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5과 신명기(3): 모세의 두 번째 설교(2)(6-11장) 4
4. 율법 준수를 촉구함-형통의 비결-(8:1-10)
4-1. 율법준수는 형통의 비결(1)
여기에서 모세가 지키라고 한 명령은 십계명 뿐 아니라 모든 도덕법과 의식법(儀式法), 시민법, 제사 제도 등이 다 포함된다. 모세는 그들이 이러한 명령을 지키면 살고 번성 할 것이며, 하나님께서 주신 기업들을 얻게 될 것이라고 하였다(1). 하나님의 계명을 지켜 행하는 일은 단순히 복과 화의 문제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게 삶과 번영을 가져다주는 길이다. 그러나 하나님은 어떤 보상보다 하나님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섬기는 것을 기뻐하신다.
4-2. 광야 40년의 교훈(2-3)
모세는 이스라엘이 겸허한 태도로 말씀에 순종할 수 있도록 하나님께서 그들의 조상들을 광야에서 40년 동안 방황케 하신 일들을 기억하라고 말하고 있다(2(상)). 하나님께서 그들을 광야에서 40년이나 방황하게 하신 것은 그들을 낮추시고, 시험하여 그들의 마음이 어떠한지를 알기 원하셨기 때문이다(2(하)). 여기에서 '낮추다'는 말은 '굴욕을 당하게 만들 정도로 그들을 낮추셨다'는 의미이며, '시험하다'(나사')는 말은 '증명하다', '꾀하다'는 뜻으로, 더 큰 진리를 깨닫게 하기 위한 선의의 테스트(test)를 가리킨다.
인간은 극한 상황에 빠지게 되면 겸손히 자신의 연약함을 인정하게 되며, 하나님의 도우심을 구하게 된다(약 5:11). 또한 인간은 편할 때에는 모두 다 믿음이 좋은 것 같아도 막상 심한 어려움과 역경에 부딪칠 때에는 믿고 순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하나님께서는 때때로 인간들에게 고난으로 겸손케 하시고, 역경을 통해서 참 신앙을 시험하신다. 그러므로 성도들은 고난이 축복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을 양식이 없는 지경으로 끌고 가셔서 그곳에서 그들과 그들의 열조도 알지 못하던 만나로 그들을 먹이셨다. 모세는 그 이유가 바로 생명의 궁극적인 원인이 하나님께 있음을 알게 하려 하셨기 때문이라고 하였다(3).
이스라엘은 아무 음식을 구할 수 없는 상황 속에서 만나를 통해 음식을 제공받으면서 모든 생명을 살리고 죽이는 것이 하나님의 손에 달렸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것이다. 이 구절은 예수께서 사단의 유혹에 답변하시기 위해 인용한 구절이었다(마 4:4). 일반적으로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 것은 빵이지만, 하나님께서는 특별한 방법으로도 생명을 유지시킬 수 있다. 사단은 공생애를 앞두고 40일 간의 금식 기도 끝에 극도로 시장해 있는 예수님께 '돌로 떡을 만들라'고 시험하였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비록 떡이 아니더라도 하나님께선 자신의 생명을 특별한 방법으로 지속시켜 줄 것'을 신뢰하심으로 그 시험에 승리하실 수 있었다(마4:4; 눅 4:4).
4-3. 완전한 보호와 사랑의 징계(4-6)
하나님께서는 광야에서도 이스라엘의 의복이 해어지지 않게 하시고, 발이 부르트지 않게 보호해 주셨다(4). 이 말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완전하게 보호해 주셨음을 의미한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서 지내는 40년 동안 닳아서 떨어진 누더기를 입은 적이 없었다. '부르트다'('바체크')는 말은 '부풀다', '물집이 생기다'는 뜻으로, 신발이 제 때에 공급되어 닳은 신을 신지 않았다는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자손들을 징계함에 있어서도 마치 아비가 그 자식을 징계함 같이 사랑으로 징계하신다(5). '징계(야사르)는 '교훈하다', '견책하다'는 뜻으로 하나님을 경외하며 순종하도록 하는 일을 말한다. 광야 40년간의 역경은 하나님께서 아버지의 심정으로 훈육(訓育)하신 사랑의 매였다(히 12:5-11). 하나님은 이스라엘이 범죄 할 때마다 사랑으로 징계하실 것이며, 따라서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명령을 순종하고 하나님을 경외해야 한다(6).
