好學의 교육 3/(국어사전)國語辭典

[말글마당] 아구? 아귀!

好學 2010. 9. 25. 22:36

 

[말글마당] 아구? 아귀!

 

 

 

요즘같이 쌀쌀한 날씨에 술 한잔 하기 좋은 안주로 아귀찜을 꼽을 수 있다. 향긋한 미나리, 아삭아삭한 콩나물과 함께 버무린 매콤한 아귀찜은 한 번 맛보면 중독성이 강해 또 찾게 되는 묘한 매력이 있다.

아귀는 납작한 몸에 비대칭적으로 큰 머리와 그 머리의 대부분을 입이 차지해 괴물을 연상시킬 만큼 흉측하다. 그러나 괴상하고 못생긴 모습과는 달리 맛이 좋아 탕이나 찜 요리로 유명하다.

참맛이 알려지기 전까지 아귀는 어부들에게 냉대를 받았다. 생김새가 흉측하고 쓸모없는 고기라고 해서 다시 바다에 버렸다고 한다.

정약전의 `자산어보`에는 아귀를 `낚시하는 물고기`란 뜻의 조사어(釣絲魚)라고 적혀 있다. 어민들은 `굶주린 입을 가진 생선`으로 아구어(餓口魚)라 했다. 입이 유난히 크고 못생긴 데다 뱃속에서 온갖 생선이 나오는 것을 보고 그렇게 불렀단다.

아귀는 지방에 따라 다양하게 불리는데 인천에서는 물텀벙, 경상도에서는 물꿩, 함경도에서는 망청어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아귀찜의 본고장은 마산이나 이제는 전국적으로 인기 있는 음식이 되었다. 하지만 아귀를 제대로 표기하고 제대로 말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 대부분이 아구, 아구찜, 아구탕으로 표기하고 말한다. 아구는 아귀보다 더 친숙한 말로 아구가 표준어인 줄 아는 사람이 더 많다. 이처럼 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물고기 이름이 잘못 알려진 게 많이 있다. 임연수어라는 생선도 이면수로 잘못 알려져 있다. 조선 정조 때 서유구가 지은 난호어목지에는 임연수(林延壽)라는 사람이 이 고기를 잘 낚았다고 하여 그의 이름을 따서 임연수어라고 한다고 기록돼 있다.경남을 비롯한 남도에서는 이면수라고 불리며, 함경북도에서는 이민수, 함경남도에서는 찻치, 강원도에서는 새치, 다롱치, 가지랭이라고도 한다.

이 밖의 생선 이름으로 쭈꾸미는 주꾸미가, 벤댕이(밴뎅이)는 밴댕이가, 놀래미는 노래미가, 황세기는 황석어가 표준어다.