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여도지죄(餘桃之罪) <38>여도지죄(餘桃之罪) 餘: 남을 여 桃: 복숭아 도 之: 어조사 지 罪: 허물 죄 똑같은 행위일지라도 상대방의 심리 변화에 따라 반응이나 평가가 다르다는 말로 ‘한비자’ 세난(說難)편에 나온다. 한비는 이런 비유를 들었다. 옛날 위(衛)나라에 미자하(彌子瑕)라는 미소년이 있었는데..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9.02
<37>술이부작(述而不作) <37>술이부작(述而不作) 述: 서술할 술 而: 말 이을 이 不: 아니 불 作: 지을 작 서술하는 것이 창작보다 중요한 것이란 의미로 공자가 스승의 역할을 강조한 말이다. 원문은 이렇다. “서술하되 짓지는 않고 믿어서 옛것을 좋아하니, 남몰래 나를 노팽과 비교해본다.(述而不作, 信而好..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9.02
<36>목지절야필통두(木之折也必通蠹) <36>목지절야필통두(木之折也必通蠹) 木: 나무 목 之: 어조사 지 折: 꺾을 절 也: 어조사 야 必: 반드시 필 通: 통할 통 蠹: 좀벌레 두 모든 일은 조짐이 있다는 의미로서 한비는 말한다. “나무가 부러지는 것은 반드시 좀벌레를 통해서이고, 담장이 무너지는 것도 반드시 틈을 ..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8.22
<35>지승지도(知勝之道) <35>지승지도(知勝之道) 知: 알 지 勝: 이길 승 之: 어조사 지 道: 길 도 전쟁에서 승리를 알아차리는 다섯 가지 이치라는 말로 손자의 말이다. “싸워야 할 때를 아는 것과 싸워서는 안 될 때를 아는 자는 승리한다. 병력이 많고 적음에 따라 용병법을 아는 자는 승리한다. 위(장수)와 아..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8.22
<34>구지(九地) <34>구지(九地) 九: 아홉 구 地: 땅 지 전쟁터에서의 아홉 가지 지형(地形)으로 아홉 가지 지형에 대한 공격과 방어 전술을 말한다. “용병의 원칙에는 ‘산지(散地)’가 있고, ‘경지(輕地)’가 있으며, ‘쟁지(爭地)’가 있고, ‘교지(交地)’가 있으며, ‘구지(衢地)’가 있고, ‘중지(..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8.22
<33>지천명(知天命) <33>지천명(知天命) 知: 알 지 天: 하늘 천 命: 목숨 명 나이 오십을 말하는 것으로 ‘오십이지천명(五十而知天命·논어 위정 편)’, 즉 나이 쉰에 하늘의 명을 안다는 말에서 나왔다. ‘천명’이란 사물에 드러나는 자연스러운 이치 혹은 하늘이 부여한 사명이다. “나(공자를 지칭)에..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7.21
<32>오화지변(五火之變) <32>오화지변(五火之變) 五:다섯 오 火:불 화 之: 어조사 지 變: 변할 변 화공(火攻)을 시행할 때 바람, 방향, 정황 등 다섯 가지 유형을 말한다. “무릇 군대란 반드시 다섯 가지 화공의 변화를 알고 이를 헤아려서 고수한다. 따라서 불로써 공격을 지원하면 ‘그 효과는’ 분명하고 물..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7.21
<31>도천지장법(道天地將法) <31>도천지장법(道天地將法) 道: 길 도 天: 하늘 천 地: 땅 지 將: 장수 장 法: 법 법 오사(五事)라고 하며 전쟁의 승부를 결정하는 다섯 가지 요소로서 올바른 정치, 기후와 기상, 지리적 이점, 지도자의 능력, 제도와 질서 등을 말한다. “(전쟁이란) 다섯 가지에 따라 경영되어야 하고, (..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7.21
<30>재소자처(在所自處) <30>재소자처(在所自處) 在: 있을 재 所: 바 소 自: 스스로 자 處: 곧 처 사람은 자신이 처해 있는 곳에 달려 있다는 환경결정론적 시각으로 진(秦)나라 재상 이사(李斯)가 한 말이다. 초(楚)나라에서 겨우 군(郡)의 하급 관리로서 세월만 축내고 있었던 그는 어느 날 쥐 두 마리를 보고 삶..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6.28
<29>우직지계(迂直之計) <29>우직지계(迂直之計) 迂: 멀 우 直: 곧을 직 之: 어조사 지 計: 꾀 계 먼 길로 돌아가면서도 곧바로 가는 것과 같은 우회하는 방법으로 목표를 달성한다는 의미다. ‘迂’는 구불구불하여 돌아가는 길이고 ‘直’은 곧은길이니, 목적을 위해서 수단은 얼마든지 바꿀 수 있다는 것을 .. 好學의 漢字文學/[고사성어]故事成語 2012.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