4-4. 주신 축복을 인해 하나님을 찬송하라(7-10)
모세는 가나안 땅을 '아름다운 땅'이라고 묘사하였다. 가나안은 성경에서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란 말로도 묘사되고 있다(출 3:8; 민 13:27). 이는 가나안 땅이 풍부한 물(7절), 풍부한 농작물(8절), 풍부한 광물질(9절)이 있는 하나님의 아름다운 언약의 땅임을 나타내는 말이다. 이 땅은 이스라엘이 40년 동안 지내온 메마른 광야와는 달리 가나안에는 식수(食水)와 용수(用水)가 풍부할 것이다.
가나안 땅에 물이 풍부하다는 사실은 이스라엘에게 실로 큰 축복이 아닐 수 없다. 그곳은 골짜기에도 산지에도 시내와 분천과 샘이 흐를 것이라고 하였다(7). 분천('아인')은 '눈'(eye)이란 뜻으로 눈에서 눈물이 흐르는 것을 연상하여, 땅에서 힘차게 솟구쳐 오르는 샘을 의미한다. 이러한 표현들은 가나안 땅이 얼마나 비옥하고 좋은 땅인가를 잘 묘사해 주고 있다. 모세는 팔레스타인의 다양한 소산물(所産物)을 열거하고 있는데, 이 산물들은 흔히 곡식과 포도주, 기름으로 대표된다(8). 모세는 이 땅이 밀과 보리의 소산지이며, 포도와 무화과와 석류와 감람나무와 꿀의 소산지라고 불렀다.
그런데 여기에서 꿀('데바쉬')은 일반적인 벌꿀(32:13) 뿐 아니라, 포도를 으깬 후에 끓여 만든 시럽(syrup)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이 땅은 그들의 먹는 식물이 결핍함이 없을 것이며, 그들에게 아무런 부족함이 없는 축복의 땅이었다. 그 땅의 돌은 철이요 산에서는 동을 캘 것이다(9). 팔레스타인의 토질은 대개 석회암, 백악(白堊), 백악질의 이회암(泥灰岩) 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광물질은 별로 없다.
그러나 갈릴리 호수 부근, 팔레스타인 북부 지역, 레바논 등지에는 비교적 풍부한 철광석이 발견되고, 동광(銅鑛)이 있었던 흔적도 보인다(Kitto, Smith, Ritter). 따라서 본 절은 거의 불모지와 사막으로 뒤덮인 근동 지역에 있어서, 그래도 가나안이 상대적으로 광물질이 풍부한 곳이라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오늘날의 탐사 결과 팔레스타인의 사해(Dead Sea)는 각종 광물질과 자원이 무진장으로 가라앉아 있는 인류의 마지막 보고(寶庫)인 것으로 판명되었으니, 이러한 의미도 간과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모세는 가나안의 아름다움과 비옥함을 말하면서 옥토를 주신 하나님께 찬송하라고 권하고 있다(10). 유대인들은 식사 전후에 항상 음식을 주신 하나님께 감사하는 전통을 세운 것은 본 절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마 14:19; 15:36; 26:26).
< 교 훈 >
1. 시험과 역경은 성도를 겸손케하고 신앙을 연단키 위해 주시는 하나님의 축복이다.
2. 하나님께서 백성들을 굶주리게 하시고, 또 만나를 주신 것은 생명의 근원이 하나님께 있음을 알게하기 위해서였다.
3. 하나님의 보호는 완전하다(의복, 신체상으로 조금도 해가 없게 하신다).
4. 하나님은는 아비가 아들을 징계하듯이 자기 백성을 사랑으로 징계하신다.
5. 하나님이 주신 기업은 아름답고 완전하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나님을 찬송해야 한다.
'호학의 교육 2 > [인터넷성경교육]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5과 신명기(3): 모세의 두 번째 설교(2)(6-11장) 6 (0) | 2011.04.13 |
---|---|
제35과 신명기(3): 모세의 두 번째 설교(2)(6-11장) 5 (0) | 2011.04.12 |
제35과 신명기(3): 모세의 두 번째 설교(2)(6-11장) 3 (0) | 2011.04.12 |
제35과 신명기(3): 모세의 두 번째 설교(2)(6-11장) 2 (0) | 2011.04.12 |
제35과 신명기(3): 모세의 두 번째 설교(2)(6-11장) 1 (0) | 2011.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