好學의 聖經信仰/[종합]인물.말씀.강연

민족,민주,민중과 함께 사는 새로운 길을 향하여 - 1. 기독교의 반성

好學 2010. 10. 4. 20:47

 

민족,민주,민중과 함께 사는 새로운 길을 향하여 - 1. 기독교의 반성

 

1. 기독교의 반성

 

이승만 독재정권과 보조를 함께 맞추던 한국 교회로서는 4.19 혁명을 커다란 충격과 자기 반성의 계기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4.19는 민중을 외면하고 권력지향적이었던 기성 교회에 대한 공격이요 심판으로 받아들여졌다.

 

"60년대 기독교 운동의 개척자적 역할을 했던 김재준 목사는 4.19 1년 후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4.19는 암운을 뚫고 터진 눈부신 전광이었다. 그 윤리적 높은 행위가 일반의 양심의 자화상을 소출시켰다. 교회도 이 섬광에서 갑자기 스스로의 모습을 보았다. 그리하여 구정권의 악행에 교회가 전적으로 책임져야 한다고 몸부림치는 교회인들까지 생겨났다. 교회 기관으로서 스스로의 과오를 사회에 성명한 문서가 한 두 종이 아니었다.

 8.15이후 교회 자체가 급변하는 사상의 와중에서 스스로를 정돈하지 못하고 분쟁과 아울러 혼미에 빠졌었다는 것은 사실이며 따라서 대사회적 책임에 두드러진 기록을 남기지 못했다는 것은 자괴하기에 족한 일이었다.'"1)

 

이는 1960년대의 기독교 운동의 중요한 동인이었고 이러한 자각의 흐름이 최초로 행동화한 것이 1964년의 한일회담 반대운동이었다. 기독교 연합회 등 연합기관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의 교회에까지 파급된 기도회와 성명서와 시위의 물결은 한국 교회가 다시금 예언자적 사명을 회복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준 사건이었다. 이어 1960년대 후반의 주요한 정치적 쟁점이었던 1967년의 6.8부정선거와 1969년의 3선 개헌에 대해서도 한국 교회의 직접,간접적인 참여와 발언은 계속되었다.2)

 

이같은 정치적 참여의 진전과 함께 크리스챤 아카데미,기독자교수협의허ㅣ 등이 마련한 토론의 광장을 중심으로 기독교 지식인권이 형성되었다. 주로 신학,정치신학 및 세속사회에서의 "기독자의 현존""기독교의 사회적,정치적 책임"등과 같은 신학적 주제가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이런 논의들은 사회의식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전통적인 기독교 개념에 대해서 회의를 가지고 있던 기독교인들에게 쉽게 받아들여졌다. 전통적인 신학의 개념으로서는 변동하는 사회현실과 그 속에서의 기독자의 존재와 행동양식을 정립할 수 없었던 것이다. 사회의 제반문제에 대한 기독자적 참여와 실천을 모색하고 있던 기독교인들은 이들 새로운 신학적 조류에서 그들의 행동의 근거를 찾을 수 있었으며 이런 신학적 조류를 기반으로 하여 기독교 운동을 보다 활기차게 확신있게 추진할 수 있었다.

 

이때 중심개념이 된 것이 "하나님의 선교"였다. 이 하나님의 선교는 전통적인 선교의 개념인 "교회의 선교"를 극복하는 개념으로 대두된 것이었다. 종래의 교회 선교가 개인구원을 중심으로 했떤 것임에 반해 하나님의 선교는 하나님의 피조물인 사회 전체를 선교의 대상으로 삼기 때문에, 사회적인 도전과 역사적인 여건에서 유리된 구원은 없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선교를 교회의 도구로 이해해 온 전통적 순교개념에 대해 하나님의 선교는 교회가 선교의 도구라고 주장한다. 하나님-교회-세상이라는 종래의 교회중심적 질서관에서 하나님-세상-교회라는 세상중심적 질서관으로 변화된 것이었다. 이러한 하나님의 선교개념은 교회라는 울타리를 넘어 세계 속으로 선교의 영역을 확장하는 것으로서 한국교회의 사회운동 발전에 커다란 신학적 지임이 되었다.3)

 

이렇게 1960년대 후반부터 서서히 태동하기 시작한 기독교의 사회,정치적 참여의 움직임은 1970년대의 격동하는 제반 정세 속에서 극적으로 고조되었다.

 1971년 대통령 선거를 전후한 민주수호운동과 부정부패 추방 운동 등 정치운동의 활설화,전태일 사건,광주 대단지사건 등을 계기로 한 민중문제에의 관심과 참여의 본격화,긷고교 장로회의 교단적 참여를 위한 자세확립을 필두로 하여,4) 1972년의 10월 유신에서 1975년 5월의 긴급조치 9호에 이르기까지의 유신체제 반대운동,예를 들어 남산 부활절 연합예배사건,서울 문리대 10.2시위, 민주청년학생총연맹사건,또한 긴급조치 9호하에서의 3.1민주구국선언사건,노동자,농민들의 생존권 투쟁으로 인한 기독교 인권운동의 질적 심화,산업선교와 유신체제와의 갈등 등에서 기독교인들의 사회참여가 고조되어가는 과정을 볼 수 있다.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