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327

제24과 레위기(4): 정결규례(11-15장) 6

제24과 레위기(4): 정결규례(11-15장) 6 가. 피부에 문둥병이 발한 경우 (2-28) 가) 색 점에 의한 진단(1-8) a. 문둥병의 징후가 보이면 제사장에게로 데려가서 진찰을 받게 한다(2-). 만일 피부에 솟아난 종기나, 발진이나 딱지, 또는 피부에 부어오른 종기 같은 것이 생기면 그는 제사장의 진단을 받아야 했다. ..

제24과 레위기(4): 정결규례(11-15장) 5

제24과 레위기(4): 정결규례(11-15장) 5 3. 문둥병에 관한 규례(13-14장) 레위기 13, 14장에 언급된 병리학적 현상들은 히브리어로 "차라아트"인데, 이 말은 "치다(strike)"는 의미를 가진 말이다. 이런 병에 걸린 사람은 "차루아"라고 불렸는데, 아마도 이 말은 그가 하나님께 맞아서 병에 걸렸다고 생각했기 때문..

제24과 레위기(4): 정결규례(11-15장) 4

제24과 레위기(4): 정결규례(11-15장) 4 2. 산모의 정결 법(12:1-8) 2-1. 산모의 정결 기간 레위기 12장에서는 아이를 낳았을 때의 정결 법에 대해서 기록하고 있다. 성결의 법은 여인의 출산 과정에도 적용이 된다. 하나님께서는 여인이 아들을 낳았을 때에 7일간(딸은 14일간) 부정하여 아무도 접촉할 수 없고, ..

제24과 레위기(4): 정결규례(11-15장) 3

제24과 레위기(4): 정결규례(11-15장) 3 2. (행 10:9-16) 다음으로 부정한 짐승에 대한 언급이 (행 10장)에 나타난다. 이 본문에서 하나님께서 베드로에게 보여주신 환상에 의하면 정결한 짐승들은 선택받은 이스라엘을 상징하는 것이었고, 부정한 짐승들은 언약 밖의 이방인들을 상징하는 것이었다(행 9:9-16). ..

제24과 레위기(4): 정결규례(11-15장) 2

제24과 레위기(4): 정결규례(11-15장) 2 <참고 1: "부정한 짐승에 대한 이론들"> 1. 비교 종교학적 해석-M. Noth, W. R. Smith 등- 1) Noth-"이 짐승들이 식용으로 금지된 이유는 이방 종교에서 제물로 사용하거나 우상시하는 짐승들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상을 숭배할 수 없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이러한 ..

제24과 레위기(4): 정결규례(11-15장)1

제24과 레위기(4): 정결규례(11-15장)1 * 들어가는 말 레위기는 하나님의 백성들이 "어떻게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레위기는 하나님께 나아가는 세 가지 길에 대해서 가르쳐주고 있습니다. 1. 제사(예배)를 통해서 하나님께 나아감(1-7장)-성막(교회) 중심 - 2. 제사장(중보자)을..

제23과 레위기(3): 제사장 위임식과 첫 제사(8-10장) 4

제23과 레위기(3): 제사장 위임식과 첫 제사(8-10장) 4 3. 나답과 아비후의 죽음과 제사직의 정화(10:1-20) 아론은 대제사장의 사역을 시작한 첫 날, 두 명의 큰아들을 잃는 사고를 당했다. 아론과 그 아들들은 9장에서 하나님께서 그들이 드린 제물을 불로 태우심으로 열납 받았다. 그러나 10장에 와서 그들은..

제23과 레위기(3): 제사장 위임식과 첫 제사(8-10장) 3

제23과 레위기(3): 제사장 위임식과 첫 제사(8-10장) 3 2. 아론의 첫 제사(9:1-24) 2-1. 여호와의 제사 명령(9:1-7). 7일 동안의 위임식이 끝이 나고, 이제 아론과 그 아들들은 합법적인 제사장으로 위임이 되었다. 모세는 제 8일에 아론과 그 아들들과, 그리고 이스라엘 장로들을 불러놓고 제사장으로 임직한 후..

제23과 레위기(3): 제사장 위임식과 첫 제사(8-10장) 2

제23과 레위기(3): 제사장 위임식과 첫 제사(8-10장) 2 1-7. 위임식 제사(22-29)-수양과 무교병- 자신을 헌신하는 번제가 드려진 후에 제사장 직분을 위임하는 제사가 드려졌다. 이 제사의 순서는 다음과 같았다. 가. 안수 나. 수양을 잡음 다. 그 피를 아론과 그 아들들에게 바름 모세는 잡은 위임식 수양의 피..

제23과 레위기(3): 제사장 위임식과 첫 제사(8-10장) 1

제23과 레위기(3): 제사장 위임식과 첫 제사(8-10장) 1 * 들어가는 말 우리는 지난 시간에 "5대 제사의 규례", 즉 절차와 방법 및 그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습니다. 오늘 우리가 생각해 볼 내용은 (레 8-10장)입니다. (레 8-10장)에는 세 가지 중요한 사건(제사장과 회막의 성별, 아론의 첫 제사, 제사직의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