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울질 치유 》2 《 우울질 치유 》2 <히브리서 11장 23절부터 30절까지> (히 11:23) 믿음으로 모세가 났을 때에 그 부모가 아름다운 아이임을 보고 석달 동안 숨겨 임금의 명령을 무서워 아니하였으며 (히 11:24) 믿음으로 모세는 장성하여 바로의 공주의 아들이라 칭함을 거절하고 (히 11:25) 도리어 하나님.. 好學의 敎育 1/원고[청소년교육] 2012.03.31
《 다혈질 치유 》1 《 다혈질 치유 》1 기질이 대해서, 기질의 치유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첫 번째 시간 ‘다혈질의 치유’라는 제목으로 하나님의 말씀 증거하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한 4년 전인가 청년들을 대상으로 해서 기질에 관한 연구를 한 15주 정도했던 적이 있습니다. 그때 성질.. 好學의 敎育 1/원고[청소년교육] 2012.03.31
예배가 살아야 교회가 산다 예배가 살아야 교회가 산다 예배가 살아야 교회가 산다-새천년 한국교회 예배 우리 시대에 복음 전도는 예배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 --James White, The Worldliness of Worship. I. 새 천년, 거대한 도전 앞에 서있는 교회 수 일전, 새 천년이 시작되는 시간, 광화문 네거리에 수만의 인.. 好學의 敎育 1/원고[주일예배] 2012.03.13
예배 worshipping 예배의 중요성 (1)교회는 예배하는 공동체(worshipping community)이기 때문이다. (2)교회의 4대 기능은 예배(케리그마), 교육(디다케), 봉사(디아코니아), 친교 (코이노니아)가 있는데 그 중에서 예배가 가장 우선적인 기능이기 때문이다. 1.예배의 語義 (1)언어상에 나타난 예배의 의미 ① 구약 .. 好學의 敎育 1/원고[주일예배] 2012.03.13
장로교 예배 장로교 예배 주승중 (장신대) I. 들어가는 말 장로교는 스코틀랜드에서 시작된 개신교의 한 줄기이다. 당시 종교 개혁 사상에 영향을 받은 스코틀랜드는 영국 교회의 감독제에 반대하면서, 자신들의 교회직제를 장로제로 하기로 하면서, 장로교라는 이름이 자연스럽게 붙게 된 것이다. 이.. 好學의 敎育 1/원고[주일예배] 2012.03.13
[성가대헌신예배] 골짜기 운명을 바꾼 찬송 (대하 20:20-23) [성가대헌신예배] 골짜기 운명을 바꾼 찬송 (대하 20:20-23) (대하 20:20) ○이에 백성들이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서 드고아 들로 나가니라 나갈 때에 여호사밧이 서서 이르되 유다와 예루살렘 주민들아 내 말을 들을지어다 너희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를 신뢰하라 그리하면 견고히 서리.. 好學의 敎育 1/원고[절기,헌신예배] 2012.02.04
비전에 헌신된 사람들 (행 2:14-36) 비전에 헌신된 사람들 (행 2:14-36) 이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두 사람이 있습니다. 1) 꿈을 가진 사람 즉 비전을 가진 사람이고 2) 죽을 각오한 사람입니다. 한 마디로 말한다면 비전에 헌신된 사람입니다. 왜 초대교회 성도들이 행17:6절 말씀처럼 [ 천하를 어지럽게 하는 사람들 ] 즉 세상을 .. 好學의 敎育 1/원고[절기,헌신예배] 2012.02.04
(여전도회 헌신예배) 어떤 그릇입니까? (딤후2:20-21) (여전도회 헌신예배) 어떤 그릇입니까? (딤후2:20-21) 이 시간에 “어떤 그릇입니까?” 이런 제목으로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성경은 하나님의 일군들을 비유하여 그릇이라고 말합니다. 왜냐하면 열심히 귀한 것들을 담아서 많은 사람의 유익을 위해서 공급하는 일을 하기 때문입니.. 好學의 敎育 1/원고[절기,헌신예배] 2012.02.04
헌신은 사역의 목표가 아니라 기초 (마 16:13 - 28) 헌신은 사역의 목표가 아니라 기초 (마 16:13 - 28) 우리는 가끔 교회 안에서 장로님 신앙 참 좋다 권사님 예수 참 바로 믿는다 는 말을 합니다. 그럼 신앙 좋다 예수 바로 믿는다는 것 무엇을 말합니까? 그것은 바로 24절 말씀처럼 [ 아무든지 나를 따려 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好學의 敎育 1/원고[절기,헌신예배] 2012.02.04
헌신과 축복 (마 19:23-30) 헌신과 축복 (마 19:23-30) 1. 우리의 행복을 위해 주시는 말씀 부모가 자녀들에게 이렇게 하라, 저렇게 하라, 말하는 것은 부모 자신을 위한 경우는 극히 드물고 대부분이 자녀들 자신이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하는 말들입니다. 부모의 말을 잘 듣고 따르면 자다가도 떡이 생긴.. 好學의 敎育 1/원고[절기,헌신예배] 2012.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