 역: "Deuteronomium"(제 2의 율법)-.. 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2011.03.20
탈무드 - 9. 마음의 양식. 탈무드 - 9. 마음의 양식. 남의 강요에 의해 베푼 자선은 스스로 한 자선의 절반의 가치밖에 없다. <미드라시>라는 책에는 이런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어느 거리의 모퉁에에서 눈이 먼 거지가 구걸하고 있는 데 두사람이 지나가고 있었다. 그중 한 사람은 동전 한닢을 적선했지만, 다른 사람은 그..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3.19
탈무드 - 8.마음의 양식. 탈무드 - 8.마음의 양식. 남을 행복하게 해 주는 것은 마치 향수를 뿌리는 일과도 같다. 이 때는 당신에게도 몇 방울 정도는 묻는다. 유태인들은 특히 선물 주기를 즐기는데, 이것은 자선하는 것을 의무시하는 유태인 사회이기 때문이리라. 히브리어에서는 '자선'과'정의'가 '체다카'라고 하는 같은 말로..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3.19
탈무드 - 7. 마음의 양식. 탈무드 - 7. 마음의 양식. 어차피 같은 햄을 먹는 것이라면 즐거운 마음으로 먹어라. 이미 앞에서도 여러 차례 언급했듯이, 유태인들은 계율에 의해 금지되고 있는 음식이 많다. 돼지고기로 만든 햄도 그 중의 하나이다. 유태인들의 특성이라면 이 책에서도 여러번 말했듯이 아주 낙관적인 성품이라는 ..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3.19
탈무드 - 6. 마음의 양식. 탈무드 - 6. 마음의 양식. 행복을 얻으려면 만족하게 멀어져야 한다. 인간이란 행복하지 않으면 만족할 줄 모른다. 이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다. 그러면 행복이란 무엇이며, 어떠한 상태의 것인가? 도대체 행복의 크기는 어떻게 잴 수 있는가? 이러한 물음에 대한 사람마다의 대답은 각기 다른 것이고, ..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3.19
탈무드 - 5. 마음의 양식. 탈무드 - 5. 마음의 양식. 하나님은 밝은 사람을 축복해 준다. 낙관하는 마음은 자기 뿐만 아니라 남들까지도 밝헤 해 준다. 유태인들은 얼핏 보기에 슬픈 눈을 갖고 있는 듯하지만 그러나 한없이 밝다. 이들은 진정한 슬픔을 알고 있기 때문에 진정한 밝음이 또한 얼마나 소중한 것인가를 알며, 어두운 ..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3.19
탈무드 - 4. 마음의 양식. 탈무드 - 4. 마음의 양식. 이미 끝나버린 일을 후회하기 보다는 하고 깊었던 일을 하지 못한 것을 후회하라. 이미 해 치워버린 일에 대해 아쉬워하는 것과 꼭 해보고 싶었던 일을 하지 못했던 것에 대해 후회하는 일 가운데 어느쪽이 더 후회가 남을까? 나이 많은 노인들에게는 묻는다면 대부분 후자의 ..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3.19
제32과 민수기(6): 모압에서 일어난 사건들(3)(33-36장) 5 제32과 민수기(6): 모압에서 일어난 사건들(3)(33-36장) 5 13. 상속법(36:)-여자만 낳은 집의 상속법-(민 27장1-11)을 참고할 것 ................................................................................................................. C. 민수기의 결론 및 적용 1. 광야의 생활 사람이 떡으로만 살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입으로 나.. 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2011.03.19
제32과 민수기(6): 모압에서 일어난 사건들(3)(33-36장) 4 제32과 민수기(6): 모압에서 일어난 사건들(3)(33-36장) 4 12. 레위인의 성읍과 도피성 규례(민35장) 하나님께서는 여리고 맞은 편 모압 평지에서 새로운 세대들이 가나안에 들어가기 전에 마지막 준비(인구조사, 제사 제도의 정비, 후계자 선정, 미디안 정복, 요단 동편 분배, 그리고 땅을 분배할 대표들을 .. 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2011.